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수면과 심리적 요인
Sleep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Medical Students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0 no.2, 2013년, pp.69 - 74  

김대욱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성곤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지훈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양영희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정우영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진성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은 과도한 학업으로 인해 수면 시간이 부족하고 수면의 질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수면 양상 및 이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심리적 문제를 조사하였다. 방 법 :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4학년 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수면 양상,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Epworth sleepiness scale(ESS),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GAS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CES-D), and Moudsley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MOCI)를 조사하였다. 두 군간 연속변수 비교에는 독립 t-검정, 비연속비교는 ${\chi}^2$-검정,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 그리고 세 군 이상 비교에는 ANOVA를 이용하였다(p<0.05, 양측검정). 결 과 : 평일 수면시간 5시간 36분, 주말 수면시간 7시간 39분으로, 주말 수면시간이 더 길었다(t=15.94, p<0.001). 취침 시각은 평일 0 : 49, 주말 1 : 34으로 주말에 더 늦게 취침하였고(t=-5.23, p<0.001), 기상 시각은 평일 6 : 58,. 주말 9 : 30으로 주말에 더 늦게 기상하였다(t=-24.48, p<0.001). PSQI는 ESS(r=0.383, p<0.001), GASS(r=0.326, p<0.001), CES-D(r=0.393, p<0.001), 그리고 MOCI 점수(r=0.247, p< 0.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성적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072, p=0.228). 학년이 높을수록 PSQI, GASS, CES-D, MOCI 점수가 낮았다(p<0.05). 결 론 :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수면의 질은 낮았고 수면 시간은 부족하였다. 수면의 질은 주간졸림, 우울감, 스트레스, 강박 성향과 연관성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medical students are not getting an adequate amount of sleep,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on the sleep patterns of medical students and the related factor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cal students' sleep pattern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수면 양상 및 이와 관련될 것으로 예상되는 심리적 요인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음주 비율을 미국 의과대학생의 78%와 비교하면 남자의 경우 77.
  • 이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을 대상으로 수면 양상, 주간 졸림, 우울감, 스트레스, 강박 성향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수면의 질은 좋지 않았고, 주간 졸림, 우울감과 연관이 있었다.
  • 이 연구에서는 일 의학전문대학원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수면 양상과 스트레스, 심리적인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향후 학생들의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수면시간은 어떠한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은 다른 전공의 학생들보다 학습량이 많고 시험이 잦기 때문에 수면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Abdulghani 등 2012). 수면시간이 부족하면 주간 졸림증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의 저하, 업무 수행 능력의 저하가 일어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여러 연구들에서 보고되고 있다(Pilcher과 Huffcutt 1996 ; Harrison과 Horne 2000).
수면시간이 부족하면 어떤일이 발생하는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은 다른 전공의 학생들보다 학습량이 많고 시험이 잦기 때문에 수면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Abdulghani 등 2012). 수면시간이 부족하면 주간 졸림증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의 저하, 업무 수행 능력의 저하가 일어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여러 연구들에서 보고되고 있다(Pilcher과 Huffcutt 1996 ; Harrison과 Horne 2000). 특히 적절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병원 수련의와 전공의의 수면 박탈은 진료 중 실수와 사고로 이어진다(Leung과 Becker 1992 ; Howard 등 2002 ; Veasey 등 2002 ; Landrigan 등 2004).
의과대학생들의 수면의 질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이전 연구들을 고찰해보면, 의과대학생들은 많은 양의 학업으로 인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어 수면의 부족을 경험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Bahammam 등 2005). 불안정한 수면과 낮은 수면의 질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Wolfson과 Carskadon 2003), 수면의 질이 일반 대학생보다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arney 등 2006). 의과대학생에서는 불충분한 수면 시간, 입면의 어려움, 높은 낮잠 빈도가 알려져 있으며(Sweileh 등 2011), 이러한 수면의 양상이 의과대학생들의 학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몇몇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Curcio 등 2006 ; Ahrberg 등 2012 ; Lemma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dulghani HM, Alrowais NA, Bin-Saad NS, Al-Subaie NM, Haji AM, Alhaqwi AI. Sleep disorder among medical students: relationship to their academic performance. Med Teach 2012;34 Suppl 1:S37-S41. 

  2. Ahrberg K, Dresler M, Niedermaier S, Steiger A, Genzel L. The interac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J Psychiatr Res 2012;46:1618-1622. 

  3. Bahammam AS, Al-Khairy OK, Al-Taweel AA. Sleep habits and pat-terns among medical students. Neurosciences (Riyadh) 2005; 10:159-162. 

  4. Bahammam AS, Alaseem AM, Alzakri AA, Almeneessier AS, Sha-rif MM.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wake habit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Med Educ 2012;12:61. 

  5.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6. Carney CE, Edinger JD, Meyer B, Lindman L, Istre T. Daily activities and sleep quality in college students. Chronobiol Int 2006; 23:623-637. 

  7. Chan GC, Koh D. Understanding the psychosocial and physical work environment in a Singapore medical school. Singapore Med J 2007;48:166-171. 

  8. Curcio G, Ferrara M, De Gennaro L. Sleep loss,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performance. Sleep Med Rev 2006;10:323-337. 

  9. Eller T, Aluoja A, Vasar V, Veldi M.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Estonian medical students with sleep problems. Depress Anxiety 2006;23:250-256. 

  10. Frank E, Carrera JS, Elon L, Hertzberg VS. Basic demographics, health practices, and health status of U.S. medical students. Am J Prev Med 2006;31:499-505. 

  11. Genzel L, Ahrberg K, Roselli C, Niedermaier S, Steiger A, Dresler M, et al. Sleep timing is more important than sleep length or quality for medical school performance. Chronobiol Int 2013;30: 766-771. 

  12. Harrison Y, Horne JA.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on decision making: a review. J Exp Psychol Appl 2000;6:236-249. 

  13. Hodgson RJ, Rachman. Obsessional-compulsive complai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977;15:389-395. 

  14. Howard SK, Gaba DM, Rosekind MR, Zarcone VP. The risks and implication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resident physicians. Acad Med 2002;77:1019-1025. 

  15.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540-545. 

  16. Kim SJ, Lyoo IK, Won CY, Jeong DU. Characteristics of see atter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06;13:15-21. 

  17. Koh KB, Park JK.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Korean J Psychosom Med 2000;8:201-211. 

  18. Landrigan CP, Rothschild JM, Cronin JW, Kaushal R, Burdick E, Katz JT, et al. Effect of reducing interns' work hours on serious medical errors in intensive care units. N Engl J Med 2004;351:1838-1848. 

  19. Lee J, Graham AV. Students' perception of medical school stress and their evaluation of a wellness elective. Med Educ 2001;35:652-659. 

  20. Lemma S, Berhane Y, Worku A, Gelaye B, Williams MA. Good qu-ality sleep is associated with better academic perform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Ethiopia. Sleep Breath;2013. 

  21. Leung L, Becker CE. Sleep deprivation and house staff performance. Update 1984-1991. J Occup Med 1992;34:1153-1160. 

  22. Mansukhani MP, Kolla BP, Surani S, Varon J, Ramar K. Sleep deprivation in resident physicians, work hour limitations, and related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ostgrad Med 2012;124:241-249. 

  23. Olson EJ, Drage LA, Auger RR. Sleep deprivation, physician performance, and patient safety. Chest 2009;136:1389-1396. 

  24. Pilcher JJ, Huffcutt AI.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performance: a meta-analysis. Sleep 1996;19:318-326. 

  25. Rosenbluth G, Landrigan CP. Sleep science, schedules, and safety in hospitals: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pediatric providers. Pediatr Clin North Am 2012;59:1317-1328. 

  26. Sanavio E, Vidotto G. The components of the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Questionnaire. Behav Res Ther 1985;23:659-662. 

  27. Shin SY, Lee JS, Jeong DU. Sleep Patter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09;15:87-93. 

  28. Sweileh WM, Ali IA, Sawalha AF, Abu-Taha AS, Zyoud SH, Al-Jabi SW. Sleep habits and sleep problems among Palestinian students. Child Adolesc Psychiatry Ment Health 2011;5:25. 

  29. Veasey S, Rosen R, Barzansky B, Rosen I, Owens J. Sleep loss and fatigue in residency training: a reappraisal. JAMA 2002;288: 1116-1124. 

  30. Wolfson AR, Carskadon MA. Understanding adolescents' sleep patterns and school performance: a critical appraisal. Sleep Med Rev 2003;7:491-5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