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norexia is the primary symptom impinging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It is usually accompanied by gastrointestinal symptoms(GI symptoms). Thus, to measure anorexia symptom precisely, assessing anorexia and GI symptoms together is recommend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식욕부진 증상은 단순히 식욕에 대한 질문만으로 측정할 수 없으며 동반되는 위장관련 증상에 대한 측정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식욕부진 증상 문항이 포함된 평가 도구를 선정하고, 이차적으로 도구에 어떠한 위장관련 증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위장관련 증상은 식욕부진 증상을 겪는 암 환자들이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11)된 증상인 ‘abdominal pain, abnormal diurnal appetite variations, belching, bloating, constipation, early satiety, food aversions, hiccups, indigestion, nausea, smell changes, taste changes, vomiting, weight loss’로 정의하였고, 추가적으로 연구진이 위장관련 증상이라고 판단하는 증상을 포함하였다.
  • 기존 평가 도구가 한약을 이용한 암 환자의 식욕부진 치료 평가에 적절한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암 환자의 식욕부진 측정 도구의 특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진은 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식욕부진 증상에 중점을 두어 암 환자 식욕부진 증상 측정 도구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 각 도구의 타당도 검증 여부, 한국어판 번역 여부를 조사하여 임상 연구에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PubMed와 PROQOLID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암 환자 증상 평가 도구 중 ‘식욕부진’ 항목이 포함된 도구를 분석하여 고찰하고, 임상시험에서 도구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 암 환자의 식욕부진을 평가한 임상시험에서는 FAACT가 3건, ESAS 가 4건 사용되었다. 적은 연구 결과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어려우나 FAACT를 사용한 연구는 환자의 입맛과 식욕에 초점을 두고 평가하였고 ESAS를 사용한 연구는 식욕증진과 더불어 체중, 전신증상 등의 변화도 관찰하고자 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는 PubMed와 PROQOLID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암 환자 증상 평가 도구 중 ‘식욕부진’ 항목이 포함된 도구를 분석하여 고찰하고, 임상시험에서 도구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총 9개의 도구를 선정하여 각 도구의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어판 번역 현황을 조사하여 암 환자 식욕부진 증상 개선 임상시험을 고려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으로 인해 2012년에 얼마나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는가? 암은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1위인 질환으로 10여년 이상 가장 큰 사망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12년에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146.5명이 암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 암의 유병률 또한 높아 2010년 전체 인구 52명당 1명은 암 치료를 받고 있거나 치료 후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암 환자의 증상은 무엇인가? 암 환자의 증상은 복합적으로 ‘증상군(Symptom Cluster)’을 이루어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암 환자들은 종양 자체로 인한 통증뿐 아니라 암으로 인한 여러 가지의 증상, 항암치료로 유발된 증상들로 고통을 받는다. 암이 말기로 진행될수록 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들은 더욱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된다. 진행성 암 환자에게서 보이는 대표적인 4가지 증상군 중 ‘식욕부진-악액질군 (Anorexia-cachexia cluster)’은 암 환자에게서 제일 빈번하게 보이는 증상군으로 보고되었다4).
암 환자의 증상은 어떤 특성이 있는가? 암 환자의 증상은 복합적으로 ‘증상군(Symptom Cluster)’을 이루어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암 환자들은 종양 자체로 인한 통증뿐 아니라 암으로 인한 여러 가지의 증상, 항암치료로 유발된 증상들로 고통을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통계청, 2012 사망원인통계. 

  2. 국가암정보센터. available:http://www.cancer. go.kr 

  3. Kim SG, Hahm MI, Choi KS, Seung NY, Shin HR, Park EC. The economic burden of cancer in Korea in 2002. Eur J Cancer Care. 2008; 17(2):136-44. 

  4. Jimenez A, Madero R, Alonso A, Martinez-Marin V, Vilches Y, Martinez B, Feliu M, Diaz L, Espinosa E, Feliu J. Symptom clusters in advanced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11;42(1):24-31. 

  5. Trajkovic-Vidakovic M, de Graeff A, Voest EE, Teunissen SC. Symptoms tell it all: a systematic review of the value of symptom assessment to predict survival in advanced cancer patients. Crit Rev Oncol Hematol. 2012;84(1):130-148. 

  6. Lis CG, Gupta D, Grutsch JF. Can anorexia predict patient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in advanced cancer? Support Care Cancer. 2009;17(2):129-135. 

  7. Tranmer JE, Heyland D, Dudgeon D, Groll D, Squires-Graham M, Coulson K. Measuring the symptom experience of seriously ill cancer and noncancer hospitalized patients near the end of life with the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 J pain Symptom Manage. 2003;25(5):420-9. 

  8. Ohno T, Yanai M, Ando H, Toyomasu Y, Ogawa A, Morita H, Ogata K, Mochiki E, Asao T, Kuwano H. Rikkunshito, a traditional Japanese medicine, suppresses cisplatin-induced anorexia in humans. Clin Exp Gastroenterol. 2011;(4):291-6. 

  9. Lee JJ, Lee JJ. A phase II study of an herbal decoction that includes Astragali radix for cancer-associated anorexia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Integr Cancer Ther. 2010;9(1):24-31. 

  10. Li J, Li L, Liu R, Lin HS. Establishing Chinese medicine characteristic tumor response evaluation system is the key to promot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ese medicine oncology. Chin J Integr Med. 2012; 18(10):730-736. 

  11. Yavuzsen T, Walsh D, Davis MP, Kirkova J, Jin T, LeGrand S, Lagman R, Bicanovsky L, Estfan B, Cheema B, Haddad A. Components of the anorexia-cachexia syndrome: gastrointestinal symptom correlates of cancer anorexia. Support Care Cancer. 2009;17(12):1531-1541. 

  12. Portenoy RK, Thaler HT, Kornblith AB, Lepore JM, Friedlander-Klar H, Kiyasu E, Sobel K, Coyle N, Kemeny N, Norton L, et al. The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 an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of symptom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distress. Eur J Cancer. 1994;30A(9):1326-1336 

  13. Chang VT, Hwang SS, Kasimis B, Thaler HT. Shorter symptom assessment instruments: the Condensed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CMSAS). CancerInvest. 2004;22(4):526-36. 

  14. Chang VT, Hwang SS, Feuerman M, Kasimis BS, Thaler HT. The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 short form (MSAS-SF). Cancer. 2000;89(5):1162-71. 

  15. Cleeland CS, Mendoza TR, Wang XS, Chou C, Harl MT, Morrissey M, Engstrom MC. Assessing symptom distress in cancer patients: the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Cancer. 2000;89(7):1634-46. 

  16. Bruera E, Kuehn N, Miller MJ, Selmser P, Macmillan K.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ESAS): a simp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palliative care patients. J Palliat Care. 1991;7(2):6-9. 

  17. Claessens P, Menten J, Schotsmans P, Broeckaert 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ified version of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cale in a Flemish palliative care population. Am J Hosp PalliatCare. 2011;28(7):475-82. 

  18. Cella DF, Tulsky DS, Gray G, Sarafian B, Linn E, Bonomi A, Silberman M, Yellen SB, Winicour P, Brannon J, et al.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 Clin Oncol. 1993;11(3): 570-9. 

  19. Ribaudo JM, Cella D, Hahn EA, Lloyd SR, Tchekmedyian NS, Von Roenn J, Leslie WT. Revalidation and shortening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Anorexia/Cachexia Therapy (FAACT) questionnaire. Qual Life Res. 2000;9(10):1137-46. 

  20. Aaronson NK, Bullinger M, Ahmedzai S. A modular approach to quality-of-life assessment in cancer clinical trials. Recent Results Cancer Res. 1988;111:231-49. 

  21. Hjermstad MJ, Fossa SD, Bjordal K, Kaasa S. Test/retest study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Core Quality-of-Life Questionnaire. J Clin Oncol. 1995;13(5):1249-54. 

  22. De Haes JCJM, van Knippenberg FCE, Neijt JP. Measur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stress in cancer patients: structure and application of the Rotterdam Symptom Checklist. Br J Cancer. 1990;62:1034-8. 

  23. Hopwood P, Howell A, Maguire P. Screening for psychiatric morbidity in patients with advanced breast cancer: validation of two self-report questionnaires. Br J Cancer. 1991;64(2):353-6. 

  24. McCorkle R, Young K. Development of a symptom distress scale. Cancer Nurs. 1978 Oct;1(5):373-8. 

  25. Apfelbaum JL, Gan TJ, Zhao S, Hanna DB, Chen C.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ioperative opioid- related symptom distress scale. Anesth Analg. 2004;99(3):699-709. 

  26. Yun YH, Mendoza TR, Kang IO, You CH, Roh JW, Lee CG, Lee WS, Lee KS, Bang SM, Park SM, Cleeland CS, Wang XS.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J Pain Symptom Manage. 2006 Apr;31(4): 345-52. 

  27. Kwon JH, Nam SH, Koh S, Hong YS, Lee KH, Shin SW, Hui D, Park KW, Yoon SY, Won JY, Chisholm G, Bruera E. Validation of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in korean patients with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13;46(6):947-56. 

  28. Yun YH, Park YS, Lee ES, Bang SM, Heo DS, Park SY, You CH, West K.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C30. Qual Life Res. 2004 May;13(4): 863-8. 

  29. Laviano A, Meguid MM, Rossi-Fanelli F. Cancer anorexia: clinical implications,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Lancet Oncol. 2003;4(11):686-94. 

  30. Ribaudo JM, Cella D, Hahn EA, Lloyd SR, Tchekmedyian NS, VonRoenn J, Leslie WT. Re-validation and shortening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Anorexia/ Cachexia Therapy (FAACT) questionnaire. Qual Life Res. 2000;9(10):1137-1146. 

  31. Watanabe SM, Nekolaichuk C, Beaumont C, Johnson L, Myers J, Strasser F. A multicenter study comparing two numerical versions of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in palliative care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11;41(2):456-468. 

  32. Yavuzsen T, Davis MP, Walsh D, LeGrand S, Lagman R. Systematic review of the treatment of cancer-associated anorexia and weight loss. J Clin Oncol. 2005;23(33): 8500-8511. 

  33. Lagman RL, Davis MP, LeGrand SB, Walsh D. Common symptoms in advanced cancer. Surg Clin North Am. 2005;85(2):237-2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