$\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일부지역 거주 성인의 한식당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of Korean Restaurants among Adults in Gyeonggi-do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4, 2013년, pp.663 - 669  

박희옥 (가천의과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춘영 (동남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correct food choices and nutrition management through nutrition label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building a nutrition labeling system for Korean restaurants. In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5th to February 27th in 20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식당 영양표시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의사를 알아보고, 한식 메뉴의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표기할 영양표시 내용과 영양성분별 중요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외식시 영양표시를 통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식당 영양표시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아직은 외식업체 영양표시가 의무사항은 아니며 외식 시 소비자들의 영양표시 활용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한식 메뉴에 대한 영양표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영양표시를 통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식당 영양표시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2010년 2월 5일부터 2월 27일까지 한식당 영양표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구조의 변화에 따라 식품소비 패턴은 어떻게 바뀌었는가? 경제성장으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핵가족화, 맞벌이 증가 등의 가족구조의 변화는 개인의 식품 소비패턴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고, 특히 간편성과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집 밖에서 식사를 하는 외식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가구당 지출하는 식료품비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1990년대 20% 수준에서 2003년 44.
가구당 지출하는 식료품비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어떠한가? 경제성장으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핵가족화, 맞벌이 증가 등의 가족구조의 변화는 개인의 식품 소비패턴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고, 특히 간편성과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집 밖에서 식사를 하는 외식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가구당 지출하는 식료품비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1990년대 20% 수준에서 2003년 44.0%, 2011년 46.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외식시장 규모 또한 2011년 약 68조원으로 10년 전에 비해 2배 수준으로 커졌으며, 앞으로도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REI 2012). 외식의 증가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짐에 따라 과다한 열량이나 염분섭취로 인한 영양 불균형이나 질병 발생에 대한 문제가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Kant & Graubard 2004; Chung 등 2006).
집 밖에서 식사를 하는 외식을 자주 하면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 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외식시장 규모 또한 2011년 약 68조원으로 10년 전에 비해 2배 수준으로 커졌으며, 앞으로도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REI 2012). 외식의 증가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짐에 따라 과다한 열량이나 염분섭취로 인한 영양 불균형이나 질병 발생에 대한 문제가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Kant & Graubard 2004; Chung 등 2006). 따라서 건강과 올바른 식품 선택을 위한 영양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으며, 음식이 포함하고 있는 영양성분이나 건강정보 표시를 통해 외식소비자들로 하여금 올바른 정보에 의한 음식 선택이 필요함이 강조되고 있다(Hong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 YS, Choi OS, Rho JO. 2008. A study on the purchase patterns of processed foods and perception of school dietitians on nutrition labelling in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 Nutr 2:87-96 

  2.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2010. Preferences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58-468 

  3. Chang SO. 2000.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Korean J Nutr 33:763-773 

  4.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 Nutr 12:519-533 

  5. Chung HJ, Cheon HS, Kwon KI, Kim JY, Yoo KS, Lee JH, Kim JW, Park HK, Kim SH, Hong SM. 2009. The recognition and requirement of nutrition labeling in fast-food restaurants. Korean J Nutr 42:68-77 

  6. Chung JY, Kim M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 Nutr 12:417-425 

  7.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2006.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9:841-849 

  8. Hong KE, Kang YW, Joung HY. 2008. An analysis of consumers' needs and practice willingness for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in restaurant industry among Seoul residents. Korean J Nutr 41:365-373 

  9. Joo NM, Yoon JY, Kim OS, Park SH, Ko YJ, Kim JY. 2006.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emal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 Food Culture 21:209-215 

  10. Jun SM, Kwon SH, Park HK, Kim SH, Kwon KG, Jung HR. 2009. Consumers' use and demand of restaurant foods nutrition labeling. Korean Soc of Consumer Studies 20:279-306 

  11. Kant AK, Graubard BI. 2004. Eating-out in America, 1987-2000: Trends and nutritional correates. Prev Med 38:243-249 

  12. Kim DH, Beik GY. 2005. A study on the eating-out behavior of city workers(I)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ating-out behavior-. Korean J Food & Nutr 18:241-253 

  13. Kim HS, Lyu ES. 2012.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for foreigners living in Busan with regard to nationa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89-96 

  14. Kim SY, Nayga RM, Capps O. 2001. Food label use, selfselectivity, and diet quality. J Consum Aff 35:246-363 

  15.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Analysis of consumption structure on eating-out. http://krei.re.kr. 2013.07.12 

  16. Kreuter MW, Brennan LK, Sharff DP, Lukwago SN. 1997. Do nutrition label readers eat healthier diets? Behavioral correlates of adults'use of food labels. Am J Prev Med 13:277-283 

  17. Kwon KL, Park SH, Lee JH, Kim JY, You KS, Kim SY, Sung HN, Nam HS, Kim JW, Lee HY, Park HK, Kim MC. 2007.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ing and claims on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Korean J Comm Nutr 12:206-213 

  18. Lando AM, Wolfe JL. 2007. Helping consumers make more food choices: Consumer views on modifying food labels and providing point-of purchase nutrition information at quickservice restaurants. J Nutr Edu & Behavior 39:157-163 

  19. Lee HY, Kim MK. 2008.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Korean J Nutr 41:839-850 

  20. Lee IS, Choi BS. 2004. A study on dining-out behaviors of community for marketing strategy of local food service industry. Korean J Comm Nutr 9:214-224 

  21. Lee KJ, Lee YH. 2004. A study on the dietary life of housewives and their usage practices of food-nutrition labeli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161-174 

  22. Lim YH, Na MI. 2008. A survey on dining-out behaviors and food habits of housewives in Daejon. Korean J Food Culture 23:1-9 

  23. Park JH, Jang IH. 2012.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Korean restaurant by motivation for eat out: Centered around Korean restaurants in Daejeon area. J Hospi & Tour Stu 4:201-213 

  24. Park SH, Lee MA, Cha SM, Kwock CK, Yang IS, Kim DH. 2009. Analysing foreign consumers' perceived brand image of Korean food. Korean J Food Cookery Sci 25:655-662 

  25. Shin BG, Kwon YJ. 2010. Difference analysis on the cognition, image, attitude,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mong American, Chinese, and Japanese groups.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n 13:311-332 

  26. Sohn CY. 2009.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on restaurants menus among adults in Suwon. Kor J Comm Nutr 14:420-429 

  27. Van JW. 2008. A study on eating-out behaviors by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female consumer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23:377-387 

  28. Yoo JN, Jeong HS. 2011. Consume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level of health consciousness. Korean J Food & Nutr 24:282-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