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의 분광반사 특성 구명
Investigation Into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Tree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2 no.4, 2013년, pp.499 - 505  

김소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남기준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송용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유항남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문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종열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승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재선충병(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과 같은 동아시아의 소나무류 산림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시킨다. 재선충병에 의한 병해는 그 치료방법이 훈증, 소각외에는 거의 없기 때문에 감염목을 조기 탐지하여 그 피해가 주변 임목 및 임분에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과 비감염목의 분광반사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감염목의 분광반사 특성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6월에서 10월까지 GER3700 spectroradiometer를 이용하여 감염목과 비감염목의 400 nm~2,500 nm 파장대의 분광반사값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의 noise를 보정하기 위하여 cubic spline 보간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감염목들은 재선충 주입 후 2개월 이내에 적색(600 nm~700 nm) 그리고 중적외선(1,400 nm~1,500 nm) 파장대에서 분광반사값의 변화를 보였으나, 비감염목들의 분광반사값은 어느 파장대에서도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기별로 감염목과 비감염목의 분광반사값 변화를 통계적으로 비교해 본 결과, 소나무재선충 주입 2달 후 적색 파장대역과 중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가장 빠르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따라서 적색과 중적외선 파장대역에서의 분광반사율 변화를 통해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의 조기 탐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wilt disease has known as a serious forest disease in East Asia such as Japan, Korea and China. Fumigation and burning are considered as best way to treat infected tree at early detection. For investigate spectral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infected trees, periodic measurement has been d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광반사율측정기(GER3700 spectroradiometer)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 그룹과 비감염목 그룹의 광합성과 관련이 있는 가시광선 파장대역 및 임목의 증산작용에 따른 수분함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중적외선 파장대역에서의 분광반사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시기별 그룹간의 분광반사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재선충병 감염목의 조기 탐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선충병 감염목을 조기 검출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 2011). 재선충병에 의한 병해는 일단 감염이 되면 그 치료방법이 소나무를 벌채하여 훈증, 파쇄 및 소각하는 방법 이외에는 거의 없기 때문에(Shin, 2008; Kim et al., 2011) 감염목을 조기 검출하여 그 피해가 주변 임목 및 임분에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책이라 할 수 있다(Kim and Kim, 2008).
재선충병이 한 그루만 감염되는 것이 아니라 소나무 임분 내에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유는? , 2011; Shin, 2011; Korea Forest Service, 2011). 재선충병 병해는 숙주인 솔수염하늘소의 출현지역 및 행동반경에 따라 발생하기 때문에 소나무 임목 한 그루만 감염되는 것이 아니고, 소나무 임분 내에서 다발적으로 병해가 발현된다. 하지만 산림이라는 지형적 특성상 관찰자의 접근 쉽지 않기 때문에 현장 조사에 의한 감염목을 검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Kim and Kim, 2008; Kim et al.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의 분광반사 특성은 비감염목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과 비감염목의 분광반사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감염목의 분광반사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감염목들은 재선충 주입 후 2개월 이내에 적색(600 nm~700 nm) 그리고 중적외선(1,400 nm~1,500 nm) 파장대역에서 분광반사값의 변화를 보였으나, 비감염목들의 분광반사값은 어느 파장대에서도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기별로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과 비감염목간 분광사율 변화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해본 결과,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grios, G. 2005. Plant Pathology, 5th ed., Elsevier Academic Press, Burlington, USA. pp. 922. 

  2. de Boor, C. 1978. A practical guide to splines. Springer-Verlag. New York, U.S.A. pp. 113-115. 

  3. Field Spectroscopy Facility, 2005. Field Guide for the GER3700. http://fsf.nerc.ac.uk/resources/guides/pdf_guides/3700_guide_v3_rocky.pdf 

  4. Fukuda, K. Hogetsu, T., and Suzuki, K. 1992. Photosynthesis and water status of pine-wood nematode-infected pine seedlings.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 Society 74: 1-8. 

  5. Ichihara, Y., Fukuda, K., and Suzuki, K. 2000. Early symptom development and histological change associated with migrat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seeding tissues of Pinus thunbergii. Plant Disease 84(6): 675-680. 

  6. Jensen, J.R. 2000.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al : An Earth Resource Perspective.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pp. 335. 

  7. Jeon, K.S., Kim, C.S. Park, N.C. Hur, T.C., and Hong, S.C. 2011. Effects on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Bursaphelenchus xylophilus) by thinning methods i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100(2): 165-171. 

  8. KFRI, 2006. Forest pest technical manual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p. 300. 

  9. Kim, D.S., Lee, S.M. Chung, Y.J. Choi, K.S. Moon, Y.S., and Park, C.G. 2003. Emergence ecolog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nmus alternatus (ColeopteraL Cerambycidae), a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42(2): 307-313. 

  10. Kim, E.N. and Kim, D.Y. 2008. An investigation of pine wilt damage by using ground remote sensing technique.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4(1): 84-92. 

  11. Kim, J.B. Jo, M.H. Kim, I.H., and Kim, Y.K. 2003.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Damaged Area by Pine Wood Nematode Using High Resolution IKONOS Satellite Images and GP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4): 362-366. 

  12. Kim, J.B., Jo, M.H. Oh, J.S. Lee, K.J. Park, S.J., and Um, H.H. 2001. Temporal and spatial correlation analysis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damage area. in proceeding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01 spring conference, pp. 49-52. 

  13. Kim, M.I., Lee, W.K. Kwon, T.H. Kwak, D.A. Kim, Y.S., and Lee, S.H. 2011. Early detecting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DI(Detection Index) from portable near unfrared camer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374-381. 

  14. Kim, Y.S., Jung, S.E. Lee, W.K. Kim, J.B., and Kwon, T.H. 2008. Analyzing vegetation index change of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portable near infrared camera. Journal of Korean society 97(6): 561-564. 

  15. Korea Forest Service. 2011. Pine wilt disease control stratefies. Daejeon, Korea, pp. 363. 

  16. Lee, H.Y., Koo, C.D. Sung, J.H. Shin, J.H., and Yoo, J.H. 2010. Changes in water potential of pine seedlings inoculated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Journal of Korean society 99(3): 337-343. 

  17. Mota, M.M., Braasch, H., Bravo, M.A., Penas, A.C., Burgermeister, W., Metge, K., and Sousa, E. 1999. First report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Portugal and in Europe. Nematology 1(7-8): 727-734. 

  18. Shin, S.C. 2008. Pine wilt disease in Korea. pp. 26-32. In : B.G. Zhao, K. Futai, J.R. Sutherland, Y. Takeuchi, ed. Pine wilt disease. Springer. Japan. 

  19. Shin, W.S. 2011. Screening of nematicidal activity using twig of pine tree against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Aphelenchoidida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angju, Korea. 

  20. Son, M.H., Lee, W.K. Lee, S.H. Cho, H.K., and Lee, J.H. 2006. Natural spread pattern of damaged area by pine wilt disease using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3): 240-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