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대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삶의 질과 일주기 리듬 및 수면의 질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Eveningness as well as Sleep Quality among Medical Students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2 no.2, 2015년, pp.64 - 69  

장홍경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소진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철수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봉조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철순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차보석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동윤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서지영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은 의학교육과정 동안 심한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을 경험한다. 따라서 의전원생들의 수면 양상, 불면의 정도, 일주기 리듬삶의 질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 4학년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원 불안-우울 척도, 불면증 심각성 척도, 아침형-저녁형 문항과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과 연관된 요인들을 밝히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시행하였고 상관성 있는 변수들을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의전원 학생들 중 13명에서 약간의 불면증 경향이 있었다. 명백한 저녁형은 3명, 중등도 저녁형은 12명, 중간형은 28명, 중등도 아침형은 3명이었으며 명백한 아침형은 없었다. 피어슨 분석에서 신체적 영역의 삶의 질과 연관을 보인 요소들은 나이, 주중 및 주말 평균 수면시간, 주중과 주말의 수면 차, 우울, 불면증의 심각성 정도, 아침형-저녁형 점수였고 심리적 영역의 삶의 질과 연관을 보인 요소들은 주중 및 주말의 평균 수면, 불안, 불면증의 정도와 아침형-저녁형 점수였다. 사회적 영역의 삶의 질에서는 성별, 주중 평균 수면시간, 우울, 불면증 점수가 연관성이 있었고, 환경적 영역의 삶의 질에서는 주중 및 주말의 평균 수면시간과 불면증의 심각성 정도가 연관성이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불면증의 심각도가 낮을수록 신체적 건강영역, 심리적 영역과 환경적 영역의 삶의 질이 높고, 저녁형 일수록 신체적 건강 영역과 심리적 영역의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의전원 학생들에서 수면의 질이 좋을수록 신체적 및 심리적, 환경적 영역의 삶의 질이 높았고, 저녁형일수록 신체적 및 심리적 영역의 삶의 질이 높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면 습관 개선이 정서적 문제에 대한 개입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investigated whether sleep behaviors, severity of insomnia and circadian typology ar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medical student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6 fourth-year students of GNU Medical School. The hospital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의전원생을 대상으로 한 수면양상과 생활습관, 그리고 학업성적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Shin 등 2008)와 수면양상과 성격특성(Kim 등 1991)에 관한 연구는 있었으나 국내에서 의전원생을 대상으로 한 수면양상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전원생들의 수면양상, 불면의 정도, 일주기 리듬과 같은 수면 인자와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에서 말하는 삶의 질의 정의는 무엇인가?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수면 및 휴식과 관련하여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의대생들의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Min 등 2000).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삶의 질을 “한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권과 가치체계의 맥락 안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하여 인생에서 자신이 차지하는 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이라고 정의하고 있다(WHO 1993). 삶의 질은 건강상태, 생활방식, 생활만족도, 정신상태와 안락성 등에 영향을 받으며(Kjeldstadli 등 2006), 그 중 하나인 생활방식에 수면양상이 포함된다.
의전원생들이 겪는 정신적 및 감정적 스트레스의 문제점은? 뿐만 아니라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습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난이도의 증가, 시험 및 성적관리의 압박, 유급에 대한 걱정과 여가시간의 부족을 느끼며(Linn과 Zeppa 1984;Niemi와 Vainiomaki 2006), 임상실습 동안에는 새로운 환경과 사람들을 마주치게 되는 등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Gerbe 1979). 이러한 스트레스들은 우울과 불안 등의 정서적인 문제를 일으키며, 우울감이 다른 전공을 가진 학생들에 비해 더 높았다(Dahlin 등 2005;Vitaliano 등 1984). 미국에서는 의과대학생(의대생)의 70%가 한때 자신의 정신건강을 염려한 적이 있고(Woods 등 1966), 국내 연구에서는 의대생들의 37.
의전원생들의 우울증 발병 원인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본 연구는 의전원생들의 수면 양상,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의전원생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에서 학습에 대한 스트레스가 우울증 발병 원인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였으며(Ham 2007), 불면과 악몽 같은 수면시의 문제와 수면의 질 저하가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하였다(Chandavarka 등 2007). 본 연구에서 의전원 학생의 우울 및 불안의 비율은 24%와 15%로 다른 연구에서 보고되었던 의대생의 우울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dulghani HM, Alrowais NA, Bin-Saad NS, Al-Subaie NM, Haji AM, Alhaqwi AI. Sleep disorder among medical students: relationship to their academic performance. Med Teach 2012;34 Suppl 1:S37-S41. 

  2. Chandavarkar U, Azzam A, Mathews CA. Anxiety symptoms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Depress Anxiety 2007;24:103-111. 

  3.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 Clin Neurol 2014;10:210-215. 

  4. Curcio G, Ferrara M, De Gennaro L. Sleep loss,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performance. Sleep Med Rev 2006;10:323-337. 

  5. Dahlin M, Joneborg N, Runeson B.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edical students: a cross sectional study. Med Educ 2005;39:593-604. 

  6. Fredriksen K, Rhodes J, Reddy R, Way N. Sleepless in Chicago: tracking the effects of adolescent sleep loss during the middle school years. Child Dev 2004;75:84-95. 

  7. Gale C, Martyn C. Larks and owls and health, wealth, and wisdom. BMJ 1998;317:1675-1677. 

  8. Gerber LA. The search for clinical role models as a way of coping with clerkship stress. J Med Educ 1979;54:659-611. 

  9. Ham BJ. Mental health status of Korean medical students and management of each university. 21st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2007 May 31-June 2; Busan, Korea. 

  10. Harrison Y, Horne JA.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on decision making: a review. J Exp Psychol Appl 2000;6:236-249. 

  11. Hirata FC, Lima MC, de Bruin VM, Nobrega PR, Wenceslau GP, de Bruin PF. Depression in medical school: the influence of morningness- eveningess. Chronobiol Int 2007;24:939-946. 

  12. Jeong Y, Kim JY, Ryu JS, Lee KE, Ha EK, Park H.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health-related behaviors,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in medical students. Epidemiol Health 2010;32:e2010009. 

  13. Kim DW, Kim SG, Kim JH, Yang YH, Jung WY, Lee JS. Sleep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medical students. Sleep Med Psychophysiol 2013;20:69-74. 

  14. Kim SJ, Lyoo IK, Won CY, Jeong DU. Characteristics of sleep patter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 Sleep Med Psychophysiol 2006;13:15-21. 

  15. Kim W, Yun JS, Lee HY. Sleep patterns and personality traits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1;30:1082-1090. 

  16. Kjeldstadli K, Tyssen R, Finset A, Hem E, Gude T, Gronvold NT, et al. Life satisfaction and resilience in medical school: a six-eyar longitudinal, nationwide and comparative study. BMC Med Educ 2006;6:48. 

  17. Lemma S, Berhane Y, Worku A, Gelaye B, Williams MA. Good quality sleep is associated with better academic perform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Ethiopia. Sleep Breath 2014;18:257-263. 

  18. Linn BS, Zeppa R. Stress in junior medical students: Relationship to personality and performance. J Med Educ 1984;59:7-12. 

  19. Medeiros AL, Mendes DBF, Lima PF, Araujo JF. The relationships between sleep-wake cycle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Biol Rhythm Res 2001;32:263-270. 

  20. Min SK, L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9:571-579. 

  21. Min SK, Shin WC, Kim KI, Chung JI, Kim DK.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9:1054-1060. 

  22. Niemi PM, Vainiomaki PT. Medical students' distress-quality, continuity and gender differences during a six-year medical programme. Med Teach 2006;28:136-141. 

  23. Oginska H, Pokorski J. Fatigue and mood correlates of sleep length in three age-social groups: school children, students, and employees. Chronobiol Int 2006;23:1317-1328. 

  24.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289-296. 

  25. Selvi Y, Gulec M, Arargyn MY, Besiroglu L. Mood changes after sleep deprivation in morningness-eveningness chronotypes in healthy individuals. J Sleep Res 2007;16:241-244. 

  26. Shin SY, Lee JS, Jeong DU. Sleep patter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Sleep Med Psychophysiol 2008;15:87-93. 

  27. Vitaliano PP, Russo J, Carr JE, Heerwagen JH. Medical school press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nxiety. J Nerv Ment Dis 1984;172: 730-736. 

  28. Wittmann M, Dinich J, Merrow M, Roenneberg T. Social Jetlag: misalignment of biological and social time. Chronobiol Int 2006; 23:497-509. 

  29. Wong ML, Lau EY, Wan JH, Cheung SF, Hui CH, Mok DS. The interplay between sleep and mood in predicting academic function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 longitudinal study. J Psychosom Res 2013;74:271-277. 

  30. Wood SM, Natterson J, Silverman J. Medical student's disease: Hypochondriasis in medical education. J Med Educ 1966;41:785-790.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Study protocol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 Qual Life Res 1993;2:153-159. 

  32. Yu NJ, Shin SC, Wang SK.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J.A. Horne and O.Ostberg's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and on the sleep patter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5;34:642-6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