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 적용에서 나타나는 초임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수업실행 변화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Beginning Science Teachers' Beliefs About a Lesson and Teaching Practice in Argument-Based Inquiry Using Science Writ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7, 2013년, pp.1329 - 1342  

권정인 (부산대학교) ,  남정희 (부산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을 적용하면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업 실행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초임 과학 교사(A, B, C)들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을 적용하면서 좋은 수업 및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좋은 수업의 구성요소로 A교사와 B교사는 교사-학생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들었으며, 실제 수업에서 학생과의 관계의 수준은 A, B, C 세 교사 모두 높아졌다. 초임 과학 교사들의 실제 수업 실행을 분석한 결과, 실제 수업에서 학생과의 관계의 수준은 A, B, C 세 교사 모두 높아졌다. A, B, C 세 교사 모두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이 학습자 주도적인 수업이라고 인식하였고, 실제 수업에서도 학습자 주도적인 수업으로 변화하였다.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 변화가 학생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ummary Writing 검사로 분석한 결과, A교사 학교는 세부적인 영역 중 수사적 구조에서, B교사와 C교사 학교는 과학적 개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beginning teachers' beliefs about a lesson and that of teaching practice and argument-based inquiry using science writing. Participants were three science teachers (A, B, and C) from different middle schools. Cl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차 인터뷰는 6~7개 주제의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을 모두 마친 후 이루어졌으며, 1차와 2차 인터뷰 내용과 동일한 질문 내용으로 인식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든 인터뷰는 분석을 위해 캠코더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을 적용하면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업 실행, 학생의 변화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을 적용하면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업 실행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 초임 과학 교사들의 좋은 수업 및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실행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세 교사의 수업을 분석하였다. 교사별로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모든 수업의 녹화 동영상을 수집한 후, 적용 초기의 수업과 적용 후기의 수업을 분석 하였다.

가설 설정

  • 초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이유는 실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을 진행하면서 적용하는 수업 이외에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초임교사는 모두 교직경력 3년 이하로 연구를 위해 적용한 수업 이외에 수업과 관련하여 노출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이 비교적 없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명 초임교사의 수업 이외의 경험을 통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에 따른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교육 목표는? 가장 최근에 개정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과학적 소양을 지닌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과학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충분한 현대 과학적 이해를 근거로 합리적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남과 소통하며 비판적으로 판단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적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능력은? 현대인들이 매일 접하는 교육적, 과학적, 사회적으로 연관을 가진 주제에 대해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과학적 소양이 요구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를 평가할 수 있는 읽기 능력과 글쓰기 능력을 가져야 한다(Holiday, Yore, & Alvermann, 1994). 과학적 소양을 갖추기 위한 방법으로 읽기와 글쓰기가 주목 받기 전부터 읽기와 글쓰기는 과학교육에서 학습도구로 사용되어져 왔다.
과학적 소양을 갖추기 위한 방법으로 읽기와 글쓰기가 주목받는 이유는? 과학적 소양을 갖추기 위한 방법으로 읽기와 글쓰기가 주목 받기 전부터 읽기와 글쓰기는 과학교육에서 학습도구로 사용되어져 왔다. 과학교육에서 사용된 읽기는 학습자의 개념발달과 읽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연구들이 있다(Cervettii, 2012; Fang & Wei, 2010). 글쓰기 또한 학습자의 생각과 개념을 연관 짓는 유용한 도구이며(Emig, 1977), 새로운 지식의 발달을 가져와(Flower & Hays, 1980; Galbraith, 1999), 학습자에게 자신의 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학습에 대해 몰두하게 하며, 개인적 지식 소유권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길현정,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 길현정 (2010). 학습도구로써 과학글쓰기가 과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Brian Hand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4. 남정희, 이순덕, 임재항, 문성배 (2010).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 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53-970. 

  5. 성화목 (2009). 교사변인에 따른 탐구적 과학 글쓰기의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이은경, 강성주 (2006). 문제해결형 탐구 모듈 적용에서의 SWH 활용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37-545. 

  7. 정미진 (2012).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서 교사 수행과 학생 활동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Battista, M.T. (1994). Teacher beliefs and the reform mov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Phi Delta Kappa, 75(2), 462-470. 

  9. Beck, J., Czerniak, C.M., & Lump, A.T. (2000). An exploratory study of teachers'belief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constructivism in their classroom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4), 323-343. 

  10. Bell, P., & Linn, M. C. (2000). Scientific arguments as learning artifacts: Designing for learning from the web with KI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797-817. 

  11. Bereiter, C., & Scardamala, M. (1987). The psychology of written compos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2. Bianchini, J. A., Johnston, C. C., Oram, S. Y., & Cavazos, L. M. (2003). Learning to teach science in contemporary and equitable ways: The successes and struggles of firstyear science teachers. Science Education, 87, 419-442. 

  13. Boscolo, P., & Mason, L. (2001). Writing to learn, writing to transfer, In P. Tynjala, L. Mason, & K. Lonka (Eds.), Writing as a learning tool: Integrating theory and pratice (pp. 83-104), Dordrecht (NL), Kluwer. 

  14.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2. 

  15. Bryan A. (2012).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on Science Teacher Beliefs (pp.477-495).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16. Cervetti, G. N., Barber, J., Dorph, R., Pearson, P. D., & Goldschmidt, P. G. (2012). The impact of integrated approach to science and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5), 631-658. 

  17. Cheung, D., & Ng, P.-H. (2000). Science teachers'beliefs about curriculum desig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 357-375. 

  18. Choi, A. (2010). Argument Structure i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Approach. Journal of Korean Science Education, 30(3), 323-336. 

  19.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20. Emig, J. (1977). Writing as a model of learn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28, 122-128. 

  21. Flower L. S. & Hayes J. R. (1980). Identifying the organization of writing processes, In L. W. Gregg & E. R. Steinberg(Eds.),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 (pp. 4-30). Hillsdale N. J.: Erlbaum. 

  22. Fang, Z., & Wei, Y. (2010).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science literacy through reading infus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3, 262-73. 

  23. Galbraith, D. (1999). Writing as a knowledge-constituting process. In D. Galbraith, & M. Torrance(Eds.), Knowing what to write: conceptual processes in text production (pp. 139-159). Amsterdam, The Netherlands: Amsterdam University Press. 

  24. Hand, B. M., Meier, L. N., Staker, J., & Bintz, J. (2006). When science and literacy meet in the secondary learning space: Implement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owa City, IA: University of Iowa. 

  25. Holliday, W. G., Yore, L. D., & Alvermann, D. E. (1994). The reading-science learning-writing connection: Breakthroughs, barriers, and promi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877-893. 

  26.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 115-130. 

  27. Pajares, M.F.(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 307-332. 

  28. Praine V. (2006). Lea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3), 179-201. 

  29. Verjovsky, J., & Waldegg, G. (2005). Analyzing beliefs and practices of a Mexican high school biology teach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 465-4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