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 일부 지역 노인들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원활 정도에 따른 식생활 패턴의 차이
Dietary Patterns among the Elderly in Jeollanam-do Area based on Their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Stat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4, 2013년, pp.783 - 796  

윤은주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dietary patterns among the elderly over 75 years old living in Jeollanam-do area in May 2012. Although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36 consenting subjects, only 194 who completed the ADL, IADL, and K-MMSE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Using AD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화와 관련하여 식습관 변화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요인은 운동량 감소, 소화기능 저하, 미각과 후각의 감퇴, 치아 손상 등 생리적 요인과 식욕 저하, 식품 구입의 어려움, 요리할 수 있는 기력의 부족 및 씹고 삼키는 문제가 발생되어 식사를 거르게 되며(Kang 등 2008; Kang MH 1994; Schiffman 등 1976), 이는 노인의 영양 섭취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건강상태를 악화 시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장수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총체적 건강상태를 신체적 정신적 기능 원활 정도로 측정하여 분류하고, 기능이 대체적으로 원활한 노인과 상대적으로 불량한 노인으로 군집화하여 이들의 식생활 특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순히 연령대, 거주 지역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노인의 식생활 특성을 규명하는 것보다 노인의 총체적인 건강상태에 따른 식생활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건강한 장수를 영위하는데 관련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하지만 수명이 길어졌다는 것이 반드시 노인의 영양 상태가 좋아졌음을 뜻하지는 않는다. 의학의 발달로 수명은 연장되었으나, 많은 노인들이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통계청 지표에 따르면 2007년 우리나라 남자의 기대여명은 76.1세, 여자의 기대여명은 82.7세로 남녀 평균 기대여명이 79.6세인 반면, 건강수명은 71.0세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11). 건강수명은 평균수명에서 병이나 부상 등으로 인한 평균장애기간을 차감한 기간으로써 전체 인생에서 약 8년여의 시간을 질병이나 부상으로 고통 속에서 보내게 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연령대, 거주 지역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노인의 식생활 특성을 규명하는 것보다 노인의 총체적인 건강상태에 따른 식생활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건강한 장수를 영위하는데 관련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어떠한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현안이 되고 있는가? 1%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Statistics Korea 2011).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노인 의료복지 문제, 노인 부양에 대한 부담, 경제성장률 둔화 등 고령화 사회로 인한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현안이 되고 있다(Kim & Choi 2011). 인간의 수명이 이렇듯 늘어나면서 장수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Kim SH가 제주노인의 장수요인으로 분류한 10가지는 무엇인가? 인간의 수명이 이렇듯 늘어나면서 장수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Choi & Lee(1993)는 생태적, 문화적, 환경적 요소들이 노인들의 장수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으며, Kim SH(1998)은 음식, 정신, 수면, 기거, 위생, 노동, 운동, 타고남, 자손의 효행, 생의 애착 등 제주노인의 장수요인을 10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이에 발맞추어 영양학 분야에서는 노인의 영양 상태와 이에 관여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노인의 성별, 연령, 거주 지역, 거주 형태, 경제 상태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노인의 영양 섭취 및 영양 상태 비교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노인의 영양 상태와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ng HS, Kim MR. 1999. A study on dietary status of elderly Koreans with 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65-273 

  2. Cho YE, Lee SL, Cho EH, Lomeda RAL, Kwak EH, Kim YH, Kwun IS. 2006.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of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 between 24 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98-707 

  3. Choi HJ, Kim GE, Cheong HS, Jung SJ, Kim SH. 2005. The effects if relating factors on the nutrient intake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yeongnam Namhae area. J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1:21-27 

  4. Choi YH, Lee YH. 1993. A study on thoughts of the elderly about long life (Chang su). J Korean Academy of Nursing 23:649-663 

  5. Chung HK, Kim MH. 2012. Study on food culture of Koreans over 80-years-old living in Goorye and Gokseong. Korean J Food Culture 27:142-156 

  6. Hair JA, Anderson RE, Tatham RL, Black W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pp. 500-508 

  7. Jang JY, Kim MJ, Han JS. 2009.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62-1372 

  8. Kang MH. 1994.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people. Korean J Nutr 27:616-635 

  9. Kang YH, Kim MY, Lee E. 200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Nurs 38:122-130 

  10. Kang YW. 2006.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the elderly. Korean J Psychology 25:1-12 

  11. Kim MH, Choi SI. 2011. Effects of the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J Korea Contents Assoc 11:241-252 

  12. Kim SH. 1998. A phenomenological study for the inquiry into long life factors in persons of one hundred and above on Cheju island. J Korean Acad Comm Health Nurs 9:40-63. 

  13. Kim YH, Ha TY, Lee BH. 2006. A comparative analysis of mental status,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senior citizens with or without leisure activities in urb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422-429 

  14. Lee BR, Jeong BY, Kim IS, Moon SK.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food and health-related factors by residence and sex in Tong-Yeong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840-849 

  15. Lee HS, Kwon CS. 2010.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459-1466 

  16. Lee HS, Kwun IS, Kwon CS. 2009.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related risk factors of the older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852-861 

  17. Lim JW, Kim SY, Ke SS, Cho BL. 2011. The prevalence of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elderly in general population. Korean J Fam Med 32:128-134 

  18. Lim YS, Cho KJ, Nam HJ, Lee KH, Park HR. 2000.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between low incom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57-267 

  19. Ro SO, Kim BH. 2005. Changing pattern of food habits by aging. J KSSSS 26:5-22 

  20. Schiffman SS, Moss J, Erickson RP. 1976. Thresholds of food odors in the elderly. Exp Aging Res 2:389-398 

  21. Seo EH, Hwang YI, Cheong HS, Park EJ. 2011. A study on health conditions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women in Gyeongnam. J East Asian Dietary Life 21:311-324 

  22. Statistics Korea. 2011.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0-2060 (Based on the 2010 Census) registration # 11-1240000-000125-13 

  23. Suh HJ, Kim BH. 2009. Comparison of self-living ability, obesity indice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physical fitness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s. Korean J Food & Nutr 22:577-586 

  24. Won CW. 2002. Korea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and Korea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J Korean Geriatr Soc 6:1-10 

  25. Yang KM.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018-10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