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재활 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a Harmonica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5 no.2, 2018년, pp.23 - 39  

김혁건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예술학과) ,  김민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예술학과) ,  임한밀 (경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정소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신욱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척수손상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한 하모니카 활용 프로그램이 호흡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행한 연구이다. 평균 연령 37세의 복식호흡이 불가능한 척수손상환자 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3개월 동안 1회 60분씩 총 10회의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호흡재활 전후 호흡량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움직임, 특히 목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환자 특성을 고려하여 길이가 짧은 10홀로 구성된 다이아토닉 하모니카를 사용하였고, 척수손상 정도에 따라 손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목걸이 거치대를 사용하였다. 또한 하모니카 연주를 위해 과거 음악경험과 상관없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초적인 악곡을 선정하였고, 음정을 내기 위해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긴 음정과 강한 호흡이 필요한 지점들을 훈련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호흡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흡 기능과 관련된 어지럼증과 가래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이 증가하고 우울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척수손상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경학적 손상 환자에 개입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계속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척수손상환자의 호흡 기능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using a wind instrument for patients suffering from spinal cord injuries. From January 15, 2018 to April 15, 2018, we conducted ten 1-hour sessions of a harmonica program with eight patients with spinal cord i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스로 복식호흡을 하는 데 제한이 있는 척수손상환자에게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호흡기능과 호흡과 관련된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훈련의 효과가 폐활량, 즉 호기량과 흡기량의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지, 호흡 기능과 관련된 주요 증상으로써의 가래나 기침 증상의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어지럼증과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은 척수손상으로 인한 합병증의 원인이 되고 호흡근 마비로 인한 합병증의 주요 원인 역시 기도 내 분비물의 부적절한 제거로, 이러한 요인은 척수손상 환자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참여 이후 대상자들이 해당 증상에서도 변화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침․가래․어지럼증 증상에 대한 질문은 연구자가 직접 구성하였으며, 리커트 10점 척도(10point scale)를 이용하여, 불편감과 해당 증상의 발생 빈도의 측면에서 개선이 있었는지 질문하였다.
  •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훈련의 효과가 폐활량, 즉 호기량과 흡기량의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지, 호흡 기능과 관련된 주요 증상으로써의 가래나 기침 증상의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재활훈련에 참여한 대상자가 일상생활에서 지각하는 삶의 질과 우울감에 있어서도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척수손상환자 중 호흡기능의 장애가 있는 횡격막이 마비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기 위해 흉수, 요수손상 환자는 배제하고, ‘경수 손상’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해 하모니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에 따른 호흡량과 관련된 증상, 심리적 지표에 있어서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 프로그램 참여 이후 호흡 기능과 관련된 변인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는 프로그램 참여 이후 참여대상자의 호흡량과 삶의 질 등 정서 관련 지표, 호흡 관련 증상에서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 측정도구의 측정치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에 참여에 따른 변화 정도가 대상자의 SCI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SCI 수준에 따라 두 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 변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스로 복식호흡을 하는 데 제한이 있는 척수손상환자에게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호흡기능과 호흡과 관련된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훈련의 효과가 폐활량, 즉 호기량과 흡기량의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지, 호흡 기능과 관련된 주요 증상으로써의 가래나 기침 증상의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재활훈련에 참여한 대상자가 일상생활에서 지각하는 삶의 질과 우울감에 있어서도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수손상환자의 하모니카 연주를 위해 어떤 곡을 선정하였는가? 본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움직임, 특히 목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환자 특성을 고려하여 길이가 짧은 10홀로 구성된 다이아토닉 하모니카를 사용하였고, 척수손상 정도에 따라 손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목걸이 거치대를 사용하였다. 또한 하모니카 연주를 위해 과거 음악경험과 상관없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초적인 악곡을 선정하였고, 음정을 내기 위해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긴 음정과 강한 호흡이 필요한 지점들을 훈련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호흡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흡 기능과 관련된 어지럼증과 가래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목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환자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하모니카는 무엇인가? 3개월 동안 1회 60분씩 총 10회의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호흡재활 전후 호흡량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움직임, 특히 목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환자 특성을 고려하여 길이가 짧은 10홀로 구성된 다이아토닉 하모니카를 사용하였고, 척수손상 정도에 따라 손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목걸이 거치대를 사용하였다. 또한 하모니카 연주를 위해 과거 음악경험과 상관없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초적인 악곡을 선정하였고, 음정을 내기 위해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긴 음정과 강한 호흡이 필요한 지점들을 훈련하였다.
척수손상환자의 호흡재활에 하모니카가 효과적인 이유는? 또한 하모니카 연주를 위해 과거 음악경험과 상관없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초적인 악곡을 선정하였고, 음정을 내기 위해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긴 음정과 강한 호흡이 필요한 지점들을 훈련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호흡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흡 기능과 관련된 어지럼증과 가래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이 증가하고 우울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척수손상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exander, J. L., & Wagner, C. L. (2012). Is harmonica playing are effective adjunct therapy to pulmonary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Nursing, 37(4), 207-212. 

  2. Berlowitz, D. J., & Tamplin, J. (2013). Respiratory muscle training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Issue7. CD008507 

  3. Burns, A. S., & Ditunno, J. F. (2001). Establishing prognosis and maximizing functional outcomes after spinal cord injury: A review of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in rehabilitation management, Spine, 26(24S), 137-145. 

  4. Cho, A.-R. (2010). The effect of the respiratory traini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on physical respiratory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ed patients(호흡훈련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경수 손상 환자의 호흡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5. Denton, M., & McKinlay, J. (2009). Cervical cord injury and critical care. Continuing Education in Anaesthesia, Critical Care & Pain, 9(3), 82-86. 

  6. Jones, P. W., Quirk, F. H., & Baveystock, C. M. (1991). 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Respiratory Medicine, 85, 25-31. 

  7. Kim, A. L. (1999). Quality of life model for spinal cord injured persons(척수손상인의 삶의 질 구조모형)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Kim, H. J. (2017). The level of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drum playing depending on co-presence of singing task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전자 드럼 연주 시 노래부르기 유무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 비교).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4(2), 71-90. 

  9. Kim, B.-S., Kim, J.-H., Park, S.-H., Seo, H.-S., Lee, H.-S., & Lee, M.-M. (2018). Effect of a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using wind instruments on cardiopulmonary function, endurance,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Medical Science Monitor, 24, 5271-5278. 

  10. Kim, T. Y., Park, S. A., & Lee, Y. S. (2017). The effect of wind-instrument centered music therapy on respiration, oral motor and articula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Case study-(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경수손상환자의 호흡, 구강운동 및 조음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1(1), 233-252. 

  11. Kirshblum, S. C., Burns, S. P., Biering-Sorensen, F., Donovan, W., Graves, D. E., Jha, A., ... Waring, W. (2011). International standards for neurological classification of spinal cord injury (Revised 2011). Journal of Spinal Cord Medicine, 34(6), 535-546. 

  12. Kwon, J.-W. (2013). The effect of the activity-based group exercise program on the wheelchair skills and body function in persons with chronic spinal cord injury(활동기반 집단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척수손상자의 휠체어 기술과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3. Lee, N.-H. (2012). Study on vocalization of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척수손상 장애인을 위한 발성법에 대한 연구)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Jeonnam. 

  14. Lim, H. A., Miller, K., & Fabian, C. (2011). The effects of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on endurance level, self-perceived fatigue level, and self-perceived exertion of inpatients in physical rehabilita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48(2), 124-148. 

  15.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16. Oh, D.-W. (2016). Strategy of respiratory exercise therapy i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Literature review(척수손상 환자에 대한 호흡운동치료 전략: 문헌 고찰). Korean Journal of Neuromuscular Rehabilitation, 6(1), 57-76. 

  17. Shin, S. C., Kim, M. K., Yun, K. S., Kim, J. H., Lee, M, S., Moon, S.J., . . . Yoo, K. J. (1991).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Its use in Korea -standardization and factor structure of CES-D-(한국에서의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사용 -표준화 및 요인구조에 대한 횡문화적 검토-).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0(4), 752-767. 

  18. Tamplin, J. (2014). Researching clinical practice and practicing clinical research in neuro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oday, 10(1), 36-37. 

  19. Tamplin, J., Baker, F. A., Grocke, D., Brazzale, D. J., Pretto, J. J., Ruehland, W. R., ...Berlowitz, D. J. (2013). Effect of singing on respiratory function, voice, and mood afterquadripleg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Rehabilitation, 94(3), 426-4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