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케톤음료를 보충한 저탄수화물·고지방식이 섭취가 치매고위험 노인의 인지기능 및 신체활동 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carbohydrate and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Ketogenic Drink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in the Elderly at High Risk for Dementi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6, 2019년, pp.525 - 534  

김은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박정식 (매일유업(주) 중앙연구소) ,  최원선 ((주)엠디웰 아이엔씨)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Reduced glucose utilization in the main parts of the brain involved in memory is a major cause of Alzheimer's disease, in which ketone bodies are used as the only and effective alternative energy source of gluc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low-carbohydrate and high-fat (LCH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향후 치매 발병의 위험요인을 가진 만 60세 이상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케톤음료를 보충한 LCHF 식이 섭취가 인지기능 및 신체활동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 대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은 케톤음료섭취와 LCHF 식이 중재를 하는 실험군과 완전균형영양음료의 섭취와 일반 식사를 하는 대조군으로 배정되었다.
  • 또한 높은 케톤비의 식이중재는 낮은 순응도로 인하여 장기간 유지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만 60세 이상의 치매고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케톤음료를 보충한 완화된 케톤비의 LCHF 식이섭취가 신체활동능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및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당의 과잉 섭취는 어떤 부작용이 있는가? 포도당의 과잉 섭취는 뇌혈관 내 amyloid β-peptide(Aβ)의 축적을 야기하며, 지속적인 Aβ의 축적은 뇌신경 손상을 유발함으로써 알츠하이머성 치매 증상과 기억력 감퇴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다[5-7]. 뇌에서 포도당 대신 사용가능한 에너지원으로는 케톤체가 유일하며, 효과적인 대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8-9].
뇌의 케톤체는 어떻게 사용되는가? 포도당의 과잉 섭취는 뇌혈관 내 amyloid β-peptide(Aβ)의 축적을 야기하며, 지속적인 Aβ의 축적은 뇌신경 손상을 유발함으로써 알츠하이머성 치매 증상과 기억력 감퇴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다[5-7]. 뇌에서 포도당 대신 사용가능한 에너지원으로는 케톤체가 유일하며, 효과적인 대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8-9]. 케톤식(ketogenic diet)은 탄수화물 섭취를 극도로 제한하는 대신 충분한 지방섭취를 원칙으로 하는 식이요법으로, 탄수화물 섭취 제한에 따라 신체는 간과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에너지원으로 우선 사용한 뒤, 체지방을 분해하여 케톤체를 생성하며 이는 미토콘드리아를 함유하고 있는 뇌와 심장 등의 조직에서 포도당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10].
치매란? 치매는 후천적 외상이나 만성 또는 퇴행성 질환 등에 의해 기억력, 지남력, 계산력, 판단력, 그리고 언어능력 및 수행능력 등의 인지기능 저하를 일으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상태로 정의된다[1-2].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치매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의 치매 환자 수는 20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는 추세로, 2012년 약 54만 명에서 2030년에는 약 127만 명 정도의 치매 환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ye YH, Choi JE, Kim YK, Kim HJ, Lyoo CH, Byun MS et al. Diagnostic usefulness of brain FDG-PET for Alzheimer's dementia.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4. p. 1-197. 

  2. Sorbi S, Hort J, Erkinjuntti T, Fladby T, Gainotti G, Gurvit H et al. EFNS?ENS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dementia. Eur J Neurol 2012; 19(9): 1159-1179.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p. 146-157. 

  4. Volkert D, Chourdakis M, Faxen-Irving G, Fruhwald T, Landi F, Suominen MH et al. ESPEN guidelines on nutrition in dementia. Am J Clin Nutr 2015; 34(6): 1052-1073. 

  5. Alzheimer's association. 2016 Alzheimer's disease facts and figures. Alzheimer Dement 2016; 12(4): 459-509. 

  6. Holtzman DM, Morris JC, Goate AM. Alzheimer's disease: The challenge of the second century. Sci Transl Med 2011; 3(77): 77sr1. 

  7. Lange KW, Lange KM, Makulska-Gertruda E, Nakamura Y, Reissmann A, Kanaya S et al. Ketogenic diets and Alzheimer's disease. Food Sci Hum Wellness 2017; 6(1): 1-9. 

  8. Gjedde A, Crone C. Induction processes in blood-brain transfer of ketone bodies during starvation. Am J Physiol 1975; 229(5): 1165-1169. 

  9. Cunnane SC, Courchesne?Loyer A, St?Pierre V, Vandenberghe C, Pierotti T, Fortier M et al. Can ketones compensate for deteriorating brain glucose uptake during aging? Implications for the risk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nn N Y Acad Sci 2016; 1367(1): 12-20. 

  10. Newport MT, VanItallie TB, Kashiwaya Y, King MT, Veech RL. A new way to produce hyperketonemia: Use of ketone ester in a case of Alzheimer's disease. Alzheimer Dement 2015; 11(1): 99-103. 

  11. Hallbook T, Ji S, Maudsley S, Martin B. The effects of the ketogenic diet on behavior and cognition. Epilepsy Res 2012; 100(3): 304-309. 

  12. Wilder RM. The effects of ketonemia on the course of epilepsy. Mayo Clin Proc 1921; 2: 307-308. 

  13. Hartman AL, Vining EP. Clinical aspects of the ketogenic diet. Epilepsia 2007; 48(1): 31-42. 

  14. Roberts RO, Roberts LA, Geda YE, Cha RH, Pankratz VS, O'Connor HM et al. Relative intake of macronutrients impacts risk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J Alzheimers Dis 2012; 32(2): 329-339. 

  15. Cox PJ, Kirk T, Ashmore T, Willerton K, Evans R, Smith A et al. Nutritional ketosis alters fuel preference and thereby endurance performance in athletes. Cell Metab 2016; 24(2): 256-268. 

  16. Murray AJ, Knight NS, Cole MA, Cochlin LE, Carter E, Tchabanenko K et al. Novel ketone diet enhances physical and cognitive performance. FASEB J 2016; 30(12): 4021-4032. 

  17. Phinney SD. Ketogenic diets and physical performance. Nutr Metab 2004; 1(1): 2. 

  18. Robinson SM, Jameson KA, Batelaan SF, Martin HJ, Syddall HE, Dennison EM et al. Diet and its relationship with grip streng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men and women: The hertfordshire cohort study. J Am Geriatr Soc 2008; 56(1): 84-90. 

  19. Zajac A, Poprzecki S, Maszczyk A, Czuba M, Michalczyk M, Zydek G. The effects of a ketogenic diet on exercise metabolism and physical performance in off-road cyclists. Nutrients 2014; 6(7): 2493-2508. 

  20. Hamirudin AH, Walton K, Charlton K, Carrie A, Tapsell L, Milosavljevic M et al. Feasibility of home?based dietetic intervention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older adults post?hospital discharge. Nutr Diet 2017; 74(3): 217-223. 

  21. Ju DL, Jang HC, Cho YY, Cho JW, Yoo HS, Choi KS et al. Korean food exchange lists for diabetes: Revised 2010. J Korean Diabetes 2011; 12(4): 228-244. 

  22. Park JH, Kim HC. An overview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J Psychopharmacol 1996; 7(1): 13-32. 

  23. Yoo SH, Noh HS. Measurement on the physical fitness of daily living and development of index for the elderly women. Korean J Phys Educ 2001; 40(3): 565-574. 

  24. Guralnik JM, Simonsick EM, Ferrucci L, Glynn RJ, Berkman LF, Blazer DG et al. A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assessing lower extremity function: Association with self-reported disability and prediction of mortality and nursing home admission. J Gerontol 1994; 49(2): M85-M94. 

  25. Krikorian R, Shidler MD, Dangelo K, Couch SC, Benoit SC, Clegg DJ. Dietary ketosis enhances memor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biol Aging 2012; 33(2): 425.e19-425.e27. 

  26. Choi HR, Kim JM, Lim HJ, Park YK. Two-week exclusive supplementation of modified ketogenic nutrition drink reserves lean body mass and improves blood lipid profile in obese adul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Nutrients 2018; 10(12): 1895. 

  27. Paoli A, Grimaldi K, D'Agostino D, Cenci L, Moro T, Bianco A et al. Ketogenic diet does not affect strength performance in elite artistic gymnasts. J Int Soc Sports Nutr 2012; 9(1): 34. 

  28. Sjogren P, Becker W, Warensjo E, Olsson E, Byberg L, Gustafsson I et al. Mediterranean and carbohydrate-restricted diets and mortality among elderly men: A cohort study in Sweden. Am J Clin Nutr 2010; 92(4): 967-974. 

  29. Urbain P, Strom L, Morawski L, Wehrle A, Deibert P, Bertz H. Impact of a 6-week non-energy-restricted ketogenic diet on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healthy adults. Nutr Metab 2017; 14(1): 17. 

  30. Wheless JW. The ketogenic diet: an effective medical therapy with side effects. J Child Neurol 2001; 16(9): 633-635. 

  31. Kang IW, Beom IG, Cho JY, Son HR. Accuracy of Korean-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based on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II results. Korean J Fam Med 2016; 37(3): 17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