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유아 인성 발달 영향 요인 연구: 교사 정서적 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Exploring Predictors Affecting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Focusing on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2, 2015년, pp.59 - 85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오정순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일과 중에 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실행하는 정서적 지원 수준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선형모형을 사용하여 교사의 정서적 지원 및 유아 개인의 성과 월령, 교사의 학력과 경력, 그리고 학급의 교사 대 유아 비율 및 기관설립유형이 유아의 인성 특성인 자기통제, 주장성, 협력성 및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 646명과 이들의 담임교사 32명, 주양육자 555명으로, HLM 7.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가 보고한 유아의 자기통제, 주장성 및 협력성은 학급 간 차이가 있었으나, 부모가 보고한 자기통제, 주장성, 협력성 및 책임성은 학급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아보다 여아가, 월령이 높을수록 유아의 인성 특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정서적 지원뿐만 아니라 학력, 경력 및 교사 대 유아 비율과 기관설립유형은 학급 간 차이를 예측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학급 수준의 예측변인 투입 이후에도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인성 특성에서 여전히 학급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추후 연구에서는 인성 특성의 학급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추가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s in individual classrooms on children's social skills, including self-control, assertion,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that were related to their character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in a pur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 인성 교육의 방향 어떠해야 하는가?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유아기 인성 교육의 방향은 유아에게 적절한 행동과 가치를 직접 가르치는 것보다는 적절한 태도와 행동으로 유아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학습되도록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높은 민감성, 유아를 존중하는 태도에 근거한 상호작용, 긍정적 행동지도와 같은 교사의 적절한 언어적ㆍ비언어적 상호작용은 유아의 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는 안정감, 배려, 관심, 통찰력, 분별력 등을 인성 교육의 핵심이 되는 교사의 유능감이라고 제시한 Wilson(2002)의 주장과도 일치한다(오채선, 2005에서 재인용).
K-SSRS는 무엇인가? 유아의 인성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에서 지향하는 인성 덕목에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었다고 판단될 뿐 아니라, 우리나라 유아대상으로 타당화된 서미옥(2004)의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K-SSRS)’를 사용하였다. K-SSRS는 Gresham과 Elliot(1990)의 ‘Social Skill Rating System(SSRS)’의 한국형 척도로, 유아용, 초등학생용, 중등학생용의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서미옥(2004)이 타당화한 척도는 부모용과 교사용으로 각각 제작된 유아용 척도 중 ‘사회적 기술’ 차원에 해당한다.
인성 덕목에 대하여 실천적 수준에서 합의가 이루어진 것에 반해, 이에 대한 연구들은 적극적으로 수행되지 못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인성 덕목에 대하여 실천적 수준에서 합의가 이루어진 것에 반해, 이에 대한 연구들은 적극적으로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는 인성 발달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된 연구들이 인성 덕목과 관련한 변인을 측정하기 보다는 자아개념이나 또래수용도(박현진, 김숙자, 김현정, 장갑희, 2012; 홍순옥, 전수열, 2007)와 같이 인성 발달로 인해 증진될 것으로 예측되는 특성이나, 조망수용능력, 사회인지능력, 창의성과 같이 인성과 관련 있는 유능감(김영실, 김연화, 한세영, 2009; 김영옥, 장명림, 유희정, 2009; 서현, 박미자, 2012; 장영숙, 2008; 장영숙, 조정화, 2010; 조현정, 장영숙, 2010; 홍미경, 2008; 홍순옥, 전수열, 2007)을 다뤄왔기 때문이다. 반면 질서, 협력, 배려와 같은 인성 덕목이나, 자기통제와 같이 인성 특성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유능감(Berkowitz & Grych, 2000)을 탐색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유아기 인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인성 특성을 살펴보는 기초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강상진 (1995). 다층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과 활용 방법. 교육평가연구, 8(2), 63-94. 

  2. 계영애, 강정원 (2001).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인성적 덕목과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회지, 5(1), 55-75.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인성 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13a).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0.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13b).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김숙자, 김현정, 박인아, 박현진 (2012).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II.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337-358. 

  8. 김연하 (2007). 교사의 수업의질 예측 변인 연구: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및 수업의 질 보호 변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7(6), 213-237. 

  9. 김영실, 김연화, 한세영 (2009).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557-570. 

  10. 김영옥, 장명림, 유희정 (2009). 유아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297-324. 

  11. 김은설 (2013). 5세 누리과정 도입이 유치원-어린이집 운영에 미친 영향 (육아정책연구소 이슈페이퍼 2013-05).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2. 김은설, 유해미, 엄지원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3. 김은설, 최은영, 조아라 (201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영유아기 인성교육 강화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4. 김은영, 장혜진, 조혜주 (2013). 영유아 교사 복지 실태와 개선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5. 노영희, 김재철, 김호 (2007). HLM을 이용한 교사 창의성과 유아 창의성 간의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405-420. 

  16. 박경희 (2003). 유아의 자기통제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초기대상관계 유형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범실 (1987).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순천 (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찬옥 (2010). 유아교육에서 인성 개발 방안.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유아교육 선진화와 과학기술의 만남, pp581-588. 11월 6일 대전: 배재대학교 컨벤션홀. 

  20. 박현진, 김숙자, 김현정, 장갑희 (2012). 유아 인성 교육 교수학습안 현장 적용 및 효과 연구: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XI.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429-456. 

  21. 배윤진, 김현주 (2009). 너싱홈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27(2), 53-70. 

  22. 보건복지부.교육과학기술부 (2012. 7. 6).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완성.고시. 미출판 보도자료. 

  23.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012). 2012년 전국 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 보고.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4. 서미옥 (2004).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 (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23-242. 

  25. 서은주 (2008).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유아 다례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서현, 박미자 (2012). 협동에 기초한 인성 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더 나은 유악교육과정을 위한 과제와 전망, pp. 340-341. 3월 24일 서울: 덕성여자대학교. 

  27. 엄정애, 김혜진 (2005). 유치원 종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교육연구, 25(5), 75-100. 

  28. 오채선 (2005). 유치원 교실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도덕교육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237-265. 

  29. 우영효 (2005). 동화를 통한 유아인성 교육 방법 연구. 아동교육, 14(1), 37-48. 

  30. 유경숙 (2009).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적응과의 관계: 교사-유아관계, 또래관계 및 일과적응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8(4), 35-45. 

  31. 유정진 (2006).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아동학회지, 27(3), 169-187. 

  32. 이병림 (1987) 아동의 생활 능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이병석 (2009). 인지.정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유아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7, 249-270. 

  34. 이부연 (2009). 전도식기 아동의 인성 발달을 위한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점토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7(1), 173-190. 

  35.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 (1993). 유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13(1), 65-89. 

  36. 이은경 (2002).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에 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은진, 박세훈, 오주은, 양미하 (2012).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종교교육학연구, 38, 25-53. 

  38.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이혜원 (2005).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장명림 (2012). 누리과정 도입에 따른 유아 인성 교육의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이슈페이퍼 2012-05).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41. 장명림, 이미화, 백승선 (2012). 인성 교육 우수 유치원 및 어린이집 심사지표 개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42. 장영숙 (2008).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135-159. 

  43. 장영숙, 조정화 (2010).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16(2), 309-336. 

  44. 장영은, 박정윤, 이승미 (2012). 유아.초등교육 내에서의 인성 교육 활성화 인안에 대한 교사인식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87-99. 

  45. 조현정, 장영숙 (2010). 유아의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아동교육, 19(3), 251-263. 

  46. 지성애, 김희정, 김미숙, 이금숙, 조은정, 이수기, 홍현이 (2007). 어린이집 재원기간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관계성과 유아의 주도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9, 65-84. 

  47. 지성애, 정재은 (2011). 유아의 정서지능과 인지능력,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5(5), 335-358. 

  48. 최경희 (2006). 독서요법을 통한 아동의 인성지도 방안. 청람어문교육, 33, 105-138. 

  49. 최지현 (2000).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통제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하영례, 정효은 (2009). 기관변인에 따른 5세 유아의 문제행동. 한국영유아보육학, 57, 171-191. 

  51. 한유진 (2004).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 및 정서조절 능력과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42(3), 65-77. 

  52. 허해옥 (2002). 컴퓨터 주제 인성 교육 프로젝트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3. 홍미경 (2008).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1), 15-34. 

  54. 홍순옥, 전수열 (2007). 인성 교육 프로젝트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논총, 16(1), 19-41. 

  55. Berkowitz, M. W., & Grych, J. H. (2000).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1(1), 55-72. 

  56. Brophy-Herb, H., Lee, R. E., Nievar, M. A., & Stollak, G. (2007).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Relations to family characteristics, teacher behaviors and classroom climat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8(2), 134-148. 

  57. Bryk, A. S., & Raudenbush, S. W. (1992). Hierarchical linear models. Newbury Park, CA: Sage. 

  58. Burchinal, M., Vandergrift, N., Pianta, R., & Mashburn, A. (2010). Threshold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child care quality and child outcomes for low-income children in pre-kindergarten progra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5(2), 166-176. 

  59.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2010). 11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Washington DC: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60. Curby, T. W., LoCasale-Crouch, J., Konold, T. R., Pianta, R. C., Howes, C., Burchinal, M., Bryant, D., Clifford, R., Early, D., & Barbarin, O. (2009). The relations of observed pre-K classroom quality profiles to children's achievement and social competence.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20(2), 346-372. 

  61. Ford, M. E. (1982). Social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18(3), 323-340. 

  62. Gresham, F. M., & Ellio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63. Hart, D. (2005). The development of moral identity. In G. Carlo, & C. P. Edwards (Eds.),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Moral motivation through the lifespan (pp. 165-196).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64. Hart, D., Atkins, R., & Fegley, S. (2003). Personality and development in childhood: A person-centered approa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8 (Serial No. 272). 

  65. Howes, C. (1997). Children's experiences in center-based child care as a function of teacher background and adult : child ratio. Merrill-Palmer Quarterly, 43(3), 404-425. 

  66. Kaiser, B., & Rasminsky, J. S. (2012).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3rd ed.). Upper Saddle, NJ: Pearson Education Inc. 

  67. Kendal. D.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68. Kochanska, G. (2002). Committed compliance, moral self, and internalization: A mediational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38(3), 339-351. 

  69. Lapsley, D. K. & Narvaez, D. (2006). Character education. In A. Renninger & I. Siegel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pp. 248-296). New York: Wiley. 

  70. Lickona, T. (2006). 인격교육의 실제[Character matters: How to help our Children develop good judgment, integrity, and other essential virtues]. (유병열.서강식.김태훈.김항인 공역). 경기:양서원. (원전은 1998년에 출판). 

  71. Mashburn A. J., Pianta, R. C., Hamre, B. K., Downer, J. T., Barbarin, O. A., Bryant, D., Burchinal, M., Early, D. M., & Howes, C. (2008). Measures of classroom quality in prekindergarten and children's development of academic, language, and social skills. Child Development, 79(3), 732-749. 

  72. Morris-Rothschild, B. K., & Brassard, M. R. (2006).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styles: The role of attachment style and classroom management efficacy.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4(2), 105-121. 

  73.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3). Social functioning in first grade: Prediction from home, child care and concurrent school experience. Child Development, 74(6), 1639-1662. 

  74. Pianta, R. C., La Paro, K. M., & Hamre, B. K. (2008).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CLASS) manual: Pre-K. Baltimore, MD: Brookes Publishing Co. 

  75.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o school. In R. C. Pianta (Ed.), Beyond the parent: The role of other adults in children's lives (pp. 61-80). San Francisco, CA: Jossey-Bass. 

  76. Power, T. G., McGrath, M. P., Hughes, S. O., & Manire, S. H. (1994). Compliance and self-assertion: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mother versus fa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30(6), 980-989. 

  77. Silver, R. B., Measelle, J., Essex, M., & Armstrong, J. M. (2005).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Contributions of child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during the school transitio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3(1), 39-60. 

  78. Stormont, M., Lewis, T., & Smith, S. C. (2005). Behavior support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Teachers' importance and feasibility ratings.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7(3), 131-139. 

  79. Teachstone Training. (2011). Pre-K CLASS observational training: Participant guide. Charlottesville, VA: Teachstone. 

  80. Weinberg, M. K., Tronick, E. Z., Cohn, J. F., & Olson, K. L. (1999).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expressivity and self-regulation during in fancy. Developmental Psychology, 35(1), 175-188. 

  81. Zaslow, M., Anderson, R., Redd, Z., Wessel, J., Tarullo, L., & Burchinal, M. (2010). Quality dosage, thresholds, and featur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PRE 2011-5). Washington, DC: Office of Planning, Research and Evalu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