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3, 2014년, pp.272 - 280  

김성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김혜영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강정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72 clinical nurses work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 및 이직의도와 관계가 깊으므로 직무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25].
  • 본 연구는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ype D 성격 유형이란 무엇인가?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것은 극히 주관적인 경험이므로[1], 간호사 개인적 특성 중 스트레스와 관련한 성격 유형이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음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3]. Type D 성격 유형이란 우울,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정서에 취약한 성향을 보이면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기 표출을 의식적으로 억제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성격으로[4,5], 부정적 정서는 시간 및 장소와 무관하게 부정적 정서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의미하며 부정적 정서상태가 높은 사람들은 두려움, 불안, 흥분을 자주 경험한다. 또한 사회적 제한은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거부당할 수 있는 잠재적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감정 및 행동의 표출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적 제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타인과 함께 있을 때 더욱 긴장하고 위축된다[5,6].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요인중 근무환경 관련요인과 개인적 특성 관련요인은 각각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요인은 크게 근무환경과 관련된 요인과 개인적 특성 관련 요인으로 구분된다. 과도한 업무량, 업무시간, 환자의 행동, 역할 갈등 등이 근무환경 관련 요인이며, 연령, 결혼상태, 개인의 경험 및 스트레스 관련 성격 유형 등이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개인적 특성 관련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2].
공감 피로란 무엇인가? 최근에는 심각한 질병을 가진 환자나 죽음에 직면한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이 많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간호사의 공감 피로와 소진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7,8]. 공감 피로(compassion fatigue)는 1992년 Joinson에 의하여 처음 소개된 개념으로 물리적 혹은 정서적 상해를 입은 대상자를 돕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사람이 입게 되는 정서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1995년부터는 Figley에 의해 이차성 상해 스트레스로 불리면서[9], 이후 두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10,11]. 공감 피로는 간호사와 같이 타인을 돕는 직업을 가진 대상자들에게 빈번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간호사는 대상자를 돕는 과정에서 정서적 고갈을 경험할 수 있다[8,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maideh SH, Ammouri A. Comparing Jordanian nurses' job stressors in stressful and non stressful clinical areas. Contemporary Nurse. 2011;37(2):173-187. http://dx.doi.org/10.5172/conu.2011.37.2.173 

  2. Wu H, Chi TS, Chen L, Wang L, Jin YP.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nurses: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3):627-634.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203.x 

  3. Han AK, Kim OS, Won JS. A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method by the personality types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2):125-136. 

  4. Son YJ, You MA, Song EK. Influence of Type D personali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2;18(3):260-267.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12.02030.x 

  5. Song EK, Son YJ. The analysis of type D personality research as a psychosocial risk factor in cardiovascular disease for elders with a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1):19-28. 

  6. Denollet J. Type D personality: A potential risk factor refined.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0;49(4):255-266. 

  7. Healy CM, McKay MF. Nursing stress: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and job satisfaction in a sample of Australian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31(3):681-688.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0.01323.x 

  8. Sabo BM. Adverse psychosocial consequence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vicarious traumatization: Are nurses who provide palliative and hematological cancer care vulnerable?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2008;14(1):23-29. http://dx.doi.org/10.4103/0973-1075.41929 

  9.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NY: Bruneer-Routledge; 1995. 

  10. Aycock N, Boyle D. Interventions to manage compassion fatigue in oncology nursing.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9;13(2):183-191. http://dx.doi.org/10.1188/09.CJON.183-191 

  11. Coetzee SK, Klopper HC. Compassion fatigue within nursing practi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0;12:235-243.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0.00526.x 

  12. Stamm BH.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version 5 (ProQOL). [Internet]. 2009 [cited 2013 June 30]. Available from: http://www.proqol.org/uploads/ ProQOL_5_Korean.pdf 

  13. Fetter KL. We grieve too: One inpatient oncology unit's interventions for recognizing and combating compassion fatigue.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2;16(6):559-561. http://dx.doi.org/10.1188/12.CJON.559-561 

  14. Abendroth M, Flannery J. Predicting the risk of compassion fatigue: A study of hospice nurses.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Nursing. 2006;8(6):346-356. 

  15.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Psychotherapists' chronic lack of self ca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58:1433-1441. http://dx.doi.org/10.1002/jclp.10090 

  16. Crabbe JM, Bowley DMG, Boffard KD, Alexander DA, Klein S. Are health professionals getting caught in the crossfire? The personal implications of caring for trauma victims. Emergency Medicine Journal: EMJ. 2004;21(6):568-572. http://dx.doi.org/10.1136/emj.2003.008540 

  17. O'Connor MF. On the etiology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distress and impairment among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01;32(4):345-350. 

  18. Stebnicki MA. Stress and grief reactions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Dealing effectively with empathy fatigue. The Journal of Rehabilitation. 2000;66(1):23-29. 

  19. Kim S, Kim JH, Park JY, Suh EY, Yang HJ, Lee SY, et al. Oncolog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 (3):145-155. 

  20. Lee JM. Effects of working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2. 

  21. Burtson PL, Stichler J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e caring: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8):1819-183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336.x 

  22. Denollet, J. DS14: Standard assessment of negative affectivity, social inhibition, and type D personality. Psychosomatic Medicine. 2005;67(1):89-97. http://dx.doi.org/10.1097/01.psy.0000149256.81953.49 

  23. Lim EH, Lee MS, Ko YH, Park YM, Joe SH, Kim YK, et al. Assessment of the type D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Korean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DS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1;26(1):116-123. http://dx.doi.org/10.3346/jkms.2011.26.1.116 

  24. Kim MJ, Gu MO.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4;14(2):28-37. 

  25. Cho W, You M. Problems and prospects of nursing research on job stres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1):63-75.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1.63 

  26. Lim EJ, Noj JH, Kim S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middle-aged workers between type D and Non-type D personalit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47-56.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47 

  27. Denollet J, Schiffer AA, Kwaijtaal M, Hooijkaas H, Hendriks EH, Widdershoven JW, et al. Usefulness of Type D personality and kidney dysfunction as predictors of interpatient variability in inflammatory activation in chronic heart failure.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9;103(3):399-404. http://dx.doi.org/10.1016/j.amjcard.2008.09.096 

  28. Kupper N, Pelle A, Denollet J. Association of Type D personality with the autonomic and hemodynamic response to the cold pressor test. Psychophysiology. 2013;50(12):1194-1201. http://dx.doi.org/10.1111/psyp.12133 

  29. Slocum-Gori S, Hemsworth D, Chan WWY, Carson A, Kazanjian A. Understanding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 survey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workforce. Palliative Medicine. 2013;27(2):172-178. http://dx.doi.org/10.1177/0269216311431311 

  30. Kim S. Compassion fatigue in liver and kidney transplant nurse coordinator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Progress in Transplantation. 2013;23(4):329-335. http://dx.doi.org/10.7182/pit20138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