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How It Affects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3, 2019년, pp.1 - 19  

박보경 (경민대학교 아동보육과) ,  박미자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A total of 450 child care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based on three research variable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종합하면,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자아존중감 및 영유아와 상호작용 간의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치는 간접적 영향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와 연구모형(그림 1)은 다음과 같다.
  • , 2000)에서 밝혀진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관계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본 연구는 그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보육교사에게 주요한 내적 특성 중 하나인 자아존중감이 설명해줄 수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 먼저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예비 분석을 위해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자아존중감 및 영유아와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을 위해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자아존중감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하지만 영아의 경우 아직 언어발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긴밀한 의사소통이 더 강조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유아 뿐만 아니라 영아도 연구대상에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은 대개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활발하거나 협력적인 의사소통에 관심을 두고 있으나, 보육교사와 유사교사에 대한 질적 연구들에서는 교사가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어(김보들맘, 신혜영, 2000; 박향아, 제경숙, 2003) 본 연구는 학부모와 의사소통 시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어려움에 초점을 두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넷째, 본 연구는 전반적인 수준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특정 영유아의 학부모와 경험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특정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해 알아보았다.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은 영유아에게 가장 중요한 사회적 맥락이 되는 가정과 어린이집 간의 연속성이나 일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 및 적응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들은 국외의 연구들(Pirchio, Tritrini, Passiatore, & Taeschner, 2013; Powell, Son, File, & San Juan, 2010)과 같이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관계가 학업적 능력이나 사회적 능력, 문제행동 등 영유아의 발달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관계가 보육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으나, 본 연구는 유아 뿐만 아니라 영아 또한 포함하고자 하였으며 이에서 더 나아가 양자 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기제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자아존중감 및 영유아와 상호작용 간의 각각의 관련성을 근거로,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리라 짐작해볼 수 있다.
  • 둘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설계를 통해 조사되어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자아존중감 및 영유아와 상호작용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에는 종단적 연구설계를 통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이 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보다 확장하기 위해 유아 뿐만 아니라 영아도 연구대상에 포함시켜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루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영아반과 유아반에서 일어나는 보육교사, 학부모 그리고 영유아 간의 역동이 부각되지 않았을 여지가 있다.
  • 최해주와 문수백(2013)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관계가 보육교사와 영유아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 선행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기존의 연구들(강미숙 등, 2018; 고경미, 이선경, 2017; 김영희, 박지현, 2014; 박장희, 노성향, 2018; Owen et al., 2000)에서 밝혀진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관계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본 연구는 그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보육교사에게 주요한 내적 특성 중 하나인 자아존중감이 설명해줄 수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 이와 같은 선행 연구들에 근거할 때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은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선행 요인이 될 것으로 사료되나, 선행 연구들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보육교사는 자기자신 뿐만 아니라 영유아도 존중하고 가치있게 여기며 영유아에게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어 영유아와 질높은 상호작용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자아존중감 및 영유아와 상호작용 간의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치는 간접적 영향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 선행 연구들은 주로 유아를 중심으로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영아의 경우 아직 언어발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긴밀한 의사소통이 더 강조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유아 뿐만 아니라 영아도 연구대상에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은 대개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활발하거나 협력적인 의사소통에 관심을 두고 있으나, 보육교사와 유사교사에 대한 질적 연구들에서는 교사가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어(김보들맘, 신혜영, 2000; 박향아, 제경숙, 2003) 본 연구는 학부모와 의사소통 시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어려움에 초점을 두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의 경우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경우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한다. 몇몇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는 두 변인, 즉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자아존중감 간에도 서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와 질높은 상호작용을 위해 요구되는 보육교사의 태도는 무엇인가? 보육교사는 영유아 보육의 질적 측면과 관련하여 가장 중점이 되는 요소이기도 하다. 질높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보육교사는 영유아에게 온정적이고 열정적이며 발달에 적합하게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해야 하는 한편, 영유아에게 적대, 위협, 비판 등과 같이 처벌적으로 행동하지 않아야 하고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허용하지 않도록 하며 영유아에게 개입 또는 상호작용하지 않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Arnett, 1989). 또한, Hamre 등(2013)은 보육교사가 영유아와 상호작용할 때 긍정적 정서를 표현하고 영유아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서적 지지(emotional support), 영유아의 사고와 이해, 언어 등을 촉진시키고 강화하는 교육적 지지(instructional support), 영유아의 참여를 격려하거나 영유아가 학습할 기회를 충분히 갖도록 돕고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며 교정하는 교실 조직(classroom organization) 등이 요구됨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모두 확인하였으며, 영유아에게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고자 보육교사가 학부모와 큰 어려움 없이 활발하게 의사소통하고 높은 자아존중감을 지니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하위요인들을 비교해본 결과, 본 연구의 경우 교사 자신과 관련된 어려움(M = 1.88, SD = .42) 또는 유아교육기관과 관련된 어려움(M = 1.74, SD = .47)에 비해 학부모의 부적절한 태도나 학부모의 영유아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학부모와 관련된 어려움(M = 1.97, SD = .60)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부성숙, 박정하, 2016; 정계숙, 2011)에서도 일관된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에 기초할 때, 보육교사와 학부모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는 것과 더불어 학부모가 자신의 자녀를 보호하고 교육하는 보육교사에 대해 존중하는 태도를 갖추고 동반자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과 사회의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아존중감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의미하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기자신을 존중하고 가치있게 여긴다(Rosenberg, 1965).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개인적 또는 사회적 적응을 위해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자아존중감이 높은 보육교사는 직무만족도를 더 높게 인식하고(조성연, 2005) 직무스트레스를 덜 지각하며(권연희, 2010) 공감 기술을 더 많이 보이고(Ceylan, Biçakçi, Gürsoy, & Aral, 2009) 높은 교사효능감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변은경, 장경오,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강미숙, 송승민, 박남심, 이승은 (201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부모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5), 1-17. doi:10.14698/jkcce.2018.14.05.001 

  2. 고경미, 이선경 (201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397-414. doi:10.22251/jlcci.2017.17.13.397 

  3. 권연희 (2010).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직풍토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437-455. 

  4. 권영애, 이순복 (2017).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2), 115-129. doi:10.17643/KJCE.2017.26.2.06 

  5. 길경숙, 노수남 (2004). 유아 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11), 123-136. 

  6. 김보들맘, 신혜영(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6. 

  7. 김숙령 (2010).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97-215. 

  8. 김영실, 정영실 (2016).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1), 133-152. doi:10.18023/kjece.2016.36.1.006 

  9. 김영희, 박지현 (2014).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모-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135-152. doi:10.18023/kjece.2014.34.3.007 

  10. 김용숙, 전연주, 박지영 (2013).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수행 의 어려움 인식 간의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3), 1100-1108. doi:10.5762/KAIS.2013.14.3.1100 

  11. 김지연, 최미경 (2018). 보육교사 소진이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3), 127-139. doi:10.5723/kjcs.2018.39.3.127 

  12. 류민영 (201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문미숙 (2018).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민선우, 문혁준 (200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24(1), 5-27. 

  15. 박영숙, 송승민, 이사라 (2018).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 효과 검증. 생애학회지, 8(1), 1-16. doi:10.30528/jolss.2018.8.1.001 

  16. 박장희, 노성향 (2018). 가정-보육기관 소통과 유아 또래놀이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보육기관에 대한 유아 호감의 매개효과 검증.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219-238. 

  17. 박향아, 제경숙(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2(3), 67-80. 

  18. 백혜원(1993). 무용전공 여대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자기 신체평가.자기-존중심.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변은경, 장경오 (2015).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6), 3982-3990. doi:10.5762/KAIS.2015.16.6.3982 

  20. 부성숙, 박정하 (2016). 영유아교사의 듣기능력이 교사-부모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03-121. doi:10.14698/jkcce.2016.12.103 

  21. 서정은 (2016). 유아의 도전행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도전략과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영유아인권인식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성지현 (2012).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4), 229-253. doi:10.18023/kjece.2012.32.4.011 

  23. 손혜숙, 이지영(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2(6), 414-425. doi:10.24231/rici.2018.22.6.414 

  24. 손환희, 정계숙 (2011).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13-232. 

  25. 손희진, 성지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5(2), 191-209. doi:10.5723/KJCS.2014.35.2.191 

  26. 송근영 (2017). 보육과정 컨설팅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오경숙 (2018).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우수경 (2018). 영아교사의 학력, 경력, 민감성, 교수효능감 및 어린이집 기관풍토와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구조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553-572. doi:10.22251/jlcci.2018.18.24.553 

  29. 유지연, 황혜정 (2015).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1-23. doi:10.14698/jkcce.2015.11.3.001 

  30. 이경례, 문혁준 (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1-23. 

  31. 이윤화, 신나리 (2018). 보육교사의 놀이신념과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22(1), 7-19. 

  32. 이정미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영유아교육.보육연구, 10, 65-85. 

  33. 이정미, 이경옥 (2016).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모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정서노동의 매개효과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2), 213-237. 

  34. 이형민 (2018).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2), 168-179. doi:10.7466/JKHMA.2018.36.2.168 

  35. 이효영,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소통 능력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4), 41-57. 

  36. 임우영, 안선희 (2011).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23-350. 

  37. 장종윤, 송하나 (201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 13, 113-122. 

  38. 정계숙 (2011). 유아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지각 관련 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3), 143-164. 

  39. 정다워, 이숙 (2008). 보육교사 관련변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1), 31-52. 

  40.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아동학회지, 26(1), 359-373. 

  41. 조해연, 이기숙 (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5(3), 115-136. doi:10.15854/jes.2014.09.45.3.115 

  42. 최소영, 신혜영 (2015).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11-329. doi:10.14698/jkcce.2015.11.2.311 

  43. 최해주, 문수백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69-88. 

  44.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5. 홍지명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 인문사회 21, 6(3), 591-607. 

  46. 황종귀 (2017).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7-25. 

  47. Acar, I. H., Torquati, J. C., Encinger, A., & Colgrove, A. (2018). The role of child temperament on low-income preschool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teacher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27(1), e2045. doi:10.1002/icd.2045 

  48.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4), 541-552. doi:10.1016/0193-3973(89)90026-9 

  49.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0. Brown, E. L., Vesely, C. K., Mahatmya, D., & Visconti, K. J. (2018). Emotions matter: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labour on preschool teacher and children interaction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8(12), 1773-1787. doi:10.1080/03004430.2017.1286336 

  51. Ceylan, R., Bicakci, M. Y., Gursoy, F., & Aral, N. (2009).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 self-esteem and empathic skill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An International Journal, 37(5), 679-682. doi:10.2224/sbp.2009.37.5.679 

  52. Chung, L.-C., Marvin, C. A., & Churchill, S. L. (2005). Teacher factors associated with pre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Teaching efficacy an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25(2), 131-142. doi:10.1080/1090102050250206 

  53. Epstein, J. L. (1987). Toward a theory of family-school connections: Teacher practices and parent involvement. In K. Hurrelmann, F.-X. Kaufmann, & F. Losel (Eds.), Social intervention:Potential and constraints (pp. 121-136). New York: DeGruyter. 

  54. Fleming, J. S., & Watts W. A. (1980). The dimensionality of self-esteem: Some results for a college sam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5), 921-929. doi:10.1037/0022-3514.39.5.921 

  55. Galindo, C., & Sheldon, S. B. (2012). School and home connections and children's kindergarten achievement gains: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involve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1), 90-103. doi:10.1016/j.ecresq.2011.05.004 

  56. Hamre, B., Hatfield, B., Pianta, R., & Jamil, F. (2014).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5(3), 1257-1274. doi:10.1111/cdev.12184 

  57. Hamre, B. K., Pianta, R. C., Downer, J. T., DeCoster, J., Mashburn, A. J., Jones, S. M. et al. (2013). Teaching through interactions: Testing a developmental framework of teacher effectiveness in over 4,000 classroom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13(4), 461-487. doi:10.1086/669616 

  58. Huang, X., Liu, M., & Shiomi, K. (2007).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fficacy, teacher self-esteem and orientations to seeking help.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5(5), 707-716. doi:10.2224/sbp.2007.35.5.707 

  59. Khan, A., Fleva, E., & Qazi, T. (2015). Role of self-esteem and general self-efficacy in teachers' efficacy in primary schools. Psychology, 6(1), 117-125. doi:10.4236/psych.2015.61010 

  60.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61. Leyva, D., Weiland, C., Barata, M., Yoshikawa, H., Snow, C., Trevino, E. et al. (2015).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Chil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prekindergarten outcomes. Child Development, 86(3), 781-799. doi:10.1111/cdev.12342 

  62. Owen, M. T., Ware, A. M., & Barfoot, B. (2000).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413-428. doi:10.1016/S0885-2006(00)00073-9 

  63. Pirchio, S., Tritrini, C., Passiatore, Y., & Taeschner, T. (2013). The ro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educators for child behaviour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about Parents in Education, 7(2), 145-155. 

  64. Powell, D. R., Son, S.-H., File, N., & San Juan, R. R. (2010). Parent-school relationships and children's academic and social outcomes in public school pre-kindergarte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8(4), 269-292. doi:10.1016/j.jsp.2010.03.002 

  65. Roorda, D. L., Verschueren, K., Vancraeyveldt, C., Van Craeyevelt, S., & Colpin, H. (201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al adjustment: Transactional links for preschool boys at risk.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2(5), 495-510. doi:10.1016/j.jsp.2014.06.004 

  6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7. Zhang, X., & Nurmi, J.-E. (201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ocial competence: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of Chinese preschool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3(3), 125-135. doi:10.1016/j.appdev.2012.03.00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