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학전공 여대생의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ype D Personality of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2, 2013년, pp.6265 - 6274  

노준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임은주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정용선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전공 여대생의 D유형 성격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여대생 353명이며,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D유형 성격 분포는 34.8%였으며, D유형과 non-D유형 성격의 생활스트레스 수준은 47.03점과 36.59점이고(t=4.853, p<.001), 자아탄력성은 112.66점과 120.17점(t=-4.497, p<.001)으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었다. 이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요인은 생활스트레스였으며 6개의 설명변수로 이루어진 모형의 전체설명력은 36.3%였다. 미래의 간호사로서 보다 전문성을 갖춘 태도를 갖기 위해 간호대학생의 D유형 성격 수준 감소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 교육현장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Type D personal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The subjects were 353 female students attending a nursing colleg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The distribution of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필요성이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 뿐만 아니라 국외에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D유형 성격과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을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대학의 대다수인 여학생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D유형 성격분포를 조사하고,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간호대학 교과과정 운영 및 개선에 반영하고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간호대학생의 전문성을 갖춘 태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대학의 대다수인 여학생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D유형 성격분포를 조사하고,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간호대학 교과과정 운영 및 개선에 반영하고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간호대학생의 전문성을 갖춘 태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학전공 여대생의 D유형 성격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전공 여대생을 대상으로 D유형 성격에 따른 생활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 수준을 살펴보고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는 간호대학생들이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를 가지고 대학생활에 적응하게 할 뿐만 아니라 향후 간호전문인으로서 자질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D유형 성격에 관한 것으로써 간호학전공 여대생을 대상으로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학전공 여대생의 D유형 성격 분포는 3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유형 성격인 대상자 특징은? D유형 성격인 대상자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 위축되며 역할 긴장감이 큰 양상을 보인다[1]. 이러한 성향은 위급한 때 공황에 빠지기 쉽고 원활히 대처하지 못하며 스트레스에 민감한 경향이 있다[2].
D유형 성격인 대상자가 위급한 상황에서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가? D유형 성격인 대상자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 위축되며 역할 긴장감이 큰 양상을 보인다[1]. 이러한 성향은 위급한 때 공황에 빠지기 쉽고 원활히 대처하지 못하며 스트레스에 민감한 경향이 있다[2]. 간호대학생의 D유형 성격에 대한 사정과 중재는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미래의 간호사로서 상황에 대한 대처기술을 강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며, 인도와 박애정신을 바탕으로 간호 전문인으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자신의 건강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필수적인 지원을 받게 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D유형 성격의 두 가지 주류는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의 D유형 성격에 대한 사정과 중재는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미래의 간호사로서 상황에 대한 대처기술을 강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며, 인도와 박애정신을 바탕으로 간호 전문인으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자신의 건강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필수적인 지원을 받게 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D유형 성격의 두 가지 주류는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 제한으로써, 만성적인 부정적 감정은 면역기능이 억제되고, 감염력이 높아지며 자율신경계 기능이 변화[3]하게 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해 비우호적인 사람은 호의적인 사람보다 심박동수와 혈압이 증가하고 카테콜라민과 코티솔 방출이 증가하는 등 더 큰 생리적 반응을 가지며 스트레스를 겪는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E. J. Lim, S. E. Kim, and J. H. Noh, "Type D persona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young adult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6, pp.3121-3133, 2012. 

  2. D. R. Baldacchino, and P. Galea, "Student nurses' personality traits and the nursing profession: Part 1", British Journal of Nursing, Vol.21, No.7, pp.419-425, 2012. 

  3. T. W. Smith, and L. C. Gallo. Personality traits as risk factors for physical illness. In A. Baum, T. Revenson, & J. Singer (Eds.), p.139-172, Hillsdale, NJ: Erlbaum, 2001. 

  4. T. W. Smith, "Personality and physical health personality as risk and resilience in physical health", Personality and Physical Health, Vol. 15, No.5, pp.227-231, 2006. 

  5. C. Jimenez, P. M. Navia-Osorio, and C. V. Diaz,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6, No.2, pp.442-455,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183.x 

  6. H. J. Choi, and E. J. Lee,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rsing, Vol.19, No.2, pp.261-268, 2012.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2.261 

  7. D. Edwards, P. Burnard, K. Bennett, and U. Hebden, "A longitudinal study of stress and self-esteem in student nurses", Nurse Education Today, Vol.30, No.1, pp.78-84, 2010.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9.06.008 

  8. M. Pulido-Martos, J. M. Augusto-Landa, and E. Lopez-Zafra, "Sources of stress in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59, No.1, pp.15-25,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11.00939.x 

  9. S. Pryjmachuk, and D. A. Richards, "Predicting stress in pre-registration nursing student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2, No.1, pp.125-144, 2007. DOI: http://dx.doi.org/10.1348/135910706X98524 

  10. H. J. Park, and I. S. Jang,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6, No.1, pp.14-23, 2010.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1.014 

  11. J. Block, and J. H.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p.39-101, Hillsdale, NJ: Erlbaum, 1980. 

  12. B. Smith, J. Dalen, K. Wiggins, E. Tooley, P. Christopher, and J. Bernard, "The brief resilience scale: Assessing the ability to bounce back",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15, No.3, pp.195-200, 2008. DOI: http://dx.doi.org/10.1080/10705500802222972 

  13. M. McAllister, and J. McKinnon,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resilience in the health discipline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Vol.29, No.4, pp.371-379, 2009.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8.10.011 

  14.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No.4, pp.1149-1160, 2009. DOI: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5. J. Denollet, "DS14: Standard assessment of negative affectivity, social inhibition, and Type D personality", Psychosomatic Medicine, Vol.67, No.1, pp.89-97, 2005. DOI: http://dx.doi.org/10.1097/01.psy.0000149256.81953.49 

  16. H. E. Lim, M. S. Lee, Y. H. Ko, Y. M. Park, S. H. Joe, Y. K. Kim, C. S. Han, H. Y. Lee, S. S. Pedersen, and J. Denollet, "Assessment of the Type D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Korean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DS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6, No.1, pp.116-123, 2011. DOI: http://dx.doi.org/10.3346/jkms.2011.26.1.116 

  17. K. K. Chon, K. H. Kim, and J. S. Yi,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5, No.2, pp.316-335, 2000. 

  18. J. A. Park, and E. K. Le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7, No.3, pp.267-276,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3.267 

  19. G. M. Wagnild, and H. M. Young,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Vol.1, No.2, pp.165-178, 1993. 

  20. N. Y. Shin.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locus of control and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1. 

  21. Y. R. Park, "Type-D Personality,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5, pp.2567-2578, 2010. 

  22. L. Williams, R. C. O'Connor, S. Howard, B. M. Hughes, D. W. Johnston, J. L. Hay, D. B. O'Connor, C. A. Lewis, E. Ferguson, N. Sheehy, M. A. Grealy, and R. E. O'Carroll, "Type-D personality mechanisms of effect: The role of health-related behavior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64, No.1, pp.63-69,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07.06.008 

  23. Y. S. Kim, M. S. Kim, and W. S. Ch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8, No.1, pp.51-60, 2002. 

  24. R. Polman, E. Borkoles, and A. R. Nicholls," Type D personality, stress, and symptoms of burnout: The influence of avoidance coping and social support".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ical Society, Vol.15, No.3, pp.681-696. 2010. DOI: http://dx.doi.org/10.1348/135910709X479069 

  25. A. Sand, "Nurses' personalities, nursing-relating qualities and work satisfaction: A 10-year perspectiv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2, No.2, pp.177-187,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365-2702.2003.00729.x 

  26. A. McVicar, "Workplace stress in nursing: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4, No.6, pp.633-642, 2003. DOI: http://dx.doi.org/10.1046/j.0309-2402.2003.02853.x 

  27. P. M. C. Mommersteeg, J. Denollet, and E. J. Martens, "Type D personality,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health outcom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40, pp.35-42, 2012. DOI: http://dx.doi.org/10.1177/1403494811421533 

  28. M. H. Sung,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stress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Vol.9, No.3, pp.222-229, 2009. 

  29. Y. S. Song,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18, No.1, pp.71-80,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71 

  30. H. S. Cho, "Relationship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endencies in nursing studen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ol.12, No.1, pp.3-14, 2009. 

  31. O. H. Lee,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19, No.1, pp.29-57, 2012. 

  32. E. K. Song, and Y. J. Son, "The analysis of Type D personality research as a psychosocial risk factor in cardiovascular disease for elders with a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Vol.38, No.1, pp.19-28, 2008.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8.38.1.19 

  33. F. Mols, and J. Denollet, "Type D personality among noncardiovascular patient populations: A systematic review, General Hospital Psychiatry, Vol.32, No.1, pp.66-7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09.09.010 

  34. K. S. Han, and G. M. Kim, "Comparison to self esteem, family adapta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between nursing and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omental Health Nursing, Vol.16, No.11, pp.78-84, 2007. 

  35. K. Yamashita, M. Saito, and T. Takao, "Stress and coping styles in Japanese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Vol.18, No.5, pp.489-496,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12.02056.x 

  36. Y. G. Park, and I. S. Kang, "University student's of campus life stress,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 No.4, pp.177-189, 2012.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2.6.4.17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