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 보육교사의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과 자기 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s among Supervision Behaviors for Injury Preventi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1 no.6, 2013년, pp.573 - 581  

김혜금 (동남보건대학 보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upervision behavio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childcar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affected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nd whether their self-efficacy acted as a med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감독 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감독 행동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영아 보육교사의 감독 행동에 자기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이 감독 행동과 직무 스트레스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영아반 보육교사 300명에게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 행동,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에 관하여 질문지로 작성을 요청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1년 11월 7일부터 11월 11일 사이에 어린이집에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11월 14일부터 25일까지 회수하였다.
  •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감독 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고,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이 영아의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효능감이 직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매개효과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다른 지역에서 근무하는 영아 보육교사에게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감독 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감독 행동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영아 보육교사의 감독 행동에 자기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이 감독 행동과 직무 스트레스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보육교사의 감독 행동에 대해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특히 교사의 감독 행동에 영향을 주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을 다룬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가 감독 행동에 어떠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특히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가 감독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그 동안 별로 다루어지지 않은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가 감독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영아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영아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아 상해예방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기 상해의 주 요인은 무엇인가? 영아는 아주 짧은 순간이라도 양육자가 적절한 감독을 하지 않은 경우 상해를 입거나 사망할 수 있으며 양육자의 부적절한 감독은 영아기 상해의 주 요인이다[28].영아기 상해는 특히 후유증을 동반하는 장애로 이어지거나 사망으로 전이되는 가능성이 높아서 영아의 안전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영아기 사고는 어느 연령대보다 빈번하고 사고로 인한 피해가 큰 이유는? 어린이집은 다수의 영유아가 하루 종일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안전사고의 개연성이 높다. 특히 영아는 주변을 탐색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위험한 행동에 따르는 결과를 예측하지 못하고 충동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영아기 사고는 어느 연령대보다 빈번하고 사고로 인한 피해가 크다. 사고 발생률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많으며 만 2세미만 영아는 화상과 중독사고가 많고, 만 2세 영아는 운동능력이 증가하면서 열상, 타박상, 골절상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1].
영아 보육교사의 감독 행동은 직무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밀접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근거는? 한편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전형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수행력을 보일 뿐 아니라 더 낮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을 보인다[11, 12].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보육교사가 영아의 행동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반응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영아의 상해위험 간 관계를 조사하는 노력들이 영아의 상해예방과 관련한 연구들에서 이루어져 왔다.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면 영아의 상해위험이 높아진다[11, 47]. 즉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영아의 상해 발생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육교사가 잠시라도 감독을 소홀히 하면 영아는 안전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장의 영아 보육교사들은 영아를 돌보면서 체력적 소진을 경험하기 쉬우며 안전사고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겪는 것으로 보고된다[22].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영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44], 영아에 대한 감독을 부적절하게 수행하게 할 수 있다[47]. 영아에게 일어날 안전사고를 지나치게 염려하거나, 반대로 영아의 안전사고의 가능성에 대해 무감각한 경우 영아의 상해위험은 커질 수 밖에 없다[55]. 이렇듯 영아 보육교사의 감독 행동은 직무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밀접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gran, P. F., Anderson, C., Winn, D., Trent, R., Walton-Haynes, L., & Thayer, S. (2003). Rates of pediatric injuries by 3-month intervals for children 0 to 3 years of age. Pediatrics, 111(6), e683-e692. 

  2.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3. Allinder, R. M.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Teacher Education Division of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7(2), 86-95. 

  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5.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6.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7. Bandura, A. (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pp. 307-337).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9. Berridge, D. (1999). Child welfare in England: Problems, promises and prosp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8(4), 288-296. 

  10. Bishai, D., Mahoney, P., Defrancesco, S., Guyer, B., & Gielen, A. C. (2003). How willing are parents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in their communit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7(12), 951-955. 

  11. Caprara, G. V., Barbaranelli, C., Borgogni, L., & Steca, P. (2003). 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4), 821-832. 

  12. Caprara, G. V., Barbaranelli, C., Steca, P., & Malone, P. S. (2006).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study at the school leve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4(6), 473-490. 

  13. Chang, S. J., Koh, S. B., Kang, D.,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14. Cho, S. Y., & Koo, H. (2005). A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4), 55-70. 

  15. Conrad, B., Gross, D., Fogg, L., & Ruchala, P. (1992). Maternal confidence, knowledge, and quality of mother-toddler interactions: A preliminary stud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3(4), 353-362. 

  16. Dal Santo, J. A., Goodman, R. M., Glik, D., & Jackson, K. (2004). Childhood unintentional Injuries: Factors predicting injuries risk among preschooler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9(4), 273-283 

  17. Ebmeier, H. (2003). How supervision influences teacher efficacy and commitment: An investigation of a path model. Journal of Curriculum and Supervision, 18(2), 110-141. 

  18. Eichelberger, M. R., Gotschall, C. S., Feely, H. B., Harstad, P., & Bowman, L. M. (1990). Parental attitudes and knowledge of child safety: A national survey. American Journal of Diseases of Children, 144(6), 714-720. 

  19. Hess, C. R., Teti, D. M., & Hussey-Gardner, B. (2004). Self-efficacy and parenting of high-risk infants: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5(4), 423-437. 

  20. Jang, Y. S. (2010).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2), 249-270. 

  21. Kakefuda, I., Kitamura, K., Nishida, Y., Yamanaka, T., & Motomura, Y. (2010). A gap between two perceptions: The effectiveness of parental supervision in childhood injury prevention and supervision selfefficacy. Injury Prevention, 16(Suppl 1), A186-A186. 

  22. Kim, H. G. (2010). Comparison of fear and prevention behavior on accident between mother and teacher in family childcare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3), 43-53. 

  23. Kim, H.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belief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1), 45-53. 

  24. Kim, Y. E., & Kim, Y. H. (2008). Teacher characteristics,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climate and teacher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teaching intention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8(6), 207-227. 

  25. Kim, Y. H., & Kim, Y. E. (2008). An analysis of the factorial validity of bandura's teacher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8(2), 169-191. 

  26. Kooij, D., De Lange, A., Jansen, P., & Dikkers, J. (2008). Older workers' motivation to continue to work: Five meanings of age: A conceptual review.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3(4), 364-394 

  27. Kronenfeld, J. J., & Glik, D. C. (1995). Unintentional injury: A major health problem for young children and youth.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16(4), 365-393. 

  28. Landen, M. G., Bauer, U., & Kohn, M. (2003). Inadequate supervision as a cause of injury deaths among young children in Alaska and Louisiana. Pediatrics, 111(2), 328-331. 

  29. Lee, H. M. (2009).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 on job stres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6, 187-208. 

  30. Morrongiello, B. A. (2005). The role of supervision in child-injury risk: Assumpptions, issues, finging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0, 536-552. 

  31. Morrongiello, B. A., Corbett, M., McCourt, M., & Johnston, N. (2006). Understanding unintentional injury-risk in young children I. the nature and scope of caregiver supervision of children at hom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1(6), 529-539. 

  32. Morrongiello, B. A., Corbert, M., McCourt, M., & Johnston, N. (2006). Unintentional injuries in young children II. the contribution of caregiver supervision, child attributes, and parent attribute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1(6), 540-551. 

  33. Morrongiello, B. A., & Dayler, L. (1996). A community-based study of par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liefs related to childhood injurie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87(6), 383-388. 

  34. Morrongiello, B. A., & House, K. (2004). Measuring parent attributes and supervision behaviors relevant to child injury risk: Examining the usefulness of questionnaire measures. Injury Prevention, 10(2), 114-118. 

  35. Morrongiello, B. A., Onjedko, L., & Littlejohn, A. (2004). Understanding toddlers' in-home injuries: I. context, correlates, and determinant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9(6), 415-431. 

  36. Morrongiello, B. A., Onjedko, L., & Littlejohn, A. (2004). Understanding toddlers' in-home injuries: II. examining parental strategies, and their efficacy, for managing child injury risk.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9(6), 433-446. 

  37. Morrongiello, B. A., Zdzieborski, D., Sandomierski, M., & Lasenby-Lessard, J. (2009). Video messaging: What works to persuade mothers to supervise young children more closely in order to reduce injury risk? Social Science & Medicine, 68(6), 1030-1037. 

  38. Morrongiello, B. A., Zdzieborski, D., Sandomierski, M., & Munroe, K. (2013).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sessing the efficacy of the supervising for home safety program: Impact on mothers' supervision practice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50, 587-595. 

  39. Nicklaus, J., & Ebmeier, H. (1999). The impact of peer and principal collaborative supervision on teachers' trust, commitment, desire for collabora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urriculum and Supervision, 14(4), 351-378. 

  40. Peterson, L., Cook, S. C., Little, T., & Schick, B. (1991). "Mom Lets Me Go There": The role of environment and supervision in children's minor injuries. Children's Environments Quarterly, 8(3/4), 15-23. 

  41. Peterson, L., Ewigman, B., & Kivlahan, C. (1993). Judgments regarding appropriate child supervision to prevent injury: The role of environmental risk and child age. Child Development, 64(3), 934-950. 

  42. Peterson, L., Saldana, L., & Heiblum, N. (1996). Quantifying tissue damage from childhood injury: The minor injury severity scal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1(2), 251-267. 

  43. Pollack-Nelson, C., & Drago, D. A. (2002). Supervision of children aged two through six years. Injury Control and Safety Promotion, 9(2), 121-126. 

  44. Rivara, F. P., & Howard, D. (1982). Parental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injury risks.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3(2), 103-105. 

  45. Saluja, G., Brenner, R., Morrongiello, B. A., Haynie, D., Rivera, M., & Cheng, T. L. (2004). The role of supervision in child injury risk: Definition, conceptual and measurement issues. Injury Control and Safety Promotion, 11(1), 17-22. 

  46. Schunk, D. H. (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71-86. 

  47. Schwebel, D. C., & Bounds, M. L. (2003). The role of parents and temperament on children's estimation of physical ability: Links to unintentional injury prevention.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8(7), 505-516. 

  48. Schwebel, D. C., Brezausek, C. M., Ramey, S. L., & Ramey, C. T. (2004). Interactions between child behavior patterns and parenting: Implications for children's unintentional injury risk.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9(2), 93-104. 

  49. Shin, H. Y. (2004). Effects of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efficacy on the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child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50.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51. Thakur, S. S. (2012).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effectiveness of primary achool teachers. International Indexed & Referred Journal, 3(30), 15-16. 

  52. Tschannen-Moran, M., &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7), 783-805. 

  53. Valsiner, J. (1985). Parental organization of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within home environment. Psychologia, 28(3), 131-143. 

  54. Ward, H., & Skuse, T. (2001). Performance targets and stability of placements for children long looked after away from home. Children & Society, 15(5), 333-346. 

  55. Wortel, E., De Geus, G. H., Kok, G., & Van Woerkum, C. (1994). Injury control in pre-school children: A review of parental safety measures and the behavioural determinants. Health Education Research, 9(2), 201-213. 

  56. Yoo, G. S., Kim, S. K., Kang, K. H., Park, J. H., & Hwang, J. Y. (2011).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s,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f novice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8(3), 81-1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