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교육 참여자 경험을 통해 살펴본 아버지교육의 의미
The Meaning of Father's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Fat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5, 2013년, pp.461 - 488  

권혜진 (나사렛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들의 아버지교육 참여 경험을 탐색해 봄으로써 아버지교육의 참여 의미와 효과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아버지교육 참여 경험이 있고, 교육 참여에 적극적이며, 아동기와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자료는 연구참여자를 심층 면접하여 수집되었고 면접내용을 녹음한 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들의 내면에는 좋은 아버지가 되고 싶은 마음, 아버지 역할에 대한 고민이 자리하고 있었지만 수동적인 아버지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아버지들은 교육 참여가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자녀와의 관계, 배우자와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아버지들은 현실적 여건상 교육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여건을 마련해주고 아버지들의 상황에 맞고 현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아버지교육이 이루어지길 희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버지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s of fathers' experiences as they participated in educational programs for fathers. In-depth interviews with 3 fathers with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were implemented to examine their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educational progra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좋은 아버지가 되고 싶다는 마음을 보여주는 근거로 무엇이 있는가? 아버지들은 아버지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여건을 마련해주고 아버지들의 상황에 맞고 현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아버지교육이 이루어지길 희망하였다. 아버지들은 교육경험이 어떤 식으로든지 자녀양육과 가정에 도움이 되므로 많은 아버지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요구도 조사결과(김진희, 정회연, 2005; 송혜림 등, 2010; 홍길회, 황정해, 2006)를 살펴보면 아버지 교육 참여 경험은 높지 않으나 참여하려는 태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아버지들의 내면에는 “좋은 아버지”가 되고 싶은 열망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버지 역할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진 이유는? 아버지가 자녀의 건강한 성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많은 연구들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사회적으로도 아버지 역할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아버지에게는 가계부양자로서 도구적 역할이 요구되었으나, 이제는 여기에 더하여 자녀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정서적으로 지지해주는 표현적 역할에 대한 요구도 강해지고 있다.
현대의 아버지는 왜 전 세대의 아버지보다 자녀 양육에 신경 쓰지 못하는가? 아버지들은 아버지 역할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인지하면서도 실제로 새롭게 요구되는 아버지 역할을 실제적으로 어떻게 수행해야할지 모르거나 현실적인 여건 때문에 역할 수행에 어려움과 갈등을 겪고 있다. 현대의 아버지는 전세대의 아버지에 비해 아버지로서 자녀양육이나 교육에 과거보다 많은 참여를 요구받고 있는 동시에 여전히 전통적인 부양자 역할에 대한 책임과 기대 역시 강력하게 받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자녀양육에 참여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이숙현, 권영인, 2009). 아버지들은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부족하여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 적고 자녀의 교육이나 인성, 정서 적인 면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자신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아버지 상과 현실적인 자아상(전연우, 조희숙, 2013) 사이에 괴리를 경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기정, 이윤정(2010). 다문화가족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89-101. 

  2. 권기남(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저소득층 가정 아버지의 자녀양육 역할능력 향상을 위한 e-learning 기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아동교육, 21(1), 5-20. 

  3. 권혜진(2010). 영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버지 역할만족도와 역할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자녀와의 친밀감의 매개효과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0(4), 87-106. 

  4. 김낙흥(2011).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과 역할수행의 어려움, 사회적 지원에 대한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2), 79-98. 

  5. 김낙흥, 장소정(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4). 121-138. 

  6. 김영천(2008).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7. 김윤옥, 박성미, 박소영, 손미, 신경숙, 이은화, 정명화, 허승희, 황희숙(2009). 질적 연구 실천방법. 서울 : 교육과학사. 

  8. 김정원, 김유정(200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우리나라 아버지 관련 연구 경향 분석: 1980년대 이후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5), 25-38. 

  9. 김정환(2012). 한국 30대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진희, 정희연(2005). 아버지 역할 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2), 11-27. 

  11. 김혜영, 황정미, 선보영, 김동기(2008). 남성의 부성경험과 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 박영충(1985). 유아교육기관의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우희(2004). 아버지 교육이 가족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서은주(2012). 건강가정지원센터를 통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고찰. 부모교육연구, 9(2), 35-51. 

  15. 송혜림, 박정윤, 고선강, 권혜진, 진미정(2010). 가족친화환경 측면에서 본 남성의 아버지 역할 수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341-361. 

  16. 신용주(2009). 반응적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12(3), 47-72. 

  17. 이숙현, 권영인(2009).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1-28. 

  18. 이슬기, 전귀연, 김수경(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일-아버지 역할 갈등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5(1), 35-49. 

  19. 이영환(2001). 생산적인 아버지 노릇 및 양육방식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 한국과 미국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동학회지, 23(1), 139-151. 

  20. 전연우, 조희숙(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43-363. 

  21. 장석경, 이지현(2008).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73-89. 

  22. 장재홍, 김태성, 김현주, 이호준(2000). 부모교육프로그램 연구: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현황과 아버지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제언.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23. 정계숙, 고은경, 하은실(2012). 대상관계 접근의 반성적 부모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아버지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반성적 발화의 의미. 아동학회지, 33(6), 207-225. 

  24. 조형숙, 김지혜, 김태인(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1), 239-264. 

  25. 한영숙(2006).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아버지관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과학회지, 13(2), 189-212. 

  26. 홍길회, 황정해 (2006). 자녀양육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영유아기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동학회지, 27(3), 301-317. 

  27. 홍길회, 황정해 (2007). 아버지됨 향상을 위한 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11(2), 6-24. 

  28. 황정해(2006). 아버지됨의 경험이 남성의 성인기 발달에 미치는 의미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43-60. 

  29. Ashbourne, L. M., Daly, K. J., & Brown, J. L. (2011). Responsiveness in father-child relationships: The experience of fathers. Fathering, 9(1), 69-86. 

  30. Dollahite, D. C., Hawkins, A. J., & Brotherson, S. E. (1997). Fatherwork: a conceptual ethic of fathering as generative work. In Hawkins, A. J. & Dollahite, D.C.(Eds). Generatve fathering . Sage Publication. 

  31. Helfenbaum-Kun, E. D., & Oritz, C. (2007). Parent-training groups for fathers of Head Start Children: A pilot study of their feasibility and impact of child behavior and intra-familial relationships. Child & Family Behavior Therapy, 29(2), 47-64. 

  32. Ishii-Kuntz, M. (1994). Work and family life. Journal of Family Issues, 15, 490-506. 

  33. Jain, A, Belsky, J. & K. Crnic. (1996). Beyond fathering behaviors: Types of dad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4), 431-442. 

  34.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CA: Sage Publications. 

  35. McBride, B. A. (1991). Parental support programs and paternal stress: An exploratory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 137-149. 

  36.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37. Palkovitz, R. (1997). Reconstructing " involment" expanding conceptualizations of men's caring in contemporary families. In Hawkins, A. J. & Dollahite, D.C. (Eds). Generatve fathering . Sage Publication. 

  38. Perry, A. R., Harmon, D. K., & Leeper, J. (2012). Resident black fathers' involvem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married and unwed, co-habituating fathers. Journal of Family Issues, 33(6), 695-714. 

  39. Pruett K. D. (2000). Fatherneed : Why father care is as essential as mother care for your child. The free press. 

  40. Ringsmose, C. (2012). Social welfare and minding the achievement gap: A view from Denmark. Childhood Education, 88(3), 185-188. 

  41. Rogers, S. J., & White, L. K. (1998). Satisfaction with parenting : The role of marital happiness, family structure, and parents' gend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293-308. 

  42. Shawn, M., & Knudson-Martin, C. (2006). Father responsibility: Couple processes and the co-construction of fatherhood. Family Process, 45(1), 19-37. 

  43. Shwalb, D W., Nakazawa, J., Yamamoto, T., & Hyun, J.-H. (2010). Fathering in Japan, China, and Korea: Changing contexts, images, and roles. In M. E. Lamb(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5th ed., pp. 341-387). Hoboken, NJ: Wiley. 

  44. Snarey, J. (1993). How father care for the next generation: a four-decade study. Harvard University Press. 

  45. Taskin, N., & Erkan, S. (2009). The influence of father education programs on the levels of father involvement with children: an experimental study. Hacettepe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 37, 136-148. 

  46. Webster, L., Low, J., Siller, C., & Kisst Hackett, R. (2013). Understanding the contribution of a father's warmth on his child's social skills. Fathering, 11(1). 90-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