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6, 2013년, pp.107 - 127  

김효진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손승희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나종혜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만 3~4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및 음운론적 인식 능력의 차이와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에 소재한 어린이집 7곳에 다니고 있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만 3~4세 유아 9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손승희(2012)가 개발한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검사와 최나야(2007)의 음운론적 인식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 4세 유아가 만 3세 유아보다 환경인쇄물을 더 잘 읽었고 음절수세기, 음절삭제, 음소대치 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 3세 유아의 경우 환경인쇄물을 잘 읽을수록 음절수세기 점수가 높았으며, 만 4세 유아의 경우 환경 인쇄물을 잘 읽을수록 음절수세기, 음절삭제, 음소대치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reading abilities of environmental pri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by children's 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ading abilities of environmental pri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The subjects were 90 child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검사는 유아의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인쇄물 목록을 유아가 정확히 읽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2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환경인쇄물은 문화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역적 특성을 배제한 포괄적인 환경인쇄물 목록 선택을 위해 서울, 경기, 대전, 강원, 경상, 전라도 지역에 위치한 다양한 소득수준의 15개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237명을 대상으로 과자나 음료와 같은 아동범주, 식료품, 은행, 마트 이름과 같은 생활용품 및 지역사회 범주, 교통표지판과 같은 안내문 범주로 된 109개의 환경인쇄물 문항이 담긴 질문지를 배부한 후 자녀에게 친숙한 환경인쇄물을 선택하게 하고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온 40개의 환경인쇄물을 선택하였다.
  • 본 연구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글자를 읽지 못하는 유아를 선발하기 위해 최은영(2010)의 단어읽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단어 읽기 검사는 담임교사가 글자를 읽지 못하는 아동으로 1차 분류한 아동 1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본 검사를 통해 최종 90명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만 3,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및 음운론적 인식 능력의 차이와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에 대한 국내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와 유아의 음운론적 인식 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만 3,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및 음운론적 인식 능력의 차이와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에 대한 국내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와 유아의 음운론적 인식 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글자를 읽는다는 것은 철자의 이름을 아는것 뿐 아니라 인쇄물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까지 포함한다(Clay, 1975; Goodman, 1986). 본 연구대상 유아들은 비록 관례적인 글자 읽기는 불가능하지만, 환경인쇄물의 맥락적 단서, 즉 그림, 색깔, 모양 등을 근거로 환경인쇄물이 어떤 의미를 전달하는지 이해하였다. 즉, 철자의 이름은 알지 못하지만 인쇄물을 읽었다.
  • 또한, 학령기 이후 읽기와 관련된 중요한 변인인 음운론적 인식 능력과 유아기 효과 적인 문해 자료인 환경인쇄물 간의 관계에 대한 국외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간의 관계를 밝힌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및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아 언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Mason(1984)은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을 대상으로 9개월 동안 유아의 읽기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 유아의 읽기 발달 단계를 구분하였다. 첫째, 맥락 의존(context dependency) 단계이다. 이 시기의 유아는 자신이 관심 있는 간판이나 상표(logo)를 1개에서 10개 정도 읽을 수 있었는데, 자신이 알고 있는 맥락이 함께 있을 때만 글자를 읽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son(1984)에 따르면 유아의 읽기 발달 단계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Mason(1984)은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을 대상으로 9개월 동안 유아의 읽기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 유아의 읽기 발달 단계를 구분하였다. 첫째, 맥락 의존(context dependency) 단계이다. 이 시기의 유아는 자신이 관심 있는 간판이나 상표(logo)를 1개에서 10개 정도 읽을 수 있었는데, 자신이 알고 있는 맥락이 함께 있을 때만 글자를 읽을 수 있었다. 둘째, 시각적 인식(visual recognition) 단계이다. 유아가 철자이름, 단어 읽기, 철자-발음 지식 등에 관심을 보이는 시기로 맥락이 없어도 몇 개의 시각 단어를 읽을 수 있었다. 셋째, 철자-발음 분석 (letter-sound analysis) 단계이다. 이 시기의 유아는 맞춤법대로 글자를 잘 읽고 보다 복잡한 단어도 읽을 수 있다.
연령에 따른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및 음운론적 인식 능력의 차이와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음운론적 인식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는 손승희(2012)가 개발한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 검사와 최나야(2007)의 음운론적 인식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 4세 유아가 만 3세 유아보다 환경인쇄물을 더 잘 읽었고 음절수세기, 음절삭제, 음소대치 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 3세 유아의 경우 환경인쇄물을 잘 읽을수록 음절수세기 점수가 높았으며, 만 4세 유아의 경우 환경 인쇄물을 잘 읽을수록 음절수세기, 음절삭제, 음소대치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Ehri(1998)의 단어읽기 모델에 따르면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인가? 유아의 읽기는 여러 단계를 거쳐 발달하게 된다. Ehri(1998)의 단어읽기 모델을 살펴보면, 첫 번째 단계는 철자 이전 시기(pre-alphabetic)로 상징표시(logographic) 읽기라고도 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철자-발음에 대한 지식이 없고, 그림, 색깔, 모양과 같은 인쇄물의 시각적 단서에 의지하여 글자를 읽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권오식, 윤혜경(1996). 4, 5세 아동의 읽기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가족복지연구, 1-26. 

  2. 김길순(2008). 음운인식 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음운인식 및 단어재인과 철자쓰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정(2007). 학령 전 아동의 읽기 수준에 따른 음운인식 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은지(2012). 유아의 연령 및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어휘력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현자, 조증열(2001). 학령 전 아동에서 음운인식, 시각지각 및 한글 읽기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2), 15-28. 

  6. 박향아(2000). 아동의 음운 인식 발달. 아동학회지, 25(1). 35-44. 

  7. 손승희(2012).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능력: 검사의 개발 및 유아의 연령과 부모 문해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우남희, 김유미, 신은수(2009). 조기교육/사교육. 아동학회지, 30(6), 249-265. 

  9. 윤혜경(1997). 아동의 한글읽기발달에 관한 연구: 자소-음소대응규칙의 터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이신희, 김명순, 손승희(2013).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능력과 어휘력 및 인쇄물 개념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4(3). 75-92. 

  11. 이차숙(1999).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 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7(1), 389-406. 

  12. 이차숙, 김주아, 남효선(2008).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 읽기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8(5). 5-27. 

  13. 천화영, 황혜 (2013).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5-49. 

  14. 최나야(2007). 자모 지식, 음운론적 인식 및 처리 능력이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최은영(2010). 초기 문해 기술이 유아의 단어읽기와 단어쓰기에 미치는 영향 : 연령 및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홍성인(2002). 한국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Ball, E. W., & Blachman, B. S. (1991). Does phonemic awareness training in Kindergarten makea difference in early word recognition and development spell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26, 49-66. 

  18. Blachman, B. A. (1984). Relationship of rapid naming ability and language analysis skills to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reading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610-622. 

  19. Berry, R. S. (2000). Children's environmental print: reliability, validity, and relationship to early rea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USA. 

  20. Catts, H.W., & Kamhi, A.G., & Adlof, S.M. (2012). Defining reading disabilities and classifying subgroups of poor readers. In A.G. Kamhi & H.W. Catts (Eds.),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Third Edition (pp.45-76). Boston: Allyn & Bacon. 

  21. Clay, M. (1975). What did I write?. Portsmouth, NY: Heinemann Educational Books. 

  22. Cronin, V., Farrell, D., & Delaney, M. (1999). Environmental print and word reading.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2(3), 271-282. 

  23. Ehri, L. (1998). Grapheme-phoneme knowledge is essential for learning to read word in English. In J. I. Metsala & L. C. Ehri (Eds.), Word recognition in beginning literacy (pp. 3-3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Goodman, Y. (1986). Children coming to know literacy. In W. H. Teale & E. Sulzby, Emergentliteracy (pp.1-14). Norwood, NJ: Ablex. 

  25. Hakes, D. (1982). The Development of metalinguistic abilities: What develop? In. S. Kuczaj (Eds.), Language, Cognition, and Culture (pp. 163-210). Hillsid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Hall, N. (1987). The emergence of literacy. Postsmouth, NH: Heinemann. 

  27. Kirkland, L., Aldridge, J., & Kuby, P. (1991). Environmental print and the kindergarten classroom.Reading Improvement, 28, 219-222. 

  28. Kuby, P., & Aldridge, J. (1994). The impact of environmental print instruction on early readingability.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31(2), 106-114. 

  29. Mann, V, A., & Liberman, I. Y. (1984). Phonological awareness and verbal short-term memory.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9, 259-270. 

  30. Mason, J. (1984). Early reading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P. D. Pearson, (Ed),Handbook of reading research (pp. 346-405). NY: Longman. 

  31. Miller, L. (1998). Literacy interactions through environmental print. In. R. Campell(Eds.),Facilitating preschool literacy (pp. 100-118).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Association. 

  32. McGee, L. M., & Richgels, D. J. (2000). Literacy's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andwriters, Third Edition. Needham, MA: Allyn and Bacon. 

  33. Neuman, S. B., & Roskos, K. (1993). Access to print for children of poverty: Differential effectsof adult mediation and literacy enriched play settings on environmental print andfunctional print task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0, 95-122. 

  34. Prior, J. (2003). Environmental Print: Meaningful connections for learning to read. Unpublished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izona State, Tempe, USA. 

  35. Prior, J., & Gerard, M. (2004). Environmental Print Classroom: Meaningful Connections for Learning to read.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36. Purcell-Gates, V. (1996). Stories, coupons, and the TV Guide: Relationships between homeliteracy experiences and emergent literacy knowledge. Reading Research Quarterly, 31,406-428. 

  37. Swank, L. K., & Catts, H W. (1994). Phonological Awareness and Written Word Decoding.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25, 9-14. 

  38. Vukelich. C. (1994). Effect of play interventions on young children's reading of environmental pri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9, 153-170. 

  39. Whitehurst, G., & Lonigan, C. J. (1998). Child development and emergent literacy. Child Development, 69, 848-8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