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내 철도는 철도 통신망의 여러 기능을 통합하고 보완할 뿐만 아니라, 유선으로 구축된 통신망을 무선화하는 통합무선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통합무선망 구축에 필요한 철도 주파수 확보를 위한 활동이 진행 중이다. 본 논문은 국내 철도 통신망의 문제점을 분산된 네트워크 구조, 제한된 기능, 상이한 통신방식, 통신방식의 기술적 한계, 비면허 대역 사용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국내 철도통신과 비교하여, 세계 철도통신의 현황 및 동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분석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안하고, 이에 대한 기대효과를 도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about the Korean integrated wireless network for railways is in progress. The network integrates and complements the various railway functions. In addition, the network is trying to change from wire communication to radio communication. The activities for the railway frequency acquis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현재 국내 통신망의 문제점을 기능적 관점, 효율성 관점, 기술적 관점, 정책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철도 통합무선망 구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철도 통합무선망의 통신방식으로 GSM, WCDMA, WiBro, TRS, LTE의 기술적 장단점을 분석하여 LTE가 철도 통신방식으로 가장 적합함을 제안하였다.
  • 기존에도 철도 통신망 활용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대부분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기술개발에 대한 현황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도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통합무선망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철도 통신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통신망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는 향후 구축될 통합무선망 구축 방향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앞 절에서 제기된 국내 철도 통신망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철도 통합무선망 구축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철도 통합무선망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를 도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선통신을 활용하고 있는 기능은? 국내 철도 통신망을 활용하고 있는 여러 기능 들은 유선통신을 사용하고 있는 기능과 무선통신을 사용하고 있는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유선통신을 활용하고 있는 기능은 신분당선, 김해 경전철 등 일부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열차 제어시스템, 철도 안전설비 모니터링, 철도 경찰이 사용하는 철도지령망, 화물열차시스템, 건널목 정보시스템 등이다. 무선통신을 활용하고 있는 기능은 열차운행 및 유지관리, 철도승객을 위한 열차운행정보 제공 등이다[1].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철도 통신방식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철도 통신방식은 VHF와 TRS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VHF 방식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3].
VHF 방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고정채널 방식을 사용하여 우선 통화자가 통화 완료될 때까지 대기모드이며, 즉시 통화가 곤란하여 주파수 효율이 낮음 ·수 km이내의 단일 통화권내에서만 통화가 가능하여 통화범위가 좁음 ·혼선, 간섭 배제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사용 중에도 Keying에 의한 통화단절이 발생할 수 있어 통화품질이 떨어짐 ·무전기 방식의 통화 기술로 인해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통화내용 공개로 인해 보안성이 취약함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H. Kim, Y.-K. Yoon, M.-S. Kim, S.-C. Oh, E.-K. Chae (2012)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Wireless Network for Railway,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2 Spring Conference, Mokpo, pp. 1303-1306. 

  2. K.-H. Shin, D.-H. Shin, G.-Y. Kim (2012) A Study on the Position Detection for the Railway Traffic,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3. S.-H. Kim (2012) Construction Plan and Analysis of Effect about the Integrated Wireless Network for Railwa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p.92. 

  4. UIC (2007) ERTMS/GSM-R Quality of Service Test Specification, UIC ERTMS/GSM-R Operators Group & GSM-R Industry Group, p.28. 

  5. Achieved at http://en.wikipedia.org/wiki/GSM-R. 

  6. Peter Tiberg (2009) GSM-R Railway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Nokia Siemens Networks, Banebranchen May 2009. 

  7. Ciro De Col (2012) GSM-R fulfilling the objectives for the open European Rail Network, UIC 2012 ERTMS World Conference, Stockholm. 

  8. Dan Mandoc (2010) UIC - Future Railway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Study, "UIC eNews" Nr 218, Information published on 15 December 2010 in the UIC electronic newsletter(Achieved at www.uic.org/com/article/uic-future-railways-mobile?pagethickbox_enews).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Intelligent Railway Integrated System Project. 

  10. UI C (2010) Railwa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Requirements Specification Version 1.0. 

  11. Peter Winter (2009) Compendium on ERTMS (European Rail Traffic Management System), Eurail Press, pp. 220-222. 

  12. J.H. Baek (2009) The study on Train Separation Control of Train Control System for Conventional Line Speed Up, Ph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