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계산업 작업자의 안전성 구축을 위한 작업복 기능배색 연구 1: 상하의 명도 배색을 중심으로
The Functional Color Arrangements for Industrial Safety in Machinery Work Site 1: Focusing on Lightness Value from Top and Bottom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7 no.5, 2013년, pp.45 - 56  

박혜원 (창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s functional arrangements for colors of work clothes - concentrating on the arrangements of lightness - for safety protection of workers at the job sites in the mechanical industry. To conduct such study, blue color (5PB) is selected for the CAD simulations on six arrangeme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외 학술지를 통한 작업복과 색채 그리고 산업 안전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산업안전보건원과 노동부 자료를 조사하였다. 또한 색채이론에 관련된 문헌과 연구 자료를 통해 배색과 시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에 위치한 국가산업단지의 기계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작업복의 기능배색을 명도를 중심으로 연구 하는데 있다. 이러한 시도는 그동안 시각적 판단에 의존하였던 작업복 색채 시인성 연구와 달리, 명도 배색의 정량적인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산업현장의 안전성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는 구체적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산업현장 작업자의 안전성 구축을 위한 작업복 기능배색에 관한 연구로 기계산업 현장에서 작업복의 2색 명도 배색을 통하여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명도 배색의 정량적 범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 또한 색채이론에 관련된 문헌과 연구 자료를 통해 배색과 시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작업복 기능배색의 필요성과 연구동향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현장의 근로자들이 착용하는 작업복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러나 산업현장의 근로자들이 착용하는 작업복은 패션의 색채와는 달리 미적인 요소는 제한적이고, 기능이 고려된 제한된 형태와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작업복의 특성은 단순하게 색채를 기능배색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작업복의 특성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작업복의 특성은 단순하게 색채를 기능배색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작업장의 환경과 조도를 고려한 작업복 색채는 작업자를 빨리 그리고 명확하게 시인시킬 수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색채는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적 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잘 활용 한다면 다양한 산업현장의 지원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출발이다.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1차 매개물은 무엇인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1차 매개물은 착용하는 작업복이다. 작업자를 서로 알아보는 시각적 인지 즉, 식별의 기능 (시인성, visibility) 확보는 작업복의 색채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H., Park, H., & Park, G. (2010). The analysis on the work environment and working clothes wearing conditions of shipyard pai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3), 518-528. 

  2. Carvalho, P., Santos, I., Gomes, J., Borges, M., & Guerlain, S. (2008). Human factors approach for evaluation and redesign of human-system interfaces of a nuclear power plant simulator. Displays, 29, 273-284. 

  3. Choi, J., Kim, S., & Lee, J. (2004).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wearing disposable coveralls of railroad rolling stock maintenanc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8), 1165-1174. 

  4. Faber, B. (2008). Color & human response (J. Kim, Trans.). Seoul: Sigong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5. Hong, K., Park, K., Kwon, H., Song, Y., Oh, S., & Jeung, Y. (1996). Functional design process of coveralls for the improvement of mo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2), 311-322. 

  6. Ishihara, K., & Ishihara, S. (2001). Age-related decline in color perception and difficulties with daily activities-measurement, questionnaire, optical and computer-graphics simulation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8, 153-163. 

  7. Kim, S. [Seongsuk], & Kim, H. (2008). The evaluation of functionality with material-improved working uniform of construction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10(2), 228-235. 

  8. Kim, S. [Sangho], & Park, K. (2004). A study on color associations of the Korean for color coding of process control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6(1), 187-199. 

  9. Larson, S., & Pousette, A., Torner, M. (2008). Psychological climate and safe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mediated influence on safety behavior. Safety Science, 46, 405-412. 

  10. Mahnke, F. (2002). Color, environmental and human response (S. Choi, & M. Lee, Trans.). Seoul: Gookje.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1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2011 Analysis on the industrial acciden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2. Moon & Spencer´s theory of color harmony. (2007). Retrieved June 4, 2013.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9819&cid1389&categoryId1389 

  13. Names of non-luminous object colours. (2010). Retrieved March 25, 2013. from http://www.standard.go.kr/CODE02/USER/0B/03/SerKS_View.asp# 

  14.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1). 2010 Investigation of the industrial accident. Incheo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15. Parker, C., Baltes, B., Young, S., Huff, J., Altmann, R.,...Roberts, J. (2003).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limate perceptions work outcomes: A meta analytic review. Jo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ur, 24, 389-416. 

  16. Park, G., Park, H., & Bae, H. (2012). The classification of manufcturing work processes to develop functional work clothes: With a reference to the automobile, machin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6), 21-35. 

  17. Park, G., Park, H., Bae, H., & Kim, J. (2011). The analysis on work clothes clothing comfort and wearer mobility of welding and grinding workers in the machin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2), 145-159. 

  18. Park, H. (2010a). Development and color evaluation of working clothes designd for integrated environment color planning in machinery industry sit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4(6), 53-69. 

  19. Park, H. (2010b). Case study color analysis of work clothes and industrial factories for coordinating environment planning: Focus on shipbuilding compan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3), 540-552. 

  20. Park, H. (2013). The color arrangement of working clothes for visibility in machine industrial work sit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3), 1-14. 

  21. Park, H., & Park, G. (2008a). The distribution condition and clothing construction factors of the working cloth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3), 116-135. 

  22. Park, H., & Park, G. (2008b). The actual wearing condition and preference of the working uniform design in the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2), 134-152. 

  23. Park, H., & Yang, J. (2012). Color arrangement evaluation on working clothes for safety and integrated environment harmony in machinery industry field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5), 207-219. 

  24. Roy, S. (2003). Principles of color technology (M. Cho, C. Kim, B. Kang, & D. Kim,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25. Werner, J., & Peterzell, D. (1990). Light, vision, and aging.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67(3), 214-229. 

  26. Yi, J., Kim, Y., Kim, K., & Koo, B. (2012). A suggested color scheme for reducing perseption-related accidents on construction work sit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8, 185-192. 

  27. Yoon, H. (2007). 색채심리 마케팅과 배색이론, [Color psychology marketing and color arrangement theory]. Seoul: Kukje. 

  28. Yoon, H. (2008). 색채지각론과 체계론, [Color perception theory and system theory]. Seoul: Kukje. 

  29. Yoon, Y. (2004). A study for human - error prevention of chemical plant safety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6(2), 1-9. 

  30. Zohar, D. (2008). Safety climate and beyond: a multi-level and multi-climate frame-work. Safety Science, 46, 376-3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