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생 중인 포유류 망막으로 골수기질세포의 이식
Transplantation of Marrow Stromal Cells into the Developing Mammal Retina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4 = no.53, 2013년, pp.541 - 548  

이은실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권오주 (부산정보대학 보건웰빙학부 안경광학과) ,  예은아 (신경과학프로그램,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  전창진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골수기질세포는 생체 내 외에서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교차분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발생 중인 숙주 환경에 따라 이식된 골수기질세포의 생존여부, 형태학적 그리고 분자적 분화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브라질산 주머니쥐 안구에 마우스 골수기질세포를 이식하였다. 방법: GFP를 발현하는 골수기질세포를 발생 중인 브라질산 주머니쥐의 각 시기별로 이식하여, 이식 후 최대 4주까지 생존시킨 후 각 시기별로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이식한 골수기질세포의 일부는 숙주동물의 유리체 내에서 생존하며 일부 돌기를 내는 신경세포로 형태학적 분화가 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유리체에 존재하는 일부 세포는 신경세포 표지인자인 TuJ1(class III ${\beta}$-tubulin), 신경교세포 표지인자인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또는 신경줄기세포 표지인자인 Nestin 단백질을 발현하였다. 게다가, 일부 골수기질세포는 신경절세포층으로 이동함을 관찰했으나, 이동한 세포들은 형태학적 또는 분자적 분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가장 효율적인 이식시기는 생후 16일째의 포유류 망막으로, 이는 망막세포의 분화양상과 층분화 패턴으로 미뤄볼 때 생후 4~5일 정도의 마우스 망막과 발생학적으로 상동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식 받은 숙주 망막의 미세환경이 이식된 세포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arrow stromal cells (MSCs) have been known for their potential to trans-differentiate into neural and glial cells in vitro and in vivo.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eveloping host environment on the survival an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ifferentiation, murine MSCs transplan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태아와 같은 발생단계를 가진 모델로 큰 외과적인 수술 없이 생체 외에서의 실험을 통해 이식된 줄기세포의 운명을 알아내는 데 최적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최적의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발생 중 망막에 골수기질세포를 이식 한 후 이식된 세포가 망막내로의 생존, 구조적, 분자적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줄기세포치료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지식을 제공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라질산 주머니쥐는 어떤 동물인가? 브라질산 주머니쥐(Brazilian gray short-tailed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는 남아메리카 산의 유대목(Marsupialia) 포유동물로서, 다른 포유동물과는 달리 새끼가 태어날 때 극도로 미성숙한 상태이며 출생 후에도 오랜 발생 기간을 갖게 된다. 따라서 태아와 같은 발생단계를 가진 모델로 큰 외과적인 수술 없이 생체 외에서의 실험을 통해 이식된 줄기세포의 운명을 알아내는 데 최적일 수 있다.
신경세포의 사멸/손상으로 인한 중추신경계의 신경퇴행성질환은 어떤 질환에 해당하는가? 신경세포는 극히 제한적인 자기 회복능력만 가지고 있기에 이의 사멸/손상으로 인한 중추신경계의 신경퇴행성질환은 특별히 난치성 질환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신경세포의 사멸을 방지하거나 손상에 의해 소멸된 신경세포들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들이 이뤄지고 있다.
망막이 중추신경계의 발달, 가소성, 재생연구와 줄기세포의 연구에 이상적인 실험 모델이 될 수 있는 이유는? 기세포 치료를 위한 표적으로서의 특별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망막은 복잡한 외과적 수술 없이 유리체를 통한 접근이 용이하며, 눈의 면역회피기능(immune privilege)은 이식된 세포의 거부 반응을 감소시킨다.[3] 이 때문에 망막은 중추신경계의 발달(development), 가소성(plasticity), 그리고 재생(regeneration) 연구와 줄기세포의 연구에 이상적인 실험 모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Ramsden CM, Powner MB, Carr AJ, Smart MJ, da Cruz L, Coffey PJ. Stem cells in retinal regener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 2013;140(12):2576-2585. 

  2. Wang NK, Tosi J, Kasanuki JM, Chou CL, Kong J, Parmalee N et al. Transplantation of reprogrammed embryonic stem cells improves visual function in a mouse model for retinitis pigmentosa. Transplantation. 2010;89(8):911-919 

  3. Streilein JW. Ocular immune privilege: therapeutic opportunities from an experiment of nature. Nat Rev Immunol. 2003;3(11):879-889. 

  4. Klassen HJ, Ng TF, Kurimoto Y, Kirov I, Shatos M, Coffey P et al. Multipotent retinal progenitors express developmental markers, differentiate into retinal neurons, and preserve light-mediated behavior.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4;45(11):4167-4173. 

  5. Stern JH, Temple S. Stem cells for retinal replacement therapy. Neurotherapeutics. 2011;8(4):736-743. 

  6. Meyer JS, Shearer RL, Capowski EE, Wright LS, Wallace KA, McMillan EL et al. Modeling early retinal development with human embryonic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9;106(39):16698- 16703. 

  7. Buchholz DE, Hikita ST, Rowland TJ, Friedrich AM, Hinman CR, Johnson LV et al. Derivation of functional retinal pigmented epithelium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Stem Cells. 2009;27(10):2427-2434. 

  8. Nistor G, Seiler MJ, Yan F, Ferguson D, Keirstead HS. Three-dimensional early retinal progenitor 3D tissue construct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J Neurosci Methods. 2010;190(1):63-70. 

  9. Castanheira P, Torquetti L, Nehemy MB, Goes AM. Retinal incorpo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intravitreally injected in the injured retina of rats. Arq Bras Oftalmol. 2008;71(5):644-650. 

  10. Gong L, Wu Q, Song B, Lu B, Zhang Y. Differentiation of rat mesenchymal stem cells transplanted into the subretinal space of sodium iodate-injected rats. Clin Experiment Ophthalmol. 2008;36(7):666-671. 

  11. Arnhold S, Heiduschka P, Klein H, Absenger Y, Basnaoglu S, Kreppel F et al. Adenovirally transduced bone marrow stromal cells differentiate into pigment epithelial cells and induce rescue effects in RCS rat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6;47(9):4121-4129. 

  12. Tomita M, Adachi Y, Yamada H, Takahashi K, Kiuchi K, Oyaizu H et al. Bone marrow-derived stem cells can differentiate into retinal cells in injured rat retina. Stem Cells. 2002;20(4):279-283. 

  13. MacLaren RE, Pearson RA, MacNeil A, Douglas RH, Salt TE, Akimoto M et al. Retinal repair by transplantation of photoreceptor precursors. Nature. 2006;444(7116): 203-207. 

  14. Sakaguchi DS, Van Hoffelen SJ, Theusch E, Parker E, Orasky J, Harper MM et al. Transplantation of neural progenitor cells into the developing retina of the Brazilian opossum: an in vivo system for studying stem/progenitor cell plasticity. Dev Neurosci. 2004;26(5-6):336-345. 

  15. Van Hoffelen SJ, Young MJ, Shatos MA, Sakaguchi DS. Incorporation of murine brain progenitor cells into the developing mammalian retin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3;44(1):426-434. 

  16. Amato MA, Boy S, Perron M. Hedgehog signaling in vertebrate eye development: a growing puzzle. Cell Mol Life Sci. 2004;61(7-8):899-910. 

  17. Esteve P, Bovolenta P. Secreted inducers in vertebrate eye development: more functions for old morphogens. Curr Opin Neurobiol. 2006;16(1):13-19. 

  18. Van Raay TJ, Vetter ML. Wnt/frizzled signaling during vertebrate retinal development. Dev Neurosci. 2004;26(5-6):352- 358. 

  19. VandeBerg JL, Robinson ES. The Laboratory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in Laboratory Research. ILAR J. 1997;38(1):4-12. 

  20. Palmer TD, Takahashi J, Gage FH. The adult rat hippocampus contains primordial neural stem cells. Mol Cell Neurosci. 1997;8(6):389-404. 

  21. Sakaguchi DS, Van Hoffelen SJ, Young MJ. Differentiation and morphological integration of neural progenitor cells transplanted into the developing mammalian eye. Ann N Y Acad Sci. 2003;995:127-139. 

  22. Shatos MA, Mizumoto K, Mizumoto H, Kurimoto Y, Klassen H, Young MJ. Multipotent stem cells from the brain and retina of green mice. J Regen. Med. 2001;2(3): 13-15. 

  23. Sakaguchi DS, Iqbal J, Sonea I, Jacobson CD. The gray short-tailed opossum: a novel model for mammalian development. Lab animal. 1995;24(6):24-29. 

  24. Greenlee MH, Swanson JJ, Simon JJ, Elmquist JK, Jacobson CD, Sakaguchi DS. Postnatal development and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presynaptic terminal-associated proteins in the developing retina of the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Brain Res Dev Brain Res. 1996;96(1-2):159-172. 

  25. Greenlee MH, Roosevelt CB, Sakaguchi DS. Differential localization of SNARE complex proteins SNAP-25, syntaxin, and VAMP during development of the mammalian retina. J Comp Neurol. 2001;430(3):306-320. 

  26. Lee ES, Yu SH, Jang YJ, Hwang DY, Jeon CJ. Transplantation of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to the developing mouse eye. Acta Histochem Cytochem. 2011;44(5):213-221. 

  27. Yu SH, Jang YJ, Lee ES, Hwang DY, Jeon CJ. Transplantation of adipose derived stromal cells into the developing mouse eye. Acta Histochem Cytochem. 2010;43(6):123- 130. 

  28. Fuhrmann S, Kirsch M, Hofmann HD. Ciliary neurotrophic factor promotes chick photoreceptor development in vitro. Development. 1995;121(8):2695-2706. 

  29. Goureau O, Rhee KD, Yang XJ. Ciliary neurotrophic factor promotes muller glia differentiation from the postnatal retinal progenitor pool. Dev Neurosci. 2004;26(5-6):359- 370. 

  30. Kirsch M, Fuhrmann S, Wiese A, Hofmann HD. CNTF exerts opposite effects on in vitro development of rat and chick photoreceptors. Neuroreport. 1996;7(3):697-700. 

  31. Xie HQ, Adler R. Green cone opsin and rhodopsin regulation by CNTF and staurosporine in cultured chick photoreceptor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0;41(13):4317- 4323. 

  32. Takahashi M, Palmer TD, Takahashi J, Gage FH. Widespread integration and survival of adult-derived neural progenitor cells in the developing optic retina. Mol Cell Neurosci. 1998;12(6):340-348. 

  33. Cepko CL, Austin CP, Yang X, Alexiades M, Ezzeddine D. Cell fate determination in the vertebrate retina. Proc Natl Acad Sci U S A. 1996;93(2):589-595. 

  34. Dorrell MI, Aguilar E, Weber C, Friedlander M. Global gene expression analysis of the developing postnatal mouse retin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4;45(3): 1009-1019. 

  35. Furukawa T, Mukherjee S, Bao ZZ, Morrow EM, Cepko CL. rax, Hes1, and notch1 promote the formation of Mller glia by postnatal retinal progenitor cells. Neuron. 2000;26(2):383-394. 

  36. Hatakeyama J, Kageyama R. Retinal cell fate determination and bHLH factors. Semin Cell Dev Biol. 2004;15(1):83- 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