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약수터의 지표세균 분포 및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총대장균군 동정 및 계통분석
Occurrence of Indicator Bacteria and Identification of Total Coliforms Using 16S rRNA Gene in Drinking Spring Water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9 no.6, 2013년, pp.513 - 521  

윤태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이향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최금숙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승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이목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어수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ct indicator bacteria in drinking spring water (DSW) sample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to identify their genus through 16S rRNA sequencing and then assessing the genetic relation of their strains. Methods: For indicator bacteria detect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음용 부적합이 반복적인 양상을 보이는 중점관리 약수터를 대상으로 지표세균에 대하여 분포 현황과 검출된 세균의 유전학적인 계통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서울시 소재 약수터에 대한 지표세균의 조사 및 검출특성 연구를 위해 최근 1년간 4회 이상 반복 부적합 등의 사유로 인해 집중 관리대상으로 지정된 약수터에 대해 조사하였다. 봄철 조사는 2012년 4~6월까지 64개소이며, 2차 조사는 여름철에 해당하는 8월에 70개소에 대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약수터의 총대장균군 등 지표세균에 대한 정성시험으로만 판정기준을 정하는 것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약수터는 먹는물 수질기준에 따라 총대장균군 등 지표세균에 대한 정성시험으로만 판정기준을 정하고 있어 약수터의 지표세균 농도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검출세균에 대한 세부적인 속(Genus)의 구성을 판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검출세균의 건강상 위해가능성 여부도 판별하기는 쉽지 않다.
서울은 2011년 말 기준으로 몇 개의 약수터를 관리하고 있는가? 1%가 음용 목적으로 약수터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서울은 2011년 말 기준으로 276개소의 약수터를 각 구청에서 시설유지 및 수질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약수터를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안전한 음용을 위해 매분기마다 수질검사를 실시하여 먹는 물 공동시설 수질기준 검사 결과에 따라 음용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 안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서울시 소재 약수터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정량 분석한 항목은 무엇인가? 봄철 조사는 2012년 4~6월까지 64개소이며, 2차 조사는 여름철에 해당하는 8월에 70개소에 대해 실시하였다. 시료채취는 무균 채수병에 4리터씩 각각 채수하여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및 대장균을 정량 분석하였으며, 여시니아는 정성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KR, Gil HK, Lee MH, Eom SW, Lee JY. Survey of citizens public opinion for natural spring water in seoul. J Soil Groundwater Env. 2011; 16(2): 1-5. 

  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Year's Guide for Management of Drinking Spring Water in Seoul; 2012. 

  3.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 Method for Water Quality Pollution(ES 04701.1-04703.1); 2011. 

  4.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 Method for Drinking Water Quality(ES 05701.1b-05711.1a); 2012. 

  5. Manero A, Blanch AR. Identification of enterococcus spp. based on specific hybridization with 16S rDNA probes. J Microbiol Methods. 2002; 50(2): 115-121. 

  6. Kim MS, Lee YM, Kim SK, Seo JH, Ji KH, Oh JY, et al.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public bath in jongno-gu, Seoul. J Environ Health Sci. 2009; 35(3): 162-168. 

  7.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Available: http://blast.ncbi. nlm.nih. gov/Blast.cgi?PROGRAMblastn&PAGE_TYPEBlastSearch&LINK_LOCblast home; insert 16S rRNA gene [accessed 5 October 2013]. 

  8.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Available: https://www.ncbi.nlm.nih. gov /nuccore/; search of coliforms [accessed 5 October 2013]. 

  9. Lee HT, Kim HY, Park HJ, Cho YE, Ryu SY, Lee KJ, et al. Evaluation of influent water quality using indicator microorganisms in lake shiwha. J Environ Health Sci. 2008; 34(1): 86-94. 

  10. Oh HK, Park JH. Characteristics of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in urban sewage and river. J Kor Soc Environ Eng. 2009; 31(3): 232-239. 

  11. Saitou N, Nei M.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 Mol Biol Evol. 1987; 4(4): 406-425. 

  12. Kumar S, Nei M, Dudley J, Tamura K. MEGA: a biologist centric software for evolutionary analysis of DNA and protein sequences. Brief Bioinform. 2008; 9(4): 299-306. 

  13. Tamura K, Dudley J, Nei M, Kumar S.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 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007; 24(8): 1596-1599. 

  14. Fielda KG, Samadpourb M. Fecal source tracking, the indicator paradigm, and managing water quality. Water Res. 2007; 41(16): 3517-3538. 

  15. Grabow WOK. Microbiology of drinking water treatment, Reclaimed wastewater, 1st ed. New York: Springer-Verlag Press; 1990. p.185-203. 

  16. Randy PR, Adin P, Regina L, Brandon I, Jorge W. Santo D. Identification of bacterial populations in drinking water using 16S rRNA-based sequence analyses. Water Res. 2010; 44(5): 1353-1360. 

  17. George MG, The Gammaproteobacteria.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B, 2nd ed. New York: Springer-Verlag Press; 2005. p.1108-1193. 

  18. Lee IH, Kim SK, Choi YH, Kim JS.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liform bacteria in groundwater of yeungnam province. Kor J Microbiol. 2006; 42(2): 95-102. 

  19. Kim KA, Lee BO, Kim OM, Hur MJ, Kim kT, Ro ji, et al. A Study on pollution of spring in Incheon area. Kor J Environ Health. 2007; 22(3): 35-50. 

  20. Paruch AM, Mahlum T. Specific features of Escherichia coli that distinguish it from coliform and thermotolerant coliform bacteria and define it as the most accurate indicator of faecal contamination in the environment. Ecological Indicators. 2012; 23: 140-142. 

  21. Ashbolt NJ. Grabow, WOK. Snozzi M. Indicators of microbial water quality. In: Fewtrell L, Bartran J. editors. Guidelines, standards and health assessment of risk and risk management for water-related infectious disease, 1st ed. London: IWA Press; 2008. p.289-315. 

  22. David JL, Bernadette P, Gary JO, David AS, Mitchell LS, Norman RP. Rapid determination of 16S ribosomal RNA sequences for phylogenetic analyses. Proc Natl Acad Sci. 1986; 82(20): 6955-6959. 

  23. Murray PR, Baron EJ, Jorgensen JH, Landry ML, Pfaller MA.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9th ed. Washington DC: ASM Press; 2007. 

  24. Drancourt M, Bollet C, Carta A, Rousselier P. Phylogenetic analyses of Klebsiella species delineate Klebsiella and Raoultella gen. nov., with description of Raoultella ornithinolytica comb. nov., Raoultella terrigena comb. nov. and Raoultella planticola comb.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1; 51(3): 925-9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