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흡연자의 금연 프로그램 효과: 무작위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Adult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3, 2012년, pp.1 - 14  

박성희 (한중대학교 간호학과) ,  황정해 (한양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최윤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강창범 (한국건강증진재단 연구개발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smoking cessation programs (SCPs) are effective for adult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sults of such programs in larg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ethods: The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ator, Outcome) strategy was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제한점은 한국어와 영어로 출판된 논문만 분석대상에 포함한 점이긴 하나 깔때기 도표 분석 결과, 모두 대칭적인 양상을 나타내 출판편중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 흡연자에게 금연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 또한, 어떤 금연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지와 아울러 자가 보고식 주관적인 지표와 생리적인 지표로 측정한 금연 프로그램의 결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성인 흡연자에게 적용한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여 어떤 금연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인지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성인 흡연자에 있어 금연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다고 분석되었으며 금연상담, 금연교육, 금연보조제의 투여가 보다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성인 흡연자에게 제공한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코크란 연합에서 권고하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Higgins & Green, 2011), 2000년 이후 출판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 중 연구대상자가 300명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검토하였다.
  • 08])로 금연효과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흡연자에게 어떤 금연 프로그램이 효과적인가를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어 자가보고와 생리적 변수로 측정된 금연율의 보고 차이를 명확하게 검증할 수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자가보고가 금연에 대해 과다보고(over-report)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반대 양상을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19세 이상의 건강한 일반 성인에게 시행된 각종 금연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금연중재를 시행한 경우와 플라시보(placebo)나 중재를 시행하지 않은(no treatment) 경우만을 대조군으로 비교한 대규모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성인의 다양한 금연중재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서, 금연중재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국가 금연정책의 방향과 지역 금연 활동의 내용을 점검하는데 활용되고,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 실태조사 결과는 어떠한가? 하지만 최근 보고된 우리나라 금연 실태에 대한 통계 등의 조사결과는 아직도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어야함을 지적하고 있다. 2011년 상반기 보건복지부의 흡연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초 흡연 시작연령이 20.6세로 전년도 비교, 계속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연령대별로 구분하면 50대는 23.0세이었으나 20대의 경우는 18.6세로 더 어려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2009년 성인 남성 43.1%, 성인 여성 3.9%였던 흡연율은 2011년 6월 실태조사에서 각각 39.0%, 1.8%로 감소하였으나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 흡연율의 감소율은 2010년 이후 둔화 추세이며, 아직도 OECD 국가들의 흡연율과 비교 시 30대 남성 흡연율이 51.2%로 매우 높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금연에 전문적인 도움이 요구되는 이유는? , 1990) 자신의 상황에 맞는 금연 중재가 필요 하다.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을 원하지만 니코틴의 중독성 때문에 자발적 의지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금연은 전문적인 도움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분야이다. 그 동안 국내외 다양한 실험 및 조사연구는 금연의 중요성과 인식을 부각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해 왔으나, 개별 효과의 변이가 크고 산발적인 관계로 이를 통합적으로 일반화하여 적용하는데 무리가 있었다.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떤 금연 관련 과정들보다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성인 흡연자에게 적용한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여 어떤 금연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인지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성인 흡연자에 있어 금연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다고 분석되었으며 금연상담, 금연교육, 금연보조제의 투여가 보다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6개월 미만의 단기적 효과였으며, 이는 금연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pert, H. R., Connolly, G. N., & Biener, L. (2012). A prospective cohort study challenging the effectiveness of population-based medical intervention for smoking cessation. Tobacco Control. Advanced online publication. http://dx.doi.org/10.1136/tobaccocontrol-2011-050129. 

  2. Bidwell, S., & Jensen, M. F. (2004). Chapter 3: Using a search protocol to identify sources of information: the COSI Model. In L-A. Topfer & I. Auston (Eds). Etext o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HTA) information resources. Retrieved from http://www.nlm.nih.gov/archive/20060905/nichsr/ehta/chapter3.html 

  3. Bize, R., Willi, C., Chiolero, A., Stoianov, R., Payot, S., Locatelli, I., & Cornuz, J. (2010). Participation in a population-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me as an aid for smoking cessation: a randomised trial. Tobacco Control, 19(6), 488-494. 

  4. Borland, R., Balmford, J., Segan, C., Livingston, P., & Owen, N. (2003).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zed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for callers to a quitline service. Addiction, 98(6), 837-846. 

  5. Boyle, R. G., Solberg, L. I., Asche, S. E., Maciosek, M. V., Boucher, J. L., & Pronk, N. P. (2007). Proactive recruitment of health plan smokers into telephone counseling. Nicotine & Tobacco Research, 9(5), 581-589. 

  6. Cooper, T. V., Klesges, R. C., Debon, M. W., Zbikowski, S. M., Johnson, K. C., & Clemens, L. H. (2005). A placebo controlled randomized trial of the effects of phenylpropanolamine and nicotine gum on cessation rates and postcessation weight gain in women. Addictive Behaviors, 30(1), 61-75. 

  7. Etter, J. F., & Laszlo, E. (2007). Postintervention effect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for smoking reduction: A randomized trial with a 5-year follow-up.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7(2), 151-155. 

  8. Etter, J. F., Laszlo, E., & Perneger, T. V. (2004). Postintervention effect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on smoking reduction in smokers who are unwilling to quit: randomized trial.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4(2), 174-179. 

  9. Fiore, M. C., Novotny, T. E., Pierce, J. P., Giovino, G. A., Hatziandreu, E. J., Newcomb, P. A., . . . Davis, R. M. (1990). Methods used to quit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Do cessation programs help?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3(20), 2760-2765. 

  10. Higgins, J., & Green, S. (Ed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Retrieved from http://www.cochranehandbook.org 

  11. Kim, J. R., Lee, M. S., Hwang, J. Y., & Lee, J. D. (2005). Efficacy of a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using the AHCPR guideline tailored for Korea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1), 51-59. 

  12. Kim, Y.. Park, I., & Park, J. S. (2008). Meta-analysis of effects on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204-216. 

  13. Lennox, A. S., Osman, L. M., Reiter, E., Robertson, R., Friend, J., McCann, I.,. . . Donnan, P. (2001). Cost effectiveness of computer tailored and non-tailored smoking cessation letters in general practic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22, 1396. 

  14. Mackay, J., & Mensah, G. (Eds.). (2004). The atlas of heart disease and stroke.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15. Maguire, T. A., McElnay, J. C., & Drummond, A. (2001).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based in community pharmacies. Addiction, 96(2), 325-331. 

  16. McVey, D., & Stapleton, J. (2000). Can anti-smoking television advertising affect smoking behaviour? Controlled trial of the Health Education Authority for England's anti-smoking TV campaign. Tobacco Control, 9, 273-282. 

  17. Milch, C. E., Edmunson, J. M., Beshansky, J. R., Griffith, J. L., & Selker, H. P. (2004). Smoking cessation in primary care: a clinical effectiveness trial of two simple interventions. Preventive Medicine, 38(3), 284-294.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July 21). 2011 Survey results of smoking status. Retrieved from http://www.mw.go.kr/front/al/sal0301vw.jsp 

  19. Nakamura, M., Masui, S., Oshima, A., Okayama, A., & Ueshima, H. (2004). Effects of stage-matched repeated individual counseling on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 the high-risk strategy by lifestyle modification (HISLIM) study.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9(4), 152-160. 

  20. Okechukwu, C. A., Krieger, N., Sorensen, G., Li, Y., & Barbeau, E. M. (2009). MassBuilt: effectiveness of an apprenticeship site-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or unionized building trades workers. Cancer Causes & Control, 20(6), 887-894. 

  21. Park, S. H., Hwang, J. H., Kim, J. Y., & Choi, Y. K. (2012).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for health promotion(2011-8). Seoul, Korea: Hanzhong University, Health Promotion Support Division. 

  22. Ranney, L., Melvin, C., Lux, L., McClain, E., & Lohr, N. K. (2006). Systematic review: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ults and adults in special populati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5(11), 845-856. 

  23. Rice, V. H. (1999). Nursing inter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A meta-analysis. Heart & Lung, 28(6), 438-54. 

  24. Rice, V. H., & Stead, L. (2006). Nursing inter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meta-analysis update. Heart & Lung, 35(3), 147-163. 

  25. Rodgers, A., Corbett, T., Bramley, D., Riddell, T., Wills, M., Lin, R. B., & Jones, M. (2005). Do u smoke after txt? Results of a randomised trial of smoking cessation using mobile phone text messaging. Tobacco Control, 14, 255-261. 

  26.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04). Methodology checklist 2: Controlled trials. Retrieved from http://www.sign.ac.uk/methodology/checklists.html 

  27. Seo, N. S., Kim, Y. H., & Kang, H. Y. (2007). The effects of a group smoking cessation program among adult smokers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7), 1139-1148. 

  28. Shiffman, S., Gorsline, J., & Gorodetzky, C. W. (2002). Efficacy of over-the-counter nicotine patch.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4(4), 477-483. 

  29. Stapleton, J. A., & Sutherland, G. (2011). Treating heavy smokers in primary care with the nicotine nasal spray: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ddiction, 106(4), 824-832. 

  30. Stevens, K. R., & Munoz, L. R. (2004). Cigarette smoking: Evidence to guide measure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7(4), 281-292. 

  31. Swartz, L. H., Noell, J. W., & Schroeder, S. W. (2006). A randomised control study of a fully automated internet 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me. Tobacco Control, 15, 7-12. 

  32. Tanaka, H., Yamato, H., Tanaka, T., Kadowaki, T., Okamura, T., Nakamura, M. . . . Okayama, A. (2006). Effectiveness of a low-intensity intra-worksite intervention on smoking cessation in Japanese employees: a three-year intervention trial.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8, 175-182. 

  33. Thomas, J. L., Guo, H., Lynam, I. M., Powell, J. N., Okuyemi, K. S., Bronars, C. A., & Ahluwalia, J. S. (2008). The impact of perceived treatment assignment on smoking cessation outcomes among African-American smoker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9), 1361-1366. 

  34. Tonstad, S., Holme, I., & Tonnesen, P. (2011). Dianicline, a novel ${\alpha}4{\beta}2$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for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13(1), 1-6. 

  35. Unrod, M., Smith, M., Spring, B., DePue, J., Redd, W., & Winkel, G. (2007).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computer-based, tailored intervention to increase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by primary care physician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2(4), 478-484. 

  36. Yang, J. S. (2008). An analysis of trends in smoking-related research.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2(2), 255-265. 

  37. Zellweger, J. P., Boelcskei, P. L., Carrozzi, L., Sepper, R., Sweet, R., & Hider, A. Z. (2005). Bupropion SR vs placebo for smoking cessation in health care professional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9(3), 240-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