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 논문 분석
Analysis of Studies on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Adults and Elderly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1, 2013년, pp.651 - 659  

박지연 (계명대학교) ,  권상민 (계명대학교 평생교육원) ,  김나현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 및 효율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을 위해 선행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1990년도 이후부터 2012년까지 국내 의료분야의 학술지 및 학위 논문 중 '신체활동 프로그램'이라는 주제어로 검색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색된 논문 중 기준에 부합한 11편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2000년 이후 연구가 활발하였고 질병이 없는 대상자가 대부분이었으며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운동 중재로만 이루어진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지표로는 신체적 기능, 사회심리적 기능등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국내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11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제공에 대한 방법, 기간, 구성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중재 내용 역시 제공자에 따라 여러 형태로 실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교육 중재를 함께 구성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표준화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reports published in Korea on physical activity for adult. Method: Based on inclusion criteria, 11 research report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Published year of selected articles was between 1990 and 2012. Eleven studies were analyzed by guidelines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는 현재 국내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그 효과가 있는지를 명확하게 판단하는데 제한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 국내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구성이 필요함과 교육적인 중재가 함께 포함되어야 함을 제시하여 표준화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구체적인 항목에 필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연구한 국내 실험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내용을 분석한 문헌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의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현황을 통해 앞으로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이용한 효과적인 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국내에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11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신체 활동 프로그램의 제공에 대한 방법, 기간, 구성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중재 내용 역시 제공자에 따라 여러 형태로 실시되고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 및 효율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을 위해 선행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재구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간호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 또한 항목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이 제시되고 있는 경우가 적어서 표준화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신체활동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내용 및 구성에 대한 자료를 항목별로 열거해보고, 구체적으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표준화된 신체 활동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는 2010년 한국인 신체활동 가이드라인[12]을 제시하였으나 현재까지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과 건강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실정을 파악하고자 1990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논문 11편을 분석하였고 대부분의 연구가 일상생활에서의 신체 활동이 아닌 스포츠나 정형화된 운동 참여에서 얻어지는 효과 연구였다. 지금까지 전문 학술지에 개제된 신체활동 프로그램 논문은 총 11편으로 외국에 비해 적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적 활동을 적당하고 규칙적으로 수행한다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체활동을 매일의 생활로 통합하고 여성과 노인, 노동자 특별히 학교나 직장, 지지적인 환경에서도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사람을 포함하여 사회의 모든 연령대에서 신체적 활동을 촉진시키는 것이라 하였다[4]. 적당하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조기 사망률을 줄이고 심혈관 질환, 고혈압, 대장암, 당뇨, 골다공증 같은 주요 만성질환의 상당한 부분을 막을 수 있다[5]. 또한 만성질환의 회복시간 단축, 근력 및 근지구력, 유연 성, 균형감각 향상과 민첩성 유지, 자가간호능력 향상을 가져옴으로써 개인적인 안녕감과 삶의 의욕 증진 뿐 아니라 사회적 활동의 참여 증가와 같은 사회적인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6] 이러한 신체활동을 장려할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신체활동 중재 프로그램에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것과 신체활동 증진에 목표를 둔 방법이 있다.
신체활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신체활동이란 캐나다 오타와에서 개최된 세계보건기구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된 용어로서 신체활동의 의미는 인간의 기초대사에서 일상생활 정도의 신체움직임을 의미하며 에너지를 소모하는 모든 신체적 움직임 또는 골격근에 의한 신체적 움직임을 말한다[1]. 시대별로 신체활동의 유익에 대한 이해는 변화되어져 왔는데 1950년대에 처음으로 미국에서 젊은이들의 신체적인 활동을 장려하는 전 국가적인 노력이 시작되었고, 1970년대에는 달리기와 농구 같은 활발한 활동이 심혈관계에 유익을 준다고 하여 교육을 시키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신체활동 중재의 연구 분석을 통해 찾은 생활 방식 개선 중재를 위한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과거에는 운동 프로그램을 중재의 방법으로 이용 하였으나 최근에는 생활 방식 개선을 통한 신체활동 중재 방법이 이용되는 추세이다. 미국의 신체활동 중재의 연구 분석을 한 결과, 생활 방식 개선 중재를 위한 방법으로는 self-monitoring, 일반적인 건강교육 ,목표 정하기, 피드백, 전화나 우편으로 격려하기, 재발 예방 교육, 동기 부여하기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또한 전화와 메일만으로 신체활동의 상담 및 격려를 한 Miriam[8] 의 연구에서는 주당 150분의 중강도 신체활동을 한 노인 들이 그렇지 못한 노인들보다 신체기능 점수가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N. Yun, T. W. Jeon, H. J. Lee, A survey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ercise programs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Vol 16, No 1, pp. 148-164, 2002. 

  2. K. W. Koh, Construction of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system for community health initiatives, Busan: Kosin University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2003. 

  3. Brach, J. S., Simonsick, E. M., Kritchevsky, S.,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function and lifestyle activity and exercise in the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52, No 4, pp. 502-509, 2004. 

  4. K. O. Ha, Body composition and mental health in old women afte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t regional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2009. 

  5. Shiran, A., Weissman, N. J., Leiboff, B., Kent, K. M., Pichard, A., Satler, L.F., Wu, H., Leon, M. B., Mintz, G. S., Effect of preintervention plaque burden of subsequent intimal hyperplasia in stented coronary artery lesions.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Vol 86, No 12, pp. 1318-1321, 2000. 

  6. Gregg, E. W., Cauley, J. A., Stone, K., Thompson, T. J., Bauer, D. C., Cummings, S..R., Ensrud, K. E.; Study of Osteoporotic Fractures Research Group, Relationship of change in physical activity and mortality among older women, JAMA, Vol 289, No 18, pp. 2379-2386, 2003. 

  7. Vicki, S. C., Marian, A. M., Kathryn, J. B., Marilyn J. R., Sherry, H. P., Integrative review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research with aging adults,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51, pp. 1159-1168, 2003. 

  8. Miriam, C. M., Richard, S., Carl, F. P., Matthew, J. P., Megan, P. P., Carola, C. E., Gail, M. C., Wendy, D. W., Denis, C. S., Elizabeth, C. C., Harvey, J. C., Effect of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on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Vol 56, pp. 1873-1878, 2008. 

  9. Joke, O., Filip, B., Nele, C., Christophe, D., Effectivenes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and a structured exercise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Preventive Medicine, Vol 46, pp. 518-524, 2008. 

  10. Notice to Readers Publication of Surgeon General's Report 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Surgeon General Report on Physical Activity,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Vol 45, No 27, pp. 591-592, 1996. 

  11. Haskell, W. L., Lee, I. M., Pate, R. R., Powell, K. E., Blair, S. N., Franklin, B. A., Macera, C. A., Heath, G. W., Thompson, P. D., Bauman, A.,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Vol 116, No 9, pp. 1081-1093, 2007. 

  12. J. G. Park, 2010 Physical activity guideline for korean, Physical activity guideline symposium, National medical center, 2010. 

  13. Nelson, M. E., Rejeski, W. J., Blair, S. N., Duncan, P. W., Judge, J. O., King A. C., Macera, C. A., Castaneda, S. C.,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in older adults recommendation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9, No 8, pp. 1435-1445, 2007. 

  14. Ramsbotton, R., Ambler, A., Potter, J., Jordan, B., Nevill, A., Williams, C., The effect of 6 months training on leg power, balance, and functional mobility of independently living adults over 70 years old,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 12, pp. 497-510, 2004. 

  15. Ballard, J. E., McFarland, C., Wallace, L. S., Ioliday, D. B., Roberson, G., The effects of 15 weeks of exercise on balance, leg strength, and reduction in falls in 40 women aged 65 to 89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Vol 59, pp. 255-261, 2004. 

  16. Y. H. Kim,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 of physical activity and transtheoretical model, Sport Science, First issue, 11-30, 2007. 

  17. Ainsworth, B. E., Haskell, W. L., Whitt, M. C., Irwin, M. L., Swartz, A. M., Strath, S. J., O'Brien, W. L., Bassett, D. R., Schmitz, K. H., Emplaincourt, P. O., Jacobs, D. R., & Leon, A. S.,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n update of activity codes and MET intensiti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2, No 9, pp. 498-516, 2000. 

  18. J. H. Park, M. S. Kang, M. Y. Lee, H. J. Kim, S. J. Kang, Development of a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in korean version and computer software for physical activity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4, No 2, pp. 385-40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