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type D 성격, 소진,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ype D Personality, Burnout and Work Environment on Nurses' Intention to Stay in the Hospital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63 - 170  

김숙영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  서연옥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type D personality, burnout and work environment on nurses' intention to stay at the hospitals among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35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Data w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type D 성격, 소진,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으며, 병원 간호사들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type D 성격, 소진,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병원간호사의 재직의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type D 성격, 소진,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소진이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간호근무환경 중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가 재직의도에 영향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킬수 있는 중재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type D 성격, 소진, 간호근무환경,재직의도를 확인하고 재직의도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재직의도란 무엇인가?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로 인한 간호사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7]. 간호사의 재직의도는 간호사가 다른 새로운 직업을 찾으려는 것을 멈추거나 현재 간호직무에 머무르려는 의도를 의미한다[8]. 재직 의도는 재직이라는 긍정적 행동의 동기 혹은 재직을 예측할 수 있는 전제조건이며,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는 것이 유능한 간호사를 보유하고 결과적으로 조직의 유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9,10].
우리나라의 간호사 인력의 실정은 어떠한가? 최근 의료 환경은 인구구조의 변화, 급성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의 질병양상의 변화 및 사회제도의 변화로 의료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간호사 인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이다[1,2].그러나 우리나라의 활동 간호사 수는 인구 1,000명당 3.1명으로 OECD 평균인 6.93명에 비해 낮고[3] 국내간호사의 이직률은 2016년 15.7%로 높게 나타나 간호인력 확보가 적정수준으로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4]. 간호사 부족은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지 못 할 수 있어 환자 안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간호사들이 충분한 직무숙지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5].
간호사 부족은 어떠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가? 7%로 높게 나타나 간호인력 확보가 적정수준으로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4]. 간호사 부족은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지 못 할 수 있어 환자 안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간호사들이 충분한 직무숙지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5]. 또한 병원 측에서는 새로운 인력 모집 및 훈련에 따른 병원의 재정적 손실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h YH, The demand and supply of registered nurses in Korea and policy recommendation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8;28(1):68-86. 

  2. Han YH, Sohn IS, Park KO, Kang KH,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17-31. 

  3. Park SY.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ing workforce supply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2018;6(1):31-54. 

  4.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5 Annual report.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2016. 

  5. Liou SR. Nurses' intention to leave: Critically analyse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9;17(1):92-99.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8.00873.x 

  6. Hayes LJ, O''Brien-Pallas L, Duffield C, Shamian J, Buchan J, Hughes F, et al. Nurse turnover: a literature review-an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7):887-905.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1.10.001 

  7. Cowden T, Cummings G, Profetto-Mcgrath J. Leadership practices and staff nurses' intent to stay: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4):461-477.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1.01209.x 

  8. Cowin LS. The effects of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32(5):283-291. 

  9. Park S, Lee T. Factors influencing Korean nurses' intention to st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2):139-148. 

  10. Kim MJ. The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nurses' intention of reten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6. pp.1-66. 

  11. Tourangeau AE, Cranley LA. Nurse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determina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5(4):497-50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3934.x 

  12. Chen LC, Perng SJ, Chang FM, Lai HL. Influence of work values and personality traits on intent to stay among nurses at various types of hospital in Taiwa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6;24(1):30-38. https://doi.org/10.1111/jonm.12268 

  13. Denollet J. DS14: Standard assessment of negative affectivity, social inhibition, and type D personality. Psychosomatic Medicine. 2005;67(1):89-97. https://doi.org/10.1097/01.psy.0000149256.81953.49 

  14. Kim SR, Kim HY, Kang JH.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72-280. https://doi.org/10.1097/01.psy.0000149256.81953.49 

  15. Mols F, Denollet J. Type D personal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 status, mechanisms of disease and work-related problem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0;8(9):1-10. 

  16. Sabo BM. Adverse psychosocial consequence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vicarious traumatization: are nurses who provide palliative and hematological cancer care vulnerable?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2008;14(1):23-29. https://doi.org/10.4103/0973-1075.41929 

  17. Yom YH, Yang IS, Han JH.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job stress, self-esteem, and burnout on the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to keep nursing jo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3):259-269.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259 

  18.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176-188. https://doi.org/10.1002/nur.10032 

  19. Carter MR, Tourangeau AE. Staying in nursing: what factors determine whether nurses intend to remain employe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2;68(7):1589-1600. 

  20. Kong MY, Kim JH. Influence of nurse manager and peer group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nurses on intention to re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191-200.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91 

  21. Lim EH, Lee MS, Ko YH, Park YM, Joe SH, Kim YK. et al. Assessment of the type D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Korean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DS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1;26(1):116-123. https://doi.org/10.3346/jkms.2011.26.1.116 

  22. Stamm BH.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version 5 (ProQOL) [Internet]. Minnesota: The Center for Victims of Torture; 2009 [cited 2018 June 30]. Available from: https://proqol.org/ProQol_Test.html. 

  23. Cho E, Choi M,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es. 2011;41(3):325-332. 

  24. Kupper N, Pelle A, Denollet J. Association of type D personality with the autonomic and hemodynamic response to the cold pressor test. Psychophysiology. 2013;50(12):1194-1201. https://doi.org/10.1111/psyp.12133 

  25. Kim S, Kim JH, Park JY, Suh EY, Yang HJ, Lee SY, et al. Oncolog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 (3):145-155. 

  26. Choi EJ, Hwang JH, Jang IS.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elf-estee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161-169.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61 

  27. Park JO, Jung KI. Effects of advanced beginner-stage nurses' sense of call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retention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2):137-147.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2.137 

  28. Smith SA.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 interven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nurses' coping with work-related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Knowledge. 2014;25(2):119-130. https://doi.org/10.1111/2047-3095.12025 

  29. Blake N, Leach LS, Robbins W, Pike N, Needleman J, Healthy work environments and staff nurse ret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y. 2013;37(4):356-370. https://doi.org/10.1097/NAQ.0b013e3182a2fa47 

  30. Moon JH, Joo GE, Lee J.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hospital accreditation experience of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5):437-447. http://doi.org/10.11111/jkana.2016.22.5.4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