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의 종류에 따른 오미자 추출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with Various Water Typ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4, 2013년, pp.706 - 712  

이성호 (계명문화대학교 식품영양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청류에 이용할 수 있는 오미자 추출액을 얻기 위해 증류수, 수돗물과 Ca, Mg 등의 미네랄이 풍부한 청송약수를 이용하여 오미자 추출액을 제조하고 이화화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오미자 추출조건으로는 25배의 용매비로써 실온에서 6, 9, 12, 15시간, $65^{\circ}C$에서 2, 3, 6, 9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의 명도(L, Lightness), 적색도(a, redness), 황색도(b, yellowness), 가용성 고형분(solid content), 산도(acidity), pH, DPPH 라디칼을 소거능을 이용한 전자 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양호한 추출조건을 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온에서는 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12시간 추출하는 것이 적당하였으며, $65^{\circ}C$ 가온 상태에서는 6시간 추출함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가온 상태에서 약수의 경우 증류수, 수돗물에 비해 빠른 추출이 가능하였으며, 추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산도는 낮아지나, 고형분의 양과 DPPH 라디칼을 소거능은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고려할 때에 오미자 추출을 위한 가장 적합한 물로는 미네랄이 풍부한 약수이며, 다음으로 수돗물 그리고 증류수 순서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the basic study on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for juice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Extraction is being performed as 25 times of the solvent ratio at room temperature and at $65^{\circ}C$ with deionized water, tap water and Cheong-song mine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수한 오미자 추출액을 얻기 위해 증류수, 수돗물 그리고 Ca, Mg 등 미네랄이 풍부한 청송약수를 이용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추출 온도는 실온과 기존의 연구에서 추천된 65℃에서 추출시간별로 얻은 추출물로부터 기능성 실험 등을 바탕으로 물의 종류별로 가장 적합한 추출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채는 어떤 재료를 이용하여 만드는가? 우리나라의 음청류(飮淸類)는 에탄올 성분을 포함한 술을 제외한 기호성 음료의 총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화채(花菜)는 여러 가지 과일, 열매 또는 식용 꽃잎 등을 꿀이나 설탕에 재웠다가 물을 붓고 차게 만드는 것으로, 국물은 주로 오미자 우린 물이나 과일즙을 이용하였다.
오미자라는 이름의 어원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on)는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덩굴식물의 열매로서, 6~8월에 개화하여 9~10월에 과실이 익고, 서리가 내린 후에 채취하여 사용하며, 우리나라의 중부지역에 재배되고 있다(Jeong 등 2003). 오미자는 달고도 시며, 맵고도 떫고 쓴맛 5가지의 맛이 다양하게 조화를 이룬다는 뜻에서 불리어진 이름으로 비타민 C, 유기산 등과 페놀 화합물이나 테르펜 등의 향기성분과 안토시아닌 색소에 의한 붉은 색을 띠고 있다(Sung KC 2011).
증류수, 수돗물, 약수를 이용해 65℃에서 추출한 오미자를 2,3,6,9시간 동안 추출시간에 따라 관찰한 결과, 가장 높은 산도를 나타내는 추출시간 범위는? 65℃에서 추출물에서도 3~6시간 추출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실온과 비교하여 특이한 점은 가온 시에 훨씬 많은 산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able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0 

  3. Egashira N, Kurauchi K, Iwasaki K. 2008. Schizandrin reverses memory impairment in rats. Phytotherapy Research PTR 22:49-52 

  4. Han ES, Rho SN.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s made repared by various immersion condition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368-375 

  5. Han SW. 1998. The effects of fructure Schizandra chinensis water on serum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19:364-372 

  6. Jeong HS, Joo NM. 2003. Optimiz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processing of Omija-pyu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429-438 

  7. Jo SH, Ha KS, Moon KS, Lee OH, Jang HD, Kwon YI. 2011. In vitro and in vivo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fruit. Int J Mol Sci 12:1359-1370 

  8. Jung YH, Han SH. 2011. Biochem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in rat kidney toxicity induced by aluminum. Korean J Food & Nutr 24:28-36 

  9. Kang IS, Kim JS, Sung TS, Cho MD, Cho HH. 1999. Food Chemistry. Ji-Gu publishing Press. pp.183-184. Seoul. Korea 

  10. KFDA. 2005. Korean Food Standards Codex pp.853-854.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1. Kim HG. 1981. Review on mineral water of Chojeong, Chungbuk province. Food Sci & Industry 14:44-47 

  12. Kim JS, Choi SY.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 Nutr 21:35-42 

  13. Kim SI, Sim KH, Ju SY, Han YS. 2009.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2:41-47 

  14. Lee KJ. 2000. An analytical study on "Ganpyun Chosun Yori-Jebup" fermentation foods, rice cake, Korean dessert and beve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465-479 

  15. Lee SH, Lee H.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herbalacupuncture with Schizandra fructus solution on hyperlipidemia in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The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8:143-153 

  16. Lee SH. 2000.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lgi mineral water in Cheongsong. J Korean Chem Soci 44:220-228 

  17. Lee SH. 2000.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incheon mineral water in Cheongsong. J Korean Chem Soci 44:380-386 

  18. Lee SH. 2004. Characteristics of the rice and the cooked rice treated with Cheong-Song mineral water. Keimyung Rearch Nonchong 22:477-492 

  19. Lee SH. 2012. The basic study for noodle making and cooking with Cheong-song mineral water. Korean J Food & Nutr 25:820-826 

  20. Lee WY, Choi SY, Lee BS, Park JS, Kim MJ, Oh SL. 2006.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3:252-258 

  21. Lee YS. 1999. Food Nutrition. pp.223-224. Kangmoongak publishing Press 

  22. Min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under various conditions for beverage production. Korean J Food Culture 28:320-327 

  23.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307-315 

  24. Park HJ, Cho JY, Kim MK, Koh PO, Cho KW, Kim CH, Lee KS, Chung BY, Kim GS, Cho JH. 2012. Anti-obesity effect of Schisandra chinensis in 3T3-L1 cells and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Food Chem 134:227-234 

  25. Park SH, Han JH. 2004. A study of medicinal plants for applications in functional foods. 1. Effects of Schizandra fructus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34-40 

  26. Song YO, Lee SJ, Park HJ, Jang SH, Chung BY, Song YM, Kim GS, Cho JH. 2013. Hepatoprotective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on high-fat diet-induced fatty liver in rat. Korean J Vet Serv 36:45-52 

  27. Sung KC. 2011.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28:290-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