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 related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2, 2013년, pp.511 - 521  

신정인 (이화여자대학교) ,  신예진 (이화여자대학교) ,  윤회정 (이화여자대학교) ,  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총 30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정리 단계에서 실험반은 학습 목표와 연관된 과학 개념을 글쓰기로 정리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는 TOSRA를 수정 보완한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 과학 학습 동기는 PALS와 MSLQ를 수정 보완한 과학 학습 동기 검사지, 학업 성취도는 학교의 지필 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관련 태도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적 태도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특히, 하위 영역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 ' 과학에 대한 적극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과학 학습 동기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학습 동기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p<.05),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에 대한 가치'와 '자기 효능감'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상위 수준의 학업 성취도 집단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on the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ne hundred and twenty seven second graders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학교 과학교육에서 글쓰기 활동은 정규 수업시간이 아닌 과제 형식(곽민숙 등, 2009; 신미영, 최승언, 2009; 이순이, 2008)이나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진행(이강님, 2007)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정규 수업시간에서의 효과를 알아보기에는 제한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정규 수업 시간에 다양한 유형의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해 보았다. 또한, 학생들이 자유로운 유형의 글쓰기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의 「열 에너지」, 「물질의 구성」, 「소화와 순환」, 「호흡과 배설」 단원에서 과학 글쓰기 수업을 적용하여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총 30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글쓰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도 향상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 글쓰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도 향상될 수 있다.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명료화하고 조직화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을 새로 배운 과학 지식과 유의미하게 연결시켜 수업 시간에 얻은 정보들은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Prain, 2006). 탐구적 과학 글쓰기는 학생들이 과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지식을 구성하여 과학 개념을 확실히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남정희 등, 2008), 증거를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Akkus et al., 2007)는 점에서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과학 글쓰기란 어떤 활동인가? 과학 글쓰기는 과학적 사실, 개념, 원리, 법칙, 이론, 가설에 대해 사고하는 내용과 과정을 글로 표현하는 활동(Owens, 2000)이며, 과학을 소재로 하는 설명문, 논설문, 감상문, 실용문과 같은 다양한 글을 잘쓸 수 있도록 기초 능력을 배양하는 활동이다(지영숙, 2006). 과학 글쓰기는 자연 현상과 과학적 사실, 법칙이나 실험 결과 등을 소재로 하고 과학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 사고를 요구한다(Han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고은경 (2009). 복습과제로서 과학글쓰기가 중학교 여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곽민숙, 이용섭, 한영욱 (2009). 과학일지 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2(1), 1-12.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11-361, 교육인적자원부. 

  4. 구슬기, 박일우 (2010). 초등 과학 글쓰기 지도 전략의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4), 427-440. 

  5. 김성원, 이현주, 강순희, 우애자, 정영란, 엄안흠, 안홍배, 채동현, 김지선, 정세미, 허희선, 서재현, 윤원정, 이윤하, 손선영, 이미숙, 이선길, 고선영, 오성진, 이승우(2011). 중학교 과학 2. 두배의느낌. 

  6.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 (2004). 과학 일기 쓰기가 과학 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7.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Hand, B.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922-936. 

  8. 박지영, 신영준 (2007). 초등학교 실험관찰에 나타난과학적 사고력을 토대로 한 과학 글쓰기 유형 분석. 과학교육논총, 20(1), 99-112. 

  9. 박희진, 권난주 (2008). 초등학교 과학일기 유형 분석 및일기 쓰기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19-526. 

  10. 배희숙, 전영석, 홍준의 (2009).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 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28(2), 178-186 

  11. 손정우 (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 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 연구,9(2), 333-355. 

  12. 신미영, 최승언 (2009). 8학년 학생들의 자기주도적과학탐구 보고서에 제시된 결론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30(5), 759-772. 

  13. 이강님 (2007). 구성주의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과학개념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 글쓰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이순이 (2008). 과학글쓰기가 화학 I 과목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재승 (2002).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과정 중심접근. 서울: 교육과학사. 

  16. 정희선 (2010). 중학교 1학년 영양소와 소화 단원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7. 정혁, 정용재, 송진웅 (2004).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08-1017 

  18. 정희모 (2004). MIT 대학 글쓰기 교육 시스템에 관한연구. 독서연구, 11, 327-356. 

  19. 지영숙 (2006). '지구와 달'단원에서 초등학생들의과학글쓰기 활동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천재훈, 손정우, 권은실 (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위한 과학 글쓰기 활동. 2006년도 국제세미나 및 제 49차동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 27). 한국과학교육학회. 

  21. 천재훈, 손정우 (2004).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창의적사고능력 계발을 위한 과학 글쓰기 형태분석. 제 46차 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 131). 한국과학교육학회. 

  22. 함성민 (2009).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 동기와 글쓰기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함성민 (2009).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 동기와 글쓰기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Ainsworth, S., Prain, V., & Tytler, R. (2011). Drawing to learning in science. Science, 333(6046), 1096-1097. 

  25. Akkus, R., Gunel, M., & Hand, B. (2007). Comparing an inquiry-based approach known as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o traditional science teaching practices: Are there differ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4), 1745-1765. 

  26. de Jong, T., Ainsworth, S., Dobson, M., van der Hulst, A., Levonen, J., Reimann, P. (1998). Acquiring knowledge in science and mathematics: The us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in technology-based learning environments. In M. W. van Someren, P. Reimann, H. P. A., Boshuizen & T. de Jong (Eds.),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pp.9-40). Oxford, UK: Pergamon. 

  27. Hand, B., Wallace, C. W., & Yang, E. (2004). Using a science writing heuristic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from laboratory activities in seventh-grade scienc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2), 131-149. 

  28. Keys, C. W., Hand. B., Prain, V., &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1084. 

  29. Midgley, C., Maehr, M. L., & Urdan, T. C. (1993).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0. Owens, C. V. (2000). Teachers'responses to science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grand forks-, 15(1), 22-35. 

  31. Pintrich, P. R., Smith, D. A. R., Garcia, T., & McKeachie, W.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University of Michigan,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Ann Arbor, MI. 

  32. Prain, V. & Hand, B. (1999).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51-162. 

  33.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179-201. 

  34. Rivard. L. P. (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 in science :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69-983. 

  35. Wallace, C. S., Hand, B., & Prain, V. (2004). Does writing promote learning in science? In C. S. Wallace, B. Hand, & V. Prain (Eds.). Writ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Kluwer academic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