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졸중 환자의 수면, 피로감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연구
Correlations Among the Sleep,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2, 2013년, pp.6302 - 6308  

장연식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의료학과) ,  김희동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의료학과) ,  정현애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수면, 피로감 및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 37명의 수면의 질, 수면 만족도, 피로감, 삶의 질을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면의 질은 수면 만족도와 피로감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고, 수면 만족도는 피로감과 삶의 질에 상관관계가 있는 결과를 가졌다. 뇌졸중 발병 후 대부분 수면장애를 경험하고, 수면의 질과 만족도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고,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을 보였다. 효과적인 작업치료 중재에 있어, 수면관련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rrelation among sleep, fatigue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Data regarding the quality of sleep, sleep satisfacti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was collected from 37 stroke patients using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의 수면장애와 피로가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뇌졸중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수면의 질과 만족도, 피로, 삶의 질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의 질, 수면 만족도, 피로, 삶의 질에 관한 관련요인들을 파악하여 최적의 건강기능을 유지 및 증진시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절한 작업치료를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6명에 이르며 국내 사망 원인인 악성 신생물 다음으로 두 번째이고 단위 질환으로의 사망률로는 가장 높은 질환으로 나타났다[1].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2]. 발병 후 뇌졸중 환자는 보행 문제와 일상생활활동 장애, 언어장애와 같은 신체적 문제와 불안, 우울, 흥분, 좌절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가지게 된다[3].
발병 후 뇌졸중 환자는 어떤 문제를 가지게 되는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2]. 발병 후 뇌졸중 환자는 보행 문제와 일상생활활동 장애, 언어장애와 같은 신체적 문제와 불안, 우울, 흥분, 좌절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가지게 된다[3]. 이러한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뇌졸중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정신적 문제는 야간 수면을 방해하며[4], 수면장애는 피로감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악영향을 주고 있다[5].
뇌졸중 환자 등 만성질환자들에게 수면장애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수면장애는 뇌졸중 후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정신과적 약물사용, 치매 등과 연관성이 있으며 뇌졸중 환자의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위해서 수면장애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10]. 뇌졸중 환자 등 만성질환자들은 수면장애로 인해 피로가 악화될 수 있으며, 치료와 회복을 지연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lderly Welfare Facilities,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뇌졸중은 국내에서 사망률이 10만명당 59.6명에 이르며 국내 사망 원인인 악성 신생물 다음으로 두 번째이고 단위 질환으로의 사망률로는 가장 높은 질환으로 나타났다[1].

  2.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 J, I. J. M.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3, No.2, p.171-184, 2006. DOI: http://dx.doi.org/10.1682/JRRD.2005.04.007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2].

  3. S. O. Lim. A structu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발병 후 뇌졸중 환자는 보행 문제와 일상생활활동 장애, 언어장애와 같은 신체적 문제와 불안, 우울, 흥분, 좌절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가지게 된다[3].

  4. H. M. Jung & Y. S. Jeon. Aroma massage on shoulder pain,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in hemiparesis pati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7. No.2. p.231-237.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뇌졸중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정신적 문제는 야간 수면을 방해하며[4], 수면장애는 피로감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악영향을 주고 있다[5].

  5. H .L. Jang. The effect of foot relexology for sleep and fatigue of old.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003.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뇌졸중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정신적 문제는 야간 수면을 방해하며[4], 수면장애는 피로감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악영향을 주고 있다[5].

  6.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2001.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제기능장애건강 분류[6]에서 수면기능(sleep functions)은 특징적인 생리적 변화를 동반하여 당면한 환경으로부터의 주기적으로 가역성이 있으며 선택적인 신체적 및 정신적 이탈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정신 기능으로 정의한다.

  7. Roley, S. S., DeLany, J. V., Barrows, C. J., Brownrigg, S., Honaker, D., Sava, D. I., ... & Youngstrom, M. J. (2008).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Vol.62. No.6. p.625.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미국작업치료협회[7]는 작업치료 실행 체계의 틀-Ⅱ(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2nd; OTPF-Ⅱ)에서 다른 작업의 영역에 건강하고 능동적으로 참여 하기 위한 '휴식과 수면'영역이 작업치료 실행 체계의 틀-Ⅰ(OTPF-Ⅰ)에서 독립적으로 분류되었고, 수면을 위해 잠자리에 드는 것, 수면 유지, 수면 준비, 수면의 참여에 관련된 활동들을 작업의 영역 안에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수면영역이 강조되었다.

  8. M. H. Sung, M. H. Lee, G. S. Song, E. M. Jun.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massage on the central pain, fatigue and sleep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7. No.1. p.46-56.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수면은 환자들에게 휴식과 안정의 기회를 제공하여 생리적, 정신적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절대 필요하다[8].

    또한 본 연구와 동일한 도구를 이용한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의 피로감 총점이 83.28±3.52점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평균 78.11±17.11점으로 비슷하며 피로감은 중간 정도의 이상을 보이며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8].

  9. Berg, A., Palomaki, H., Lehtihalmes, M., Lonnqvist, J. & Kaste, M. Poststroke Depression: An 18-Month Follow-Up. Stroke, Vol.34. No.1. p138-143.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048149.84268.07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입원한 급성 뇌경색 환자의 68%에서 불면증을 호소하였고, 18개월 경과 후에 49%에서 불면증이 지속됨을 보고하였다[9].

  10. Leppavuori, A., Pohjasvaara, T., Vataja, R., Kaste, M., & Erkinjuntti, T. Insomnia in Ischemic Stroke Patients. Cerebrovascular Diseases, Vol.14. No.2. p.90-97. 2002. DOI: http://dx.doi.org/10.1159/000064737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수면장애는 뇌졸중 후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정신과적 약물사용, 치매 등과 연관성이 있으며 뇌졸중 환자의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위해서 수면장애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10].

  11. S .K. Son.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canc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4. No.3. p.378-389.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뇌졸중 환자 등 만성질환자들은 수면장애로 인해 피로가 악화될 수 있으며, 치료와 회복을 지연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

  12. Trendall, J. Concept analysis: chronic fatig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2. No.5. p.1126-1131. 2000.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0.01583.x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피로는 주관적이고 내적인 불유쾌한 감정이며 신체·정신·정서적인 면에 영향을 주고, 휴식과 수면에 대한 강한 욕구를 지니게 되며 주위환경의 동기 및 흥미가 감소되어 신체·심리적 작업능력이 감소되는 총체적 양상을 보인다[12].

  13. Colle, F., Bonan, I., Gellez Leman, M. C., Bradai, N., & Yelnik, A. Fatigue after stroke. Annales De Readaptation Et De Medecine Physique, Vol.49. No.6, p.361-364. 2006. DOI: http://dx.doi.org/10.1016/j.annrmp.2006.04.010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뇌졸중 발병 후 환자의 39~72%에서 공통적으로 피로감을 겪게 되며 다원적인 징후 중 초기 증상으로 나타난다[13].

  14. Glader, E. L., Stegmayr, B., & Asplund, K. Poststroke Fatigue: A 2-Year Follow-Up Study of Stroke Patients in Sweden. Stroke, Vol.33. No.5, p.1327-1333. 2002.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014248.28711.D6 

  15. Van Zandvoort, M. J. E., Kappelle, L. J., Algra, A., & De Haan, E. H. F. (1998). Decreased capacity for mental effort after single supratentorial lacunar infarct may affect performance in everyday lif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ol.65. No.5. p.697-702. 1998. DOI: http://dx.doi.org/10.1136/jnnp.65.5.697 

  16. M. H. Ah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200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즉, 삶의 질이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요인을 고려한 개인적 상황에서의 주관적 안녕상태라고 할 수 있다[16].

  17. M. J. Moon. A study on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home resid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4. No.1. p.46-57. 2001. 

    인용구절

    인용 구절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신체적인 측면, 심리적인 측면, 사회경제적 측면 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17].

  18. J. J. Oh, M. S. Song, S. M.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8, No.3. p.564-572. 1998.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수면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수면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18].

  19. S. H. Wi.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leep in stroke patient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수면 만족도는 자신의 수면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 정도를 점수로 표현하도록 한 도구로 10점(매우 만족한다)에서 0점(전혀 만족하지 않는다)까지 10점 척도의 한 개 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수면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19].

    이는 동일한 수면양상 측정도구로 측정한 이인숙[23]과 위송희[19]의 연구에서 입원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면의 질을 평가한 결과와 뇌졸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면의 질과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위송희[19]의 연구결과 뇌졸중 노인의 수면의 질과 수면 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본 연구와 결과와 일치하였고, 김지숙 등[25]의 연구결과 만성 간질환의 피로, 우울, 수면장애의 상관관계에서 피로와 수면장애에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20. S. H. Yun.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sleep and fatigue in night shift nurses.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피로는 일본 산업위생학회 산업피로연구위원회(1970)가 표준화한 질문지인 피로자각증상조사표(Subjective of Fatigue Test)를 윤선희[20]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21. J. I. Moon.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troke quality of life; Using the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The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Linda 등(1999)이 개발한 삶의 질 평가 도구를 문정인[21]이 번안하여 개발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22. Southwell, M. T. Sleep in hospitals at night: are patients' needs being me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21. No.6. p.1101. 1995.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5.21061101.x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수면은 생체리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 활동이 증가되면 수면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되어 질병과 스트레스의 회복을 돕는다고 한다[22].

  23. I. S. Le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strength, depression and quality of sleep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The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는 동일한 수면양상 측정도구로 측정한 이인숙[23]과 위송희[19]의 연구에서 입원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면의 질을 평가한 결과와 뇌졸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면의 질과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24. G. O. Park, S. J. Sh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atigue in the stroke pati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13. No.1. p23-31.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피로감에 관한 연구[24]에서 뇌졸중 환자의 피로감 하위 영역별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25. J. S. Kim, H. S. Hong, Y. K. Na. A study of fatigue,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Journal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4. No.1. p.1-7. 2012. DOI: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1.1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위송희[19]의 연구결과 뇌졸중 노인의 수면의 질과 수면 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본 연구와 결과와 일치하였고, 김지숙 등[25]의 연구결과 만성 간질환의 피로, 우울, 수면장애의 상관관계에서 피로와 수면장애에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26. M. H. Suh, S. Choi-Kwon. Sleep-wake disturbance in post-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1. No.1. p.23-31.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서민희와 최스미[26]의 연구결과 불면은 피로와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Jones[27]의 연구에서 피로, 불면 그리고 집중력 저하와 피로가 상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듯 수면은 신체적 증상과 정신적 증상에서 상관성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27. D. E. Jones. Fatigue in cholestatic liver disease: Is it all in the mind? Journal of Hepatology. Vol. 46. p.992-994. 2007. DOI: http://dx.doi.org/10.1016/j.jhep.2007.03.00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서민희와 최스미[26]의 연구결과 불면은 피로와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Jones[27]의 연구에서 피로, 불면 그리고 집중력 저하와 피로가 상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듯 수면은 신체적 증상과 정신적 증상에서 상관성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28. S. M. Park, J. Y. Kim, I. S. Jang, E. J. Park. Severity of insomnia,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Vol. 28. No. 4. p.991-1007.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박승미 등[28]의 연구에서 노인의 불면으로 인한 삶의 질 수준이 불면이 없는 노인들 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고, 이해정 등[29]은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신체활동정도가 낮고 수면장애의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은 낮으며 수면장애정도가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된 결과를 보였다.

  29. H. J. Lee, Y. J. Lim, H. Y. Jung, H. K. Park. Sleep disturbanc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Vol.31. No.3. p.607-621.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박승미 등[28]의 연구에서 노인의 불면으로 인한 삶의 질 수준이 불면이 없는 노인들 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고, 이해정 등[29]은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신체활동정도가 낮고 수면장애의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은 낮으며 수면장애정도가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된 결과를 보였다.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