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7 no.4, 2013년, pp.119 - 129  

전민경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with convenience sample of 250 nursing students studying in 1 nursing colleg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November 17 to 30, 2012 by self-reported 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 및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영향력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전문직 자아개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교과과정에 반영하도록 하여 간호의 학교교육과 실습현장 교육의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이란? 간호에 대한 전문인으로서의 가치관은 전문직 자아개념으로 표현이 될 수 있다.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이란,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학생들이 자기 자신과 수행하는 업무에 대해 느끼는 정서적 느낌과 견해를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전문직종이 공존하고 있는 의료현장에서 다른 전문직 종사자들과 조화를 이루며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소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학생 스스로가 자신에 대한 이해와 견해가 긍정적일 때에 생겨난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발달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전문직 자아개념의 발달은 공식적인 학교 교육기간과 계속적인 개인의 직업생활을 통해 이루어진다[4]. 따라서 간호대학 재학 중의 간호교육은 전문직 자아개념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교육은 간호사로 하여금 어떤 역할을 수행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가? 간호사는 다양한 전문직종이 공존하는 의료현장에서 타 전문직과 협력하면서 독특한 간호전문직의 업무를 수행하여 간호의 질적 향상과 간호조직의 목표달성을 이룰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1]. 간호교육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전문 간호 인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 임상 실습교육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학습 뿐 아니라 전문인으로서의 가치관을 확립하는 경험을 가지게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Trofino(1995),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ealth care, Nursing Management, Vol.26(8);42-49. 

  2. S.H. Yang, O.C. Lee, W.S. Lee. J .Yoon, C.S. Park, S.J. Lee(2009), Critical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3 Nursing Colleges with Different Education Method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2);149-158. 

  3. D. Arthur(1995), Measurement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Nurse Education Today, Vol.15;328-333. 

  4. J.W.K. Geiger, J.S. Davit(1989), Self-image and job satisfaction in varied settings, Nursing Management, Vol,19(12);50-58. 

  5. D. Arthur(1992),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9(12);712-719. 

  6. S.Y. Park(1995),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on Nurse's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Mode, The Journal of Rheumatology Health, Vol.2(1);41-72. 

  7. B.G. Park(2001), A Study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M. S.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pp.4-39. 

  8. S.Y. Park, J.K. Kim, T.Y. Lee(2011),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Volunteering on Self-esteem and Self-efficiency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Contents Society, Vol.11(2);376-384. 

  9. M. Rosenberg(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326. 

  10. Y.M. Kwon, E.J. Yeun(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3;285-292. 

  11. B. Kelly(1992),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undergraduates and Their perception of Influential For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1(3);121-125. 

  12. S.J. Hwang(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2(2);206-212. 

  13. H.J. Jang, S.O. Yang, M.O. Lee(2007),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Need for Advanced Practice Nurse among Korean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4(1);110-119. 

  14. K.Y. Song, C.H. Noh(1997), Survey on the Relationship Self-esteem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4(1);61-71. 

  15. G.H. Kim, G.D. Kim(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3(2);229-236. 

  16. B.J. Jeon(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e-ability, YONSEI Nonchong, Vol.11;107-130. 

  17. M. Sherer, J.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R.W. Rogers(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663-671. 

  18. A.S. Jung(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M.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pp.16-41. 

  19. H.R. Song(2010), Comparative study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ing perception i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M.S.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pp.11-42. 

  20. J.O. Kim, H.J. Kim, G.Y. Cho(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edical Technology,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Operating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1);1-13. 

  21. J.Y. Lee(2009),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2);166-174. 

  22. H.Y. Jung, G.Y. Jung(2013), A Study on the Suicidal Ideation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3);149-160. 

  23. M.S. Kim(2011),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in their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2);159-167. 

  24. Y.H. Choi(199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Hopeless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J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25(3);549-561. 

  25. A. Bandur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2);191-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