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연/흡연예방 프로그램의 방법에 따른 효과성 평가: 최근 3년 간 국내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and Prevention Programs by Intervention Methods: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in Korean Journals during Recent 3 Year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5, 2013년, pp.61 - 77  

김혜경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박지연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권은주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최승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보건교육사자격관리사무국) ,  조한익 (한국건강관리협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ogram methods for effective smoking cessation and prevention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published during recent 3 years in Korea. Methods: Electronic searches were conducted in DBPIA, RISS, KISS and other databases looking for stud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The Community Guide가 제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최근 3년간의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관련 논문을 평가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최근 실시한 흡연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의 방법을 근거기반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 향후 추진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최근의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금연 및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방법을 범주화하여 대상별 방법의 효과성 평가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체계적 문헌고찰과정에서 건강행동중재 연구의 구조적, 과정적 제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건강행동중재연구의 양적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미국, 호주, 유럽의 건강증진 선도국가에서는 국가차원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연합체를 구성하고 건강행동에 대한 중재방법의 효과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발표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실시된 금연 및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방법과 전략을 근거기반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 향후 추진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최근 3년간 우리나라 학술지에 발표된 금연 및 흡연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한 논문 25편을 대상으로 미국의 The Community Guide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행하였다.
  • (2000)이 제시한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연구실행의 질, 연구설계의 적절성, 연구의 수, 효과의 일관성, 효과의 크기를 평가한 후 최종결과를 도출하였다[Table 3].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최근 3년간 실시된 금연 및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전략을 근거 기반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향후 발전 과제를 제안하였다.
  • 결과해석의 범주에서는 완료율 80%이상인지의 여부, 중재 전 동질성 평가 여부, 내 · 외적 타당도 검토 여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기타 심각한 연구의 제한점이 존재하는지 평가하였다. 이상의 6개 범주의 12개 평가내용에 대하여, 충족하지 못하는 평가 항목의 개수를 점수로 환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현재 흡연율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나타난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현재 흡연율1)은 남자가 47.3%로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나 흡연율이 40%대로 떨어진 2007년도 이후 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성인 여자의 경우 2008년도 7.4%로 소폭 상승한 이후 2011년도에는 6.8%로 변화가 미미하나 19세~29세의 젊은 여성층에서는 2010년도 7.4%에서 2011년도 10.4%로 흡연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정체 상태인 우리나라의 흡연율을 더 낮추기 위해서 어떤 것이 필요한가? 이와 같이 정체 상태인 흡연율을 더 낮추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지속되어온 금연 노력 즉, 금연 프로그램, 정책, 서비스의 효과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금연과 같은 건강행동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개별 연구결과를 검토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성인 남성 흡연율은 어떤 정책의 추진으로 감소하였는가? 1990년대 초반 70%를 상회했던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은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 및 이후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 추진 등 지속적인 금연 정책 추진으로 현재의 40%대로 감소하였으나 건강증진종합계획 2010에서 목표로 하였던 30%에는 못 미치며 아직도 경제협력개발기구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국가에서는 러시아, 인도, 중국에 이어 남성흡연율이 높은 나라이다(OECD, 2013). 또한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흡연율 감소량은 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braham, C., & Michie, S. (2008). A taxonomy of behavior change techniques used in intervention. Health Psychology, 27(3), 379-387. 

  2. Avila-Tang, E., Al-Delaimy, W. K., Ashley, D. L., Benowitz, N., Bernert, J. T., Kim, S., . . . Hecht, S. S. (2013). Assessing secondhand smoke using biological markers. Tobacco Control, 22(3), 164-71. 

  3. Briss, P. A., Zaza, S., Pappaioanou, M., Fielding, J., Wright-De Aguero, L., Truman, B. I., . . . Harris, J. R. (2000). Developing an evidence-based guide to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method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8(1), 35-43. 

  4. Cha, J. S., Park. C. M., & Lee, J. R. (2010).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s on high school smokers' smoking behavior and attitud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1(2), 43-55. 

  5. Cheong, Y. S., & Ahn, S. H. (2010). Effect of multi-modal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in a university setting: A short course of varenicline, financial incentives, e-mail and short message servic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5), 355-360. 

  6. Cho, H. A., & Han, S. S. (2011). Five-day smoking cessation program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psychological factors by correctional youth smoking.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1), 49-56. 

  7. Cho, S. H. (2012).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education on smoking cessation, endothelial function, and serum carboxyhemoglobin in male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2), 190-198. 

  8. Choe, E. Y., & Jeong, S. H. (2012).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smoking, CO, Urine Cotinine level and self-efficacy for adolescent smoker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2), 103-111. 

  9. Chun, J. S., & Song, I. S. (2010).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on probation. Studies on Korean Youth, 21(3), 61-89. 

  10. Contento, I. R. (2008). Nutrition education: 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Asian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7, 176-179 

  11. Dalum, P., Schaalma, H., & Kok, G. (2012). The development of an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 to planning. Health Education Research, 27(1), 172-181. 

  12. DiClemente, C. C., Delahanty, J. C., & Fiedler, R. M. (2010). The journey to the end of smoking: A personal and population perspectiv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8(3), S418-S428. 

  13. Franz, M. J., VanWormer, J. J., Crain, A. L., Boucher, J. L., Histon, T., Caplan, W., . . . Pronk, N. P. (2007). Weight-loss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weight-loss clinical trials with a minimum 1-year follow-ups.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7, 1755-1767. 

  14. Garrison, M. M., Christakis, D. A., Ebel, B. E., Wiehe, S. E., & Rivara, F. P. (2003).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5(4), 363-367. 

  15. Glanz, K., & Bishop, D. B. (2010). The role of behavioral science theory i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health interventions. Annual Reviews in Public Health, 31, 399-418. 

  16. Ha, Y. S., & Choi, Y. H. (2012). Effectiveness of a motivational intervie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cessation change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19-27. 

  17. Hemingway, P., & Brereton, N. (2009). What is a systematic review? Retrieved from: http://www.medicine.ox.ac.uk/bandolier/painres/download/whatis /syst-review.pdf 

  18. Hersey, J. C., Khavjou, O., Strange, L. B., Atkinson, R. L., Blair, S. N., Campbell, S., . . . Britt, M. (2012). The efficacy and cost-effectiveness of a community weight management interven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health weight management demonstration. Preventive Medicine, 54, 42-49. 

  19. Hwang, M. S. (2010). Using focus group interview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with music therap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4), 131-139. 

  20. Hyun, H. J., & Ahn, H. Y. (2008). An analysis of the research on effect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Nursing, 19(3), 469-479. 

  21. Jee, Y. J., Lee, H. J., & Lim, Y. J. (2011).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for middle school boy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20(1), 1-12. 

  22. Jun, W. H., & Yun, H. S. (2012).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for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3), 274-283. 

  23. Kim, H., & Kwon, E. (2012). Trends in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from 2009 to 2011.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4), 1-13. 

  24. Kim, H. K. et al. (2011). The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Clinics in the Korean Armed Forces: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Life Skill Approach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79-94. 

  25. Kim, J. N., Kwon, Y. S., Park, T. N., Bae, S. H., Park, J. Y. (2011). Self efficacy and Processing of change After Abstention Following a Smoking cessation program.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5(1), .11-20. 

  26. Kim, J. S., & Lee, S. O. (2010).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processes of change, situational temptation and decisional balance in male university student smoker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17(2), 113-123. 

  27. Kim, S. L., Lee, J. E., Cho, D. R., Kim, J. I., & Kim, Y. L. (2011). Effect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workers in large size company -Using motivational enhancement counseling.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 113-118. 

  28. Kim, Y. H., & Hoe, M. S. (2011). Exa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n adolescent smoking prevention program criticizing cigarette advertisement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1, 267-296. 

  29. Kim, Y. H., & Lee, S. H. (2010). Smoking cessation.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9, 153-162. 

  30. Kim, Y. S. (2011). The effects of a self-esteem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iency improvement program on smoki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2(2), 121-130. 

  31. Kim. K. S., Lee, U. S., Lee, J. H., Yoon, Y. S., Yang, Y. J., Park, S. H., & Kwak, H. J. (2012). The effects of the brief inpatient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on quit success and stage of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esearch on Nicotine and Tobacco, 3(1), 10-18. 

  32. Lim, E. S. (2010). Effect of “5&6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5-day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2), 95-108.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Korea: Author. 

  34. Noar, S. M., & Zimmerman, R. S. (2005). Health behavior theory and cumulative knowledge regarding health behaviors: Are we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20(3), 275-290. 

  35. Oh, Y. M., & Son, C. N. (2011).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nicotine patch on smoki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 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Social Science Studies, 35(2), 253-276. 

  36.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OECD Factbook 2013: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Seoul, Korea: Author 

  37. Park, N. H. (2012).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y, temptation, self-esteem, depression in adolescents who sm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1), 1-8. 

  38. Park, S. H., Hwang, J. H., Choi, Y. K., & Kang, C. B. (2012).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adult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3), 1-14. 

  39. Ranney, L., Melvin, C., Lux, L., McClain, E., & Lohr, K. N. (2006). Systematic review: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ults and adults in special populati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5(11), 845-856. 

  40. Rosen, L. J., Noach, M. B., Winickoff, J. P., & Hovell, M. F. (2012). Parental smoking cessation to protect young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ediatrics, 129, 141-152. 

  41. Shim. S. H., Kim, H. S., & Kim, Y. S. (2010).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by making use of group discus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2), 246-255. 

  42. Shin, S. R. & Suh, H. W. (2010).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s on Smoking Cessation Leadership Program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6):582-593. 

  43. Shin, S. R., Jeong, G. C., & Kim, H. S. (2011) The effect of a child-parent secondhand smoke preven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1-15. 

  44. Shin, S. R., Lee, C. O., & Jeong, G. C. (2013). Effect of a smoking cessation motivational program for adolesc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2), 130-139. 

  45. Song, J. I., Lee, K. H., Kim, M. E., & Kim, K. S. (2010). Study on short term smoking cessation treatment in dental hospitals in Korea. Oral Medicine, 35(4), 245-258. 

  46. Tucker, J. S., Ellickson, P. L., & Klein, D. J. (2002). Smoking cess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Nicotine Tobacco Research, 4, 321-332. 

  47. Yeo, C. D., Kang, H. H., Kang, J. Y., Kim, S. K., Kim, M. S., Kim, S. S., . . . Moon, H. S. (2011). A short-term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in outpatient department of pulmonology.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71(2), 114-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