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남자에서 영양교육 경험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와 대사성 위험 - 2016~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Metabolic Risk and Nutrient Intake by Nutrition Education in Korean Adult Men - Result from the 2016~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2 no.3, 2019년, pp.251 - 258  

김미현 (경일대학교 식품개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in regards to metabolic risk and nutrition intake in Korean adult male using the 2016~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s the reference.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1,978 male subjec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성질환에 대한 영양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한 연구와 달리 Yoon 등(2002)은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한 성인 질환자를 대상으로 3회의 영양상담 및 영양교육을 실시하였을 때 대부분의 식습관 항목에서 교육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국가 지정통계를 이용하여 대사성 위험이 증가하는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영양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와 대사성 위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교육이란? 영양교육은 개인의 영양지식을 향상시키고 이를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식생활 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바람직한 식생활 개선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Contento 등 1995). 영양교육 경험은 비질환자가 만성질환자로, 그리고 질환자가 중증질환자로 변화되지 않도록 하므로 건강한 노년을 보내는데 있어서 영양교육을 통한 영양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Sahyoun NR 2002).
성인 남자의 고혈압 유병률은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성인 남자의 고혈압 유병률은 2017년 32.3%로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최근 3년 간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성인 남자의 당뇨병 유병률은 12.
만성질환과 관련하여 질환의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0%로 2014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들 만성질환의 치료에 소요되는 의료비 지출은 개인과 국가의 경제적 손실은 물론이고,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만성질환의 유병률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질환의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 YJ. 2018. Cereal intake status and nutritional status of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6. J Nutr Health 51:515-525 

  2. Chang MH, Jung SJ. 2018.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obesity index and behavioral modification in moderate obese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3:318-332 

  3. Contento IR, Balch GI, Bronner YL, Lytle LA, Maloney SK, Olson CM, Swadener SS. 1995.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implications nutrition education policy, program, and research: A review of research. J Nutr Educ 27:277-418 

  4. Drichoutis AC, Lazaridis P, Nayga R. 2006. Consumers' use of nutritional labels: A review of research studies and issues. Acad Mark Sci Rev 10:1-25 

  5. Eum SO, Kim SD, Lee JS. 2007. Effects of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s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hypertension patients. Korean Public Health Res 33:162-174 

  6. Fitzgerald N, Damio G, Segura-Perez S, Perez-Escamilla R. 2008. Nutrition knowledge, food label use, and food intake patterns among Latina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J Am Diet Assoc 108:960-967 

  7. Kang SJ, Noh, JC, Kim SJ, Kim JH, Jung SL, Hong JY, Kim MJ. 2012. Effects of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health fitness, nutrient intake on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in hypertension patents. J Korean Acad Kinesiol 14:21-32 

  8. Kim BH, Yang JS, Kye SH, Lee YN. 2014.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city. Korean J Food Nutr 27:495-506 

  9. Kim EJ, Hwang HJ. 2010.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f overweight or obese female adults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78-84 

  10. Kim MH. 2016. Comparison of chronic disease risk b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women: Using data from the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Food Nutr 29:938-945 

  11. Kim MS, Kim JS, Yu JO. 2012. Factors relating to use of food labels among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9:1-12 

  1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a.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13.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b.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VII-2), 2016-2017 

  14. Lee HY, Kim MK. 2008.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Korean J Nutr 41:839-850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16. Miyashita Y, Koide N, Ohtsuka M, Ozaki H, Itoh Y, Oyama T, Uetake T, Ariga K, Shirai K. 2004. Beneficial effect of low carbohydrate in low calorie diets on visceral fat reductio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obesity. Diabetes Res Clin Pract 65:235-241 

  17. Moon EH, Kim KW. 2011.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hypertension patients aged 50 years and over. Korean J Community Nutr 16:62-74 

  18. Oh JY, Kim SB. 2010. Devle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at community health center: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15:485-497 

  19. Phillips CM, Goumidi L, Bertrais S, Field MR, Peloso GM, Shen J, McManus R, Hereberg S, Lairon D, Planells R, Roche HM. 2009. Dietary saturated fat modulates the association between STAT3 polymorphisms and abdominal obesity in adults. J Nutr 139:2011-2017 

  20. Post RE, Mainous AG, Diaz VA, Matheson EM, Everett CJ. 2010. Use of the nutrition facts label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m Diet Assoc 110:628-632 

  21. Rhie SG, Park HA, Jung EH. 2007.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weight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8:469-480 

  22. Sahyoun NR. 2002. Nutrition education for the healthy elderly population: Isn't it time? J Nutr Educ Behav 34:S42-S47 

  23. Yoon HS, Park CM, Chun JH. 2018. Subjective health quality and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in health education (smoking, drinking, nutrition) of the local residents. Korean J Soc Integr Med 6:101-110 

  24. Yoon JS, Jeong YH, Park JA, Oh HM. 2002.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nutritional education on adults having two or more symptoms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Korean J Community Nutr 7:794-802 

  25. Yoon YS, Oh SW, Park HS. 2006. Socioeconomic status in relation to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s: A focus on sex differences. Obesity 14:909-919 

  26. Zarkin GA, Dean N, Mauskopf JA, Williams R. 1993.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nutrition label changes. Am J Public Health 83:717-7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