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구적 과학 글쓰기 실험수업이 중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Laboratory Class on the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7, 2013년, pp.1259 - 1272  

박성주 (부산대학교) ,  문성배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실험수업이 중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Keys 등(1999)이 개발한 SWH 전략에 기초하여 탐구적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개 학급 63명은 비교집단으로, 2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소집단의 구성은 인지수준이 비슷한 동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처치는 2011년 3월부터 7월까지 9개의 활동 주제로 총 18차시를 투입하였다.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검사 결과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실험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탐구적 과학 글쓰기 실험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지속적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전략의 제시와 다양한 실험 주제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laboratory class on the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writing heuristic programs were developed based on SWH strategies developed by Keys et al (1999). This study ...

주제어

참고문헌 (47)

  1. 강순희 (2011). 보통 학생들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과학 교수 기법. 화학교육지, 38(02), 2-9. 

  2. 곽영순 (1995). 지구과학 실험수업에서 V 모형의 적용 효과.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발표-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추진. 

  4. 교육인적자원부 (2008).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서울: (주) 대한교과서. 

  5. 김미정 (2011). 전략적 읽기틀을 이용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가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비판적 사고력 및 요약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Brian Hand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7. 박영목, 한철우, 윤희원 (2001).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8. 박은미 (2006). 귀추에 근거한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박인숙 (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배희숙 (2008). 과학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송주연 (2011).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업 전략에서의 메타인지 강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성숙경, 최병순 (2007). 이질 모둠이 수행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70-880. 

  13. 양일호, 조현준 (2005). 학교 과학수업에서 실험의 목적에 대한 고찰. 초등과학교육, 24(3), 268-280. 

  14. 이은경, 강성주 (2006). 문제해결형 탐구모듈 적용에서의 SWH 활용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37-545. 

  15. 이은주 (2010). 메타인지를 활용한 직접적 탐구 기능 수업전략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 임재영 (2001). 토론식 쓰기 수업 모형-논술 교육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천재훈 (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활동.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황신영 (2011).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 Akkus. R., Gunel. M., & Hand. B. (2007). Comparing an inquiry-based approach known as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o traditional science teaching practices: Are there differences? International Joural of Science Education. 29(14), 1745-1765. 

  20. Basili, P. A., & Sanford, J. P. (1991). Conceptual change strategies and cooperative group work in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4), 293-304. 

  21. Chang, H. P., & Lederman, N. G. (1994). The effects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 in physical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67-181. 

  22. Driver, R. (1989). Student's conceptions and learning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5), 481-490. 

  23. Ennis (1985). A taxonom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bilities. In J. B. Barom, & R. J. Sternberg. (Eds) Teaching thinking skills: Theory and Practice, 9-26. N.Y.: Freeman and company. 

  24. Feldhusen, J. F., & Treffinger, D. J. (1993).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전경원, 박정옥 공역.). 서울: 서원. 

  25. Flower L. S., & Hayes J. R. (1980). Identifying the organization of writing processes, In Gregg, L. W. & Steinberg, E. R. Eds.,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 (pp. 4-30). Hillsdale N.J.: Erlbaum. 

  26.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27. Gunel, M., Hand, B., & Mcdermott, M. A. (2009). Writing for different audiences: effects on high-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biology. Learning and instruction, 19, 354-367. 

  28. Hand, B. M., Meier, L. N., Staker, J., & Bintz, J. (2006). When science and literacy meet in the secondary learning space: Implement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Iowa City, IA: University of Iowa. 

  29. Hodson, D. K. (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1(256), 33-40. 

  30. Holliday, W., Yore, L., & Alvermann, D. (1994). The reading-science learning Writing connection: breakthroughs, barriers, and promi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877-893. 

  31. Karnes, F. A. & Bean, S. M. (2003). 영재 교육의 방법과 자료(하)(이화국, 김언주, 문정화 공역). 서울: 대교. 

  32. Kelly, G. J. Bazerman, C., Skukauakaite, A., & Prothero, W. (2002). Rhetorical features of student science writing in introductory university oceanography.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tological, Epistemological, Linguistic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 of Language and Science Literacy: Empowering Research and Informing Instruction, Victoria, BC, Canada. 

  33. Keys, C. W., Hand, B., Prain, V., &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1084. 

  34. Kieft, M., Rijlaarsdam, G., & Van den Bergh, H. (2008). An aptitude-treatment interaction approach to writing-tolearn. An Learning and Instruction, 18(4), 379-390. 

  35. Lawrenz, F., & Munch, T. W. (1984). The effect of grouping of laboratory students on selected educational outcom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7), 699-708. 

  36. Lunetta, V. M. (1998). The school science laboratory: History perspectives and context of contemporary teaching. In B. J. Fraser, & K. 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 249-262).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 

  37. Martin, R. M. (1997). Scientific thinking. Ontario: Broadview Press. 

  38. Novak, J. D., & Gowin, D. (1984). Learning how to lear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Popper. K. R. (1994). 과학적 발견의 논리(박우석 역). 서울: 고려원. 

  40.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3), 179-201. 

  41. Reber, A. S., & Reber E.S. (2001). 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3rd Ed., New York: Penguin Books. 

  42. Renzulli, J. S., & Reis, S. M. (2003).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김홍원 역.). 서울: 문음사. 

  43. Roadran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 

  44. Runco, M. A. (1999). Divergent thinking.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San Diego, CA: Academic Press. 

  45.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 Waco, TX: Prufrock Press. 

  46. Treffinger, D. J. & Reis, S. M. (2004). Creativity and giftedness. California: Corwin Press. 

  47. Wallace, C. S., Hand, B., & Prain, V. (2004). Writing and learning in science classroom.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