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러닝 기반 과학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학습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based Science I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7, 2013년, pp.727 - 737  

박수경 (경남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 모듈을 개발 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천문단원의 태양계 행성과 달의 위상을 주제로 3가지 유형의 모듈을 개발하였고, 중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태블릿PC를 제공하였고, 천문교육용 앱 Solar Walk, 미러링 기능, QR코드, 구글 프리젠테이션 등을 활용하여 학교와 가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식조사 도구는 스마트러닝 수업에 있어서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학습동기유발(Motivation), 학습자 맞춤형(Adaptiveness), 정보기술활용(Technology Embedded)의 4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커트 5척도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만족도 검사도구는 Keller (1987)의 만족도 영역의 검사 항목을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 만족도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대상 학생들의 성별과 과학성취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에 대하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학습동기유발 요인에서 성취도가 낮은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과학 분야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방향 설정과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their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 based science instruction. Three types of modules on the solar system and lunar phases unit at the middle school level were developed and lessons on each module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 모듈을 개발·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 모듈을 개발·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모듈 개발에서는 현장 스마트교실 환경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설계에 초점을 두어, 교사와 학생들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교육과정의 천문 단원은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공간지각능력, 천체현상에 대한 탐구를 목표로 하므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모듈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 중학교 교육과정의 천문 단원은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공간지각능력, 천체현상에 대한 탐구를 목표로 하므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모듈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스마트러닝 기반 천문단원 수업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모듈을 활용하여 수업한 후 학생들의 성별과 과학 성취도 수준별로 스마트러닝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도구와 학습만족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스마트러닝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동기유발, 학습자 맞춤형 그리고 정보기술활용의 4가지 요소에 대한 문항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모듈 개발에서는 현재 중학교에 구축된 스마트교실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설계에 초점을 두었고, 교사-학생 간 또는 학생-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최대한 유도하고자 하였다. 즉 새로운 학습 콘텐츠, 자유로운 유무선 환경 등을 활용한 교육과 더불어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방법을 혼합하는 혼합형학습(blended learning)의 개념(Lee, 2008)을 적용하였다.
  • 셋째, 과학성취도 수준에 따라 스마트러닝 수업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취도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학습동기유발 요인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도구에서 자기주도학습 요인은 수업에서 알아야 할 내용을 스스로 찾는 과정이나 조원들과의 협력, 태블릿 PC의 사용 둥에 대하여 조사한 것이다. 이에 과학성취도 상위집단은 하위집단보다 자기주도학습 활동에 대하여 어렵지 않게 인식하였다.
  • 최근 스마트 폰과 앱을 활용한 수업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교실 수업에서 학생들의 과학 개념형성을 위해서는 앱과 연계된 구체적인 수업 자료와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문분야 앱인 Solar Walk를 통해 관찰하고 탐구하는데 필요한 보조자료를 제공하여 교육 성과를 얻고자 하였다. 나머지 한 가지 모듈은 ‘소행성이 다가온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로 가정의 온라인 환경에서 웹자료를 조사한 후 팀별로 구글 프리젠테이션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러닝(e-Learning)이란? 인터넷의 확산으로 교육 분야에서도 온라인 학습이 활성화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는 2000년대 초반 Rosenberg (2001)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는 ‘전자적 수단, 정보통신 및 전파 방송 기술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습’으로 규정되며, 대부분의 이러닝 형태가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로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닝을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 형태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2000년대 이후, 모바일 기기가 확산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와 학습을 접목한 형태의 학습 패러다임이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이러닝에서 학습자 중심의 양방향형 학습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었는가? 즉 기존의 이러닝이 웹기반의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일방향적인 형태의 것이었다면 스마트 환경에서의 학습 형태는 학습자 중심의 양방향형 학습을 지향한다. 이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의 스마트형 인프라와 소셜네트워킹, 가상현실 등 스마트형 소프트웨어 기술이 결합되어 가능하게 되었다(Noh et al., 2011).
현대사회에서 학습에 있어서 시간과 장소의 한계는 무엇에 의하여 극복되고 있는가? 정보의 소비, 생산 및 유통이 개인에 의하여 주도되는 현대사회에서는 학습에 있어서 시간과 장소의 한계가 스마트 디바이스, 인터넷, 클라우드, 웹2.0 등의 기술에 의하여 극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인터넷의 확산으로 교육 분야에서도 온라인 학습이 활성화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는 2000년대 초반 Rosenberg (2001)에 의해 제안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uglielmino,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8: 6467A. 

  2. Harrington, A., 2009, Using a smartphone to create digital teaching episodes as resources in adult education. New technologies, new pedagogies; Mobil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2009, 28-35. 

  3. Jo, J. and Lim, H.S., 2012, A conceptual model of smart education conside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 41-48. (in Korean) 

  4. Jeong, B.C., 2004, The effects of the use of internet learning materials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sis of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02 p. (in Korean) 

  5. Keller, J.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 2-10. 

  6. Kim, H.J. and Kim, H.C., 2012, A framework for developing learning activities for SMART Education and an instructional model.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 25-39. (in Korean) 

  7. Kim, H.S., 2002, The use of virtual reality in web-based Earth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531-542. (in Korean) 

  8. Kim, J.H. and Lim, H.S., 2011, SMART learning using web and smart devices -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 81-85. (in Korean) 

  9. Kim, M.J., 2010, Study on Online and Offline relationship of Smart phone SNS Users. Thesis of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04 p. (in Korean) 

  10. Kim, Y.J., 2013, The effects of creative experiences by using Smart devices o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sis of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97 p. (in Korean) 

  11. Ku, J.G., 2010, Model of self-directed learning in a mobile environment development. Thesis of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62 p. (in Korean) 

  12. Kwak, M.H. and Yoo, J.M., 2004, Effect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74-86. (in Korean) 

  13. Lee, G.H. and Oh, S.G., 1999, The study for the WBI design on environment pollutions and its application to teaching- learning proces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15, 265-299. (in Korean) 

  14. Lee, H.W., 2008,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based computer demonstration-practice lesson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sis of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55 p. (in Korean) 

  15. Lee, Y.M., 2012, The effects of digital textbook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sis of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76 p. (in Korean) 

  16. Lim, K., 2011,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enhancing SMART Learning.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 33-45. (in Korean) 

  17. MicroSoft School of the Future, 2013, School of the future. http://www.microsoft.com/education/en-us/leadership/ partners_in_learning/Pages/School-of-the-Future.aspx (August 20th 2013) 

  18. Milrad, M. and Spikol, D., 2007, Anytime, Anywhere learning supported by smart phones: experiences and results from the MUSI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0(4), 62-70. 

  19. Na, J.J., Son, C.J., and Kook, D.S., 2010,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cyber home study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focused on the Earth Science content of the science basic course for the 7th grad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392-402. (in Korean) 

  20. Noh, K.S., Ju, S.H., and Jung, J.T.,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9, 79-87. (in Korean) 

  21. Park, S.K. and Kim, K.H., 2002, The development of level-differentiated WBI program on weather and climate unit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s in Earth Science clas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666-675. (in Korean) 

  22. Rosenberg, M., 2001,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ew York, USA, McGraw-Hill. 343 p. 

  23. Salen, K., 2013, Quest to Learn. http://www.instituteofplay.org/work/ (August 20th,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