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 3~5세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and Print Concepts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Terms of Literacy Development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6, 2011년, pp.95 - 106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혜진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the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and the concepts of print matter. The subjects consisted of 276 children aged 3 to 5 enrolled in 93 classrooms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 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교실 문해환경의 평정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많은 교육 기관을 관찰하였고 제 3자에 의한 관찰로 자료의 객관성을 높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만 3세반을 포함하여 각 연령별로 다양한 연령대의 교실 문해환경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교실 문해환경과 유아의 언어 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만 3∼5세를 대상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실 문해환경 및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을 살펴보고,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 및 인쇄물 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 유아를 위한 교실 문해환경을, 교실 언어 및 문해환경 평가척도(ELLCO) Pre-K를 사용하여 제 삼자가 교실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알아보고,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교실 문해환경의 평정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많은 교육 기관을 관찰하였고 제 3자에 의한 관찰로 자료의 객관성을 높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만 3세반을 포함하여 각 연령별로 다양한 연령대의 교실 문해환경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교실 문해환경과 유아의 언어 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ulzby와 Barnhart(1992)는 풍부한 교실 문해환경을 무엇이라고 정의하였는가? Sulzby와 Barnhart(1992)는 풍부한 교실 문해환경을 유아 스스로 문해 자료에 접근하는 것이용이하며 문해 자료 및 관련 활동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여 읽기와 쓰기가 교실의 활동과 통합되어 있는 형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McGee과 Richgels(2000)에 의하면 문해가풍부한 교실은 양질의 문해 자료를 구비하고 읽 기와 쓰기 영역을 배치하며, 통합적인 언어 영역 을 운영하고, 매일 일과 중에 책을 읽어주는 특징이 있다고 하였다.
인간과 동물이 구별될 수 있는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무엇인가? 인간에게 있어 문자 사용 능력은 동물과 구별될 수 있는 가장 큰 차이점 중의 하나이다. 인간의 사회가 점차 지식정보사회로 발전할수록, 문자 사용은 지식 저장과 정보 확산의 기능적 측면에서 더욱 더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될 것이다.
만 3∼5세를 대상으로 어린이집과유치원의 교실 문해환경 및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을 살펴보고, 교실 문해 환경이 유아의 어휘력 및 인쇄물 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와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교실 문해환경을 연령별로 살펴본 결과,만 4세반과 만 5세반의 교실 문해환경이 만 3세반보다 더 바람직하게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에 따라 교실 문해환경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김정화와 이문정(2007)의결과와는 상반된 결과이나, 연령에 따라 교실의읽기․쓰기 환경의 차이를 밝히고 문해환경의차이를 밝힌 김영애(1999)의 결과와는 일치한다.김길숙과 김명순(2010)의 연구에서는 만 5세 교실이 만 4세 교실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본 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과거보다 문해 학습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가 증가되고 연령이 하향화 되면서 만 4세반 교실을 운영하는 교사가 유아의 읽기, 쓰기와 관련된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한 결과로 해석된다. 그러나, 만 3세반의 경우에 는 아직 문해 학습에 대한 요구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아서 언어 및 문해 환경을 풍부하게 마련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유아 의 읽기․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조희수(2002)의 연구에서도 교사들이읽기 교육의 적절한 시기를 만 4세부터, 쓰기 교 육의 시작 시기를 만 5세부터 해야 한다고 인식 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은 관례적인읽기와 쓰기만을 문해 교육으로 인식함으로써좀 더 어린 연령의 학급에서 출현하고 있는 문해행동을 격려하고 문해 환경을 촉진하는 데 걸림 돌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또 한 이영자와 이정욱(1998)이 연령의 증가에 따라 문해 활동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보고한 것처럼, 높은 연령 학급의 풍부한 문해 활동이 문해 환경의 질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볼 수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보았던 출현적 문해(emergent literacy)의 관점에서 볼 때 유아의 문해 발달은 유아기의 한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탄생과 더물어 비형식적으로 접해 왔던 문해환경에 의해 계속 누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수 있다. 더구나 유아의 기관 입학 시기가 점점 저연령화되면서 기관내 교실 문해환경의 영향력 도 점차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만 3세보다 만 4세나 5세에 더욱치중하여 문해환경 구성을 하고 있음을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는데 이제는 보다 어린연령까지 기초적 문해 발달에 관심을 기울이고교실 문해환경을 구성해 주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예컨대, 만 3세반의 경우 모든 문항에서 만4, 5세반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 과정과 인쇄물과 쓰기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나타났다. 이는 만 3세반의 문해환경 구성에 있어 만 3세 유아도 스스로 활동을 선택하고 자발적으로 시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쓰기 도구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만 3세 유아의 초보적 쓰 기 활동을 격려하고 전시해 주며 모델링하는 등 의 노력이 필요하며 주제와 관련하여 환경 인쇄 물을 게시하고 놀이에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 결과에서 교실의 문해환경은 연 령에 따라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 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연령에 따라 교실 문해환 경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아의 어휘력은 ‘교실의 구조’가 적절하고, ‘교육과정’이 통합적으로 구성되어져 있으 며, ‘언어 환경’이 풍부하고 ‘책과 책읽기’ 활동이 활발하고 ‘인쇄물과 쓰기’가 풍부할수록 유아의 어휘력이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교실 문해환경 수준이 높은 집단의 유아가 낮은 집단의 유아보다 어휘력의 점수가 더 높았 다고 보고한 배성연(2007)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교실 문해환경 점수가 높게 나타났던 만 4세반과 만 5세반에서 교실 문해환경과 어휘 력 간의 상관이 더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의 학급에서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다른 나라의 경우, 교실 문해 환경에 대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교실의 문해환경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밝히고 있다(Dickinson &Caswell, 2007; McNerncy, Nielson, & Clay, 2006).앞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교실 문해환경의 중요성 및 개념에 대한 교사 교육이나 환경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둘째, 유아의 어휘력을 살펴보면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5세반 유아가 만 4세반보다, 만 4세반 유아가 만 3세반보다 더 높은 수 준을 보였다.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어휘력이 높아진다는 선행 연구(신혜영․김명순, 2008; 이나리, 2009; 채은화, 2007; Lee & Kim, 2005)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한편, 유아의 어휘력에 있어 여아가 남아보다약간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성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숙임(2006)과 Lee와 Kim(2006)의 연구 결과와 일치 한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표현어휘와 수용어휘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다고 한 Fenson(1994)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성에 따른 선행 연구의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으며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유아의 인쇄물 개념 또한 연령별로 차이가 있 었다. 즉, 만 5세반 유아가 만 4세반보다, 만 4세반 유아가 만 3세반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인쇄물 개념이 높아지며 연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신혜영과 김명순(2008), 김선희와 김명순(2004)의 연 구 결과와 일치한다. Beach와 Robinson(1992)은성과 학년에 따라 인쇄물 개념이 변화한다고 하였으며 3∼7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Lomax와 McGee(1987)는 연령에 따라 인쇄물 개념 중 사용하는 지식이 다르다고 보고하였다. 유아의 인쇄물 개념에 있어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조희숙과 이원영(1999)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반면 인쇄물 개념 에 있어 성별의 차이를 유의하게 보고한 정지연 (2005), Day와 Day(1991)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또한 Beach와 Robinson(1992)은 성별의 차이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고 보 고하였다. 이와 같이, 성에 따른 선행 연구의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으며 종단적인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급 연령별로 유아의 어휘력과 교실의 문해환경의 관계를 살펴본 바, 만 5세반 유아의 어휘력은 교실 문해환경 총점과, ‘교실의 조직’,‘교육 과정’, ‘책과 책읽기’, ‘인쇄물과 쓰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만 4세반의 경우‘언어 환경’만이 유아의 어휘력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교실 문해환경 점수가 높게 나타났던 만 4세반과 만 5세반에서 교실 문해환경과어휘력 간의 상관이 더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으 로 보아 이 시기의 학급에서 교실 문해환경이 유 아의 어휘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유 추해 볼 수 있다. 교실 문해환경 중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 인으로 만 4세반에서는 ‘언어 환경’이, 만 5세반 에서는 ‘책과 책읽기’, ‘인쇄물과 쓰기’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만 4세반에서는 유아와 함께 대화를 통한 토론이나 단어의 확장이 유아의 어휘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해석된다. 한편, 만 5세반에서는 ‘책과 책읽기’와 ‘인쇄물과 쓰기’가 유아의 어휘력을 설 명하는 변인이었다. 이는 유아들이 교실 내 다양하고 풍부한 책을 통하여 새로운 어휘를 확장하며 교실 내 환경 인쇄물을 통하여 유아의 어휘력을 자극하고 풍부해진 쓰기 활동이 어려운단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을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넷째, 학급 연령별로 유아의 인쇄물 개념과교실의 문해환경의 관계를 살펴본 바, 유아의인쇄물개념은 만 5세반에서 문해환경 총점과, ‘교실의 조직’, ‘교육 과정’, ‘책과 책읽기’, ‘인 쇄물과 쓰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교실 문해환경 수준이 높은 학급의 아동이낮은 학급의 아동보다 인쇄물 개념 점수가 높게나타난 신유정(200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고할 수 있다. 만 5세반의 경우 ‘책과 책읽기’가 유아의 인쇄 물 개념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추출되었 다. 이는 방해를 받지 않는 별도의 영역 뿐 아니 라, 교실 전반적인 영역을 통해 다양한 도서를쉽게 접근함으로써 유아들이 책에 대한 관심을가지고 책의 본문을 통해 인쇄물 개념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인쇄물 개념이 유아의 언어 능력과 상관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읽기 능력과 상관이 높았다고 보고한 김선희와 김명순(2004)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길숙?김명순(2010).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2), 119-133. 

  2. 김명순(1997). 교실 내 문해환경이 만 4-5세 유아의 책이야기 꾸미기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7(2), 77-95. 

  3. 김명순(1999). 4-5세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 문해환경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13, 120-131. 

  4. 김명순?김길숙?임양미?이유진(2008). 만 3-5세 유아를 위한 교실 내 언어 및 문해환경 평가 척도(ELLCO)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8(6), 27-45. 

  5. 김선희?김명순(2004). 한국 아동의 인쇄물 개념 습득과 언어능력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371-383. 

  6. 김영애(1999). 유치원 교실 내 문해환경에 관한 연구. 서강정보대학 논문집, 18, 1-12. 

  7. 김정화?이문정(2007). 유아교실의 문식성 환경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3), 101-113. 

  8. 박찬화?김길숙(2008). 유아를 위한 가정 문해환경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9), 87-97. 

  9. 배성연(2007). 어린이집의 교실 문해환경과 유아의 언어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신유정(2005). 가정의 소득수준과 교실 문해환경이 아동의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신혜영?김명순(2008).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8(4), 199-212. 

  12. 이나리(2009). 아버지의 문해발달태도와 가정문해활동과 유아의 어휘력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숙임(2006). 가정의 문해환경과 유아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영자?이정욱(1998). 유아교사가 적용하는 교수 행동유형의 경향 및 환경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6, 1-24. 

  15. 정지연(2005). 유아의 가정 문해환경과 인쇄물 개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조희수(2002).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조희숙?이원영(1999). 유아의 어휘력, 이야기 이해능력 및 인쇄물 인식 능력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논집, 9, 133-154. 

  18. 채은화(2007). 저소득 가정 만 3-5세 유아의 어휘력, 수용?표현 언어 및 인쇄물 개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한애향?안선희(2006). 유아교육기관의 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해능력 차이. 유아교육학논집, 10(4), 279-294. 

  20. Beach, S. A., & Robinson, R. J. (1992). Gender and grade level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concepts about print. Reading Psychology, 13(4), 309-328. 

  21. Chaney, C. (1992). Language development, metalinguistic skills and emergent literacy in three-yearold children. Applied Psycholinguistics, 13, 485-514. 

  22. Day, K. C., & Day, H. D. (1991). The concurrent validity of four tests of metalinguistic awareness. Reading Psychology, 12(1), 1-11. 

  23. Dickinson, D. K., & Caswell, L. (2007). Building support for language and early literacy in preschool classroom through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s of the literacy environment enrichment program (LEEP).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 243-260. 

  24. Fenson, L. (1994). Developmental trends for action and speech in pretend play. In I. Bretherton (Ed.), Symbolic play:The development of social understanding (pp. 249-269). New York:Academic. 

  25. Gibson, L. (1989). Literacy learning in the early years through children's eyes. New York, NY:Teachers college, Colombia University. 

  26. Heath, S. B. (1983). Ways with words:Language, life, and work in communities and classroom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27. Lee, K. Y., & Kim, M. S. (2006). Mother-child interactions in picture-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y among low-income. Journal of ARAHE, 13(1), 39-49. 

  28. Lomax, R. G., & McGee, L. M. (1987). Young children's concepts about print and reading:Toward a model of word reading acquisition. Reading Research Quarterly, 22(2), 237-256. 

  29. McGee, L. M., Richgel, D. J. (2000), 영유아의 문해 발달 및 교육. 김명순?신유림(공역). 서울: 학지사. 

  30. McNerney, S., Nielson, D. C., & Clay, P. (2006). Supporting literacy in preschool:Using a teacherobservation tool to guide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27(1), 19-34. 

  31. Morrow, L. M. (1990). Prepar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to promote literacy during d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 537-554. 

  32. Smith, M. W., & Dickinson, D. K. (2002). Early Language & Literacy Classroom Observation toolkit research edition. Baltmore, MD:Brookes. 

  33. Sulzby, E., & Banhart, J. (1992). The development of academic competence:All our children emerge as writers and readers. In J. Irwin & M. Doyle (Eds.), Reading/Writing connections:Learning from research (pp. 120-143).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