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5, 2013년, pp.109 - 129  

최인숙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내의 의사결정 참여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 및 인천지역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보육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조직몰입, 이직의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국공립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몰입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직의도는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몰입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몰입 모두 이직의도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의사결정 참여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근무여건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sted whether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mediating factor. The subjects were 19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를 들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결정을 포함한 유아교육기관의 실천적 조직문화에 대한 선행연구(서영숙, 김재환, 2004)에서는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차이만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의사결정참여와 조직몰입의 차이를 일부 입증한 조성연과 최미숙(2009)의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유형을 법인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으로만 나누어 살펴보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유형을 모두 포괄하여 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어린이집 내에서의 지각된 의사결정 참여,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지각된 의사결정 참여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어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의 조직적 특성인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대하여 인과 모형을 설정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설정한 연구모형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재직기간, 근무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부분적으로만 입증되었다.
  • 이어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의 조직적 특성인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대하여 인과 모형을 설정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설정한 연구모형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이라는 조직 내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수준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몰입은 무엇인가? 한편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애착과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리키는 조직몰입(민하영, 2010)은 이직율을 낮추는 주요한 요인으로 입증되어 왔다(박상희, 문수경, 이무영, 2006; Allen & Meyer, 1996). Mowday, Steers 그리고 Porter(1979)가 제시한 조직몰입의 보편적인 구성과 내용을 토대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정의하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자신이 속한 어린이집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신념과 수용, 조직을 위해 헌신하는 노력, 어린이집에서 계속 일하고자하는 강한 바램과 의도로 정의할 수 있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내의 의사결정 참여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보육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조직몰입, 이직의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국공립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몰입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직의도는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몰입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몰입 모두 이직의도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의사결정 참여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근무여건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변량 분산분석은 언제 실시하는 것인가?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가 연령, 학력, 재직기간 및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4원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은 복수의 종속변수를 동시에 비교하는 경우에 종속변수 간의 상관을 자료분석에 반영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변별하는 종속변수를 확인하는 경우에 실시한다(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3>과 같이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주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4), 597-609. 

  2. 고태순, 김종석 (2010).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5,19-35. 

  3. 민하영 (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정서노동과 조직몰입 : 집합주의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5), 17-30. 

  4. 박상희, 문수경, 이무영 (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65-84. 

  5. 보건복지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 

  6. 보건복지부 (2012). 2011년 보육통계. 

  7. 배병렬 (2007). Amos 7 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 도서출판 청람. 

  8. 서은희, 이미숙 (200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3), 155-170. 

  9. 서영숙, 김재환 (2004). 유치원.어린이집 유형별 교직문화 특성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2),297-318. 

  10. 서지영, 서영숙 (2002). 유치원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29-250. 

  11. 손아랑 (2009).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소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 81-101. 

  12. 송미선 (2005). 보육교사의 인적배경 및 보육시설의 특성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6(1), 143-159. 

  13. 송유진 (1993).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심숙영 (1999).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4(2), 159-171. 

  15. 안선정, 이현철, 임지영 (201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자녀갈등, 또래관계, 학교생활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77-91. 

  16. 양경수 (2012). 원장의 지도성유형이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21(3), 255-266. 

  17. 양연숙 (2012). 어린이집 전문성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241-256. 

  18. 오경숙, 조진희 (2011).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조직충성행동과 업무만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0(3), 505-519. 

  19. 오희경, 이진성 (2012). 민간어린이집 업무환경이 보육교직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조직효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2, 205-229. 

  20. 윤경준, 지경빈 (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정책적 시사점 : 서울형어린이집의 구조적 특성과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71-197. 

  21. 이광연 (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1, 53-72. 

  22. 이진화, 이승연 (2006).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적,심리적 요인,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1), 229-250. 

  23. 이진희, 김희진 (1999). 유치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 헌신성. 교육과학연구, 29, 197-214. 

  24. 조성연, 최미숙 (2009). 법인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조직몰입 차이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6, 169-186. 

  25. 최영식 (2010). 공공기관 직장보육시설 실내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8(3), 89-99. 

  26. 표갑수, 황영자 (2011). 중-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3. 

  27.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 학지사. 

  28. Allen, N. J., & Meyer, J. P. (1996).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 exa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9, 252-276. 

  29. Bedeian, A. G., Kemery, E. R., & Pizzolatto, A. B. (1991). Career commitment and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nd turnover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9, 331-343. 

  30. Blau, G. & Lunz, M. (1998). Testing the incremental effect of professional commitment on intent to leave one's profession beyond the effects of external, personal, and work-related variabl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2, 260-269. 

  31. Chan, W., Lau, S., Nie, Y., Lim, S., & Hogan, D. (2008). Organizational and personal predictors of teacher commitment: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 efficacy and identification with schoo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5, 597-630. 

  32. David, J. L. (1995). The who, what, and why of site-based management. Educational Leadership, 53, 4-9. 

  33. Firestone, W. A., & Rosenblum, S. (1988). Building commitment in urban high school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0(4), 285-299. 

  34. Freund, A. (2005).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mong welfare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29, 5-17. 

  35. Ghazvini, A. & Mullis, R. L. (2002). Center-based care for young children: Examining predictors of quality.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3, 112-125. 

  36. Griffin, G. A. (1995). Influences of shared decision making on school and classroom activity:Conversations with five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6, 29-45. 

  37. Howes, C., & Hamilton, C. E. (1993).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15-32. 

  38. Hendrix W.H., Robbins T., Miller J. & Summers T.P. (199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factors predictive of turnover.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3, 611-632. 

  39. Hoy, W. K., Tarter, C. J., & Bliss, J. R. (1990). Organizational climate, school health, and effectiveness: A comparative analysi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26(3), 260-279. 

  40. Jorde-Bloom, P.(1988). Factors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 107-122. 

  41. Jorde-Bloom, P. (1989a).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National-Louis University. 

  42. Jorde-Bloom, P. (1989b). Professional orientati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s. Child and Youth Care Quarterly, 8, 227-240. 

  43. Louis, K. S., & Smith, B. (1991). Restructuring, teacher engagement and school culture:Perspectives on school reform and the improvement of teacher's work.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2(1), 34-52. 

  44. Mobley, W., Griffeth, R., Hand, H., & Meglino, R. (1979).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of the employee turnover process. Psychological Bulletin, 86, 493-522. 

  45. Mowday, R., Steers, R., & Porter, L.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24-247. 

  46. Phillips, D., McCartney, K., & Starr, S. (1987). Child care quality and children' social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3, 537-543. 

  47. San Antonio, D. M., & Gamage, D. T. (2007). PSALM for empowering educational stakeholders: Participatory school administration, leadership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21(3), 254-265. 

  48. Somech, A. (2002). Explicating the complexity of participative management: An investigation of multiple dimension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8, 341-371. 

  49. Somech, A. (2010).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in schools: A mediating-moderating analy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chool and teacher outcome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6(2), 174-209. 

  50. Somech, A., & Bogler, R. (2002).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acher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8(4), 555-577. 

  51. Tepper, B. J., & Taylor, E. C. (2003). Relationships among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1), 97-105. 

  52. Whitebook, M., Howes, C., & Phillips, D. A. (1990). Who cares: Child 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care in America. The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Study. Oakland, CA: Child Care Employee Proje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