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경광학과 재학생과 안경사의 안경광학과 교과과정 분야별 유용도 - 경기지역 3년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Usefulness of the Classification in Ophthalmic Optics' Curriculum for Students and Optometrist - Focusing on Three-year Educational System in Gyeonggi Province -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4 = no.53, 2013년, pp.413 - 428  

이옥진 (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희경 (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목적: 안경광학과 재학생과 안경사를 대상으로 안경광학과 교과과정 분야별 유용도를 조사하여 교과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 292명과 산업체 재직 안경사 123명을 대상으로 교과과정 유용도(5점 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하였다. 결과: 교과과정 유용도의 평균은 안경사(3.89)가 재학생(3.71)보다 높았다. 재학생의 교과과정 분야별 유용도는 검안학분야가 가장 높았고(4.55) 안경사는 임상실습분야가 가장 높았다(4.48). 재학생과 안경사의 분야별 교과목의 유용도는 안광학분야, 안과학분야, 안경학분야, 전공기초분야, 안경사관련분야, 외국어분야에서 유의한 차이(p<.05)가 있었으나 검안학분야와 콘택트렌즈분야는 유의한 차이 없이 공통적으로 유용도가 높았다. 재학생의 교과목 유용도는 성별, 학년, 연령, 희망진로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안경사의 교과목 유용도는 성별, 연령, 학력, 경력, 근무처, 직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안경광학과 표준교과과정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재학생과 안경사의 교과과정에 대한 유용도와 요구가 반영된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tudents and optometrist opinion of the usefulness of different subjects of optometry curriculum.This date will then be used as base-line data during a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Methods: 292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and 123 of optome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재학생과 산업체 재직 안경사를 대상으로 안경광학과 교과과정의 분야별 유용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재학생과 안경사가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분야와 교과목을 조사하고 안경광학과 표준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안경광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약한 관계로 연구자들이 개발하였다. 설문내용은 연구 대상자의 인적사항과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항목(재학생은 4문항, 안경사 7문항)과 교과과정 내 교과목에 대한 유용도 2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안경광학과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984년 대구보건전문대학(현 대구보건대학교)에 2년제 과정의 안경광학과가 국내 최초로 개설된 이래 1997년 4년제 대학인 서울산업대학교(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 안경광학과가 개설되었으며 2000년까지 21개 대학에 안경광학과가 개설되었고 2002년부터는 14개 2년제 대학이 3년제로 연장 운영되기 시작하였다.[1-2] 이후 학제 연장과학과 개설이 계속적으로 이어져 2013년 현재 2년제 대학 3개교, 3년제 대학 29개교, 4년제 대학 14개교 등 총 46개 대학교에 안경광학과가 개설되었고 안경사의 양적 팽창을 가져왔다.
안경광학과 교과과정 분야별 유용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1. 교과과정 유용도의 평균은 안경사(3.89)가 재학생(3.71)보다 높게 나타났다. 2. 교과과정의 분야별 유용도는 재학생의 경우에 검안학분야가 가장 높았고(4.55) 안경사는 임상(현장)실습분야가 가장 높았다(4.48). 3. 재학생과 안경사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유용도가높은 분야는 검안학분야와 안경학분야, 콘택트렌즈분야, 임상실습분야이고 유용도가 낮은 분야는 전공기초이다. 4. 재학생과 안경사의 교과과정 분야별 유용도는 안광학분야, 안과학분야, 안경학분야, 전공기초분야, 안경사관련분야, 외국어분야에서 유의한 차이(p<.05)가 있었으나 검안학분야와 콘택트렌즈분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공통적으로 유용도가 높았다. 5. 재학생과 안경사 두 집단 간 교과과정 분야별 교과목유용도를 비교해 본 결과, 안광학분야는 안경광학과 물리광학, 안광학기기, 광학실험, 렌즈설계(p<.01) 교과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안과학분야에는 안질환에서 유의한 차이가(p<.05) 나타났다. 안경학분야는 안경조제 및 가공(p<.05)과 안경재료학(p<.01) 교과목에서, 전공기초분야는 수학, 물리학, 생물학(p<.01) 교과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안경사관련분야는 안경디자인 및 안경원디자인(p<.05)과 의학용어, 공중보건, 안경사직장예절, 전산학(p<.01) 교과목에서, 외국어분야는 영어(p<.05) 교과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재학생의 교과과정 내 교과목 유용도는 성별, 학년, 연령, 희망진로에 따라 일부 교과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7. 안경사의 교과과정 내 교과목 유용도는 성별, 연령, 학력, 경력, 근무처, 직위에 따라 일부 교과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안경광학과의 학제연장은 어떤 문제를 낳았는가? 학제연장은 안경사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기도 하였으나 2년제, 3년제, 4년제의 혼재양상을 초래하였고 교육기관별 교과목과 교육내용의 범위 등이 상이하여 국가시험의 기준의 적용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직무영역과 국민의 보건의료 욕구를 분석하여 학제와 무관한 공통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게 되었다.[3]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안경광학과 표준교과과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Park JH. The analysis of curriculum for optometric education in Korea.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009;1- 70. 

  2. Mah KC, Lee HJ, Lee JH, Lee HJ. The projection of the demand and supply for opticianry manpower. Korean J Vis Sci. 2001;3(1);25-40. 

  3. Kim SH, Lim YM. The improvement proposal of control system for supply and demand of Korea optometrist. J Korean Oph Opt Soc. 2007;12(4):9-14. 

  4. Ryu KH, Kim JH. The analysis of a educational objectives and a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departments of two-year colleges. J Korean Oph Opt Soc. 2007;12(3):65-70. 

  5. Song YJ. Optician training system at a professional school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optical science. J Korean Oph Opt Soc. 1997;2(1):111-126. 

  6. Sung PJ, Jon KC. A study on subjects for the Angyoungsa license examination managed by Guksiwon, reforming the curriculum and syllubus of the optometry and opticianary in Korea. Korean J Vis Sci. 1999;1(1);45-65. 

  7. Ryu KH. Analysis of demand for opticians about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major curriculum. Korean J Vis Sci. 2009;11(3):161-171. 

  8. Kim CS, Ryu KH. Analysis of demand for cultural and basic subject in majoring of ophthalmic optic by students and opticians. J Korean Oph Opt Soc. 2009;14(4):19-26. 

  9. Ryu KH, Kim CS. Comparison of demands for major subjects of dept. of ophthalmic optics by Students and opticians. Korean J Vis Sci. 2010;12(4):239-245. 

  10. Ryu KH, Kim CS. Improving and developing curriculum organization of ophthalmic optics for professional optician. Korean J Vis Sci. 2013;15(3):209-216. 

  11.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Gallup Korea. Using the national eye survey report(2011). Gallup Korea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