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항균 활성 및 발효유 스타터 개발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development of a starter for fermented milk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5, 2013년, pp.712 - 719  

박종혁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문혜정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오전희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이주희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최경민 (진안홍삼연구소) ,  차정단 (진안홍삼연구소) ,  이태범 (고창복분자연구소) ,  이민정 (고창복분자연구소) ,  정후길 (임실치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입되는 발효유 starter를 대체하기 위해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이를 이용한 유산균주의 발효유 적합성 및 probiotics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전통발효식품 배추김치, 젓갈 및 장류에서 분리해 낸 유산균주는 11종이며, 이 중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L. plantarum A, Leu. lactis B 및 L. acidophilus C를 선택하여 항균활성 및 발효유제조 적용연구를 실시하였다. 3종의 균종에 대한 항균활성은 병원성 미생물인 Li. monocytogenes NCTC 11994에 대해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균활성이 있는 3종의 유산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한 결과 대조구인 ABT 5보다는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변화가 유의적으로 차이는 났으나 관능검사 결과 색, 향기, 조직감,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대조구 대비 80% 이상으로 단독 균주임을 감안하면 우수한 관능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추후 관능적 특성을 높이기 위한 복합균주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발효유 스타터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to develop a new starter for fermented milk.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16S rDNA sequencing and named Lactobacillus plantarum A, Leuconostoc lactis B an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산업적 활용은 미흡하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발효유의 대부분은 덴마크, 미국 및 일본에서 수입되는 상업적 starter를 주로 사용하고 있어 독자적인 발효유 스타터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입되는 발효유 starter를 대체하기 위해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이를 이용한 유산균주의 발효유 적합성 및 probiotics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여 향후 발효유의 starter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입되는 발효유 starter를 대체하기 위해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이를 이용한 유산균주의 발효유 적합성 및 probiotics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전통발효식품 배추김치, 젓갈 및 장류에서 분리해 낸 유산균주는 11종이며, 이 중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주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확인할 결과는 어떠한가? 분리된 유산균이 probiotics 및 발효유 starter가 되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위장관 상부의 산성 조건 및 담즙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생존되어야 장내에 부착되어 기능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27). 유산균주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확인한 결과(Table 2, 3) 내산성은 Leu. lactis가 9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L. acidophilus, Ped. acidilactici, L. plantarum, 및 Ent. faecium이 각각 96, 95, 94, 및 92%로 높게 나타났다. 내담즙성은 Weissella viridescens를 제외하고 모두 90% 이상의 내담즙성을 확인하였다(Table 3). Kang 등(28)은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분석한 결과 내담즙성은 높지만 내산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분리된 유산균주의 대부분은 내담즙성은 높지만 내산성이 우수한 유산균주로는 김치에서 분리한 L.
Probiotics란 무엇인가? Probiotics는 generally recognized as safe(GRAS)로 안전한 미생물이며, 대부분 사람의 장으로부터 유래되며,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짐으로써 위장관에서 살아남아 숙주의 장내에 정착하여 숙주에게 건강적 효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4). Probiotics의 효능으로는 항생제 관련 설사, 병원성 균에 의한 장의 감염, 과민성 대장증후군 같은 위장관 질환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감소, 고혈압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 및 혈중 지질상태 개선, 항비만 효과, 대장암과 위암에 대한 항암 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5-12).
유산균에는 무엇이 있는가? 발효유는 원유 또는 유가공품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발효유는 완전 식품인 원유에 유산균 starter를 첨가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켜 제조되며, starter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주로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a, Streptococcus thermophilus가 있으며, 대부분이 probiotics에 해당된다(1). Probiotics는 동물의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시킴으로써 유익한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로 주로 유산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Saccharomyces cerevisiae와 같은 효모 및 Aspergilllus oryzae와 같은 사상균이 사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roy F, De Vuyst L (2004) Lactic acid bacteria as functional starter cultures for the food fermentation industry. Trends Food Sci Technol, 15, 67-78 

  2. Fuller R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3. Collins JK, Thornton G, Sullivan GO (1998) Selection of probiotic strains for human applications. Int Dairy J, 8, 487-490 

  4. Otero MC, Ocana VS, Elena Nader-Macias M (2004) Bacterial surface characteristics applied to selection of probiotic microorganisms. Methods Mol Biol, 268, 435-440 

  5. Marteau PR, de Vrese M, Cellier CJ, Schrezenmeir J (2001) Protection from gastrointestinal diseases with the use of probiotics. Am J Clin Nutr, 73, 430S-436S 

  6. Kim JY, Park BK, Park HJ, Park YH, Kim BO, Pyo S (2013) Atopic dermatitis-mitigating effects of new Lactobacillus strain, Lactobacillus sakei probioics 65 isolated from Kimchi. J Appl Microbiol, 1-10 

  7. Aihara K, Kajimoto O, Hirata H, Takahashi R, Nakamura Y (2005) Effect of powdered fermented milk with Lactobacillus helveticus on subjects with high-normal blood pressure or mild hypertension. J Am Coll Nutr, 24, 257-265 

  8. Ataie-Jafari A, Larijani B, Alavi Majd H, Tahbaz F (2009)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probiotic yogurt in comparison with ordinary yogurt in mildly to moderately hypercholesterolemic subjects. Ann Nutr Metab, 54, 22-27 

  9. Ooi LG, Liong MT (2010)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probiotics and prebiotics: a review of in vivo and in vitro findings. Int J Mol Sci, 11, 2499-2522 

  10. Kang JH, Yun SI, Park MH, Park JH, Jeong SY, Park HO (2013) Anti-obesity effect of Lactobacillus gasseri BNR17 in high-sucrose diet-induced obese mice. PLoS One, 8, 54617 

  11. Gianotti L, Morelli L, Galbiati F, Rocchetti S, Coppola S, Beneduce A, Gilardini C, Zonenschain D, Nespoli A, Braga M (2010) A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on perioperative administration of probiotic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orld J Gastroenterol, 16, 167-175 

  12. Hwang JW, Baek YM, Yang KE, Yoo HS, Cho CK, Lee YW, Park J, Eom CY, Lee ZW, Choi JS, Jang IS (2013) Lactobacillus casei extract induces apoptosis in gastric cancer by inhibiting NF- ${\kappa}B$ and mTOR-mediated signaling. Integr Cancer Ther, 12, 165-173 

  13. Chang JH, Shim YY, Cha SK, Chee KM (2010)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Appl Microbiol, 109, 220-230 

  14. Kim SY, Kim JD, Son JS, Lee SK, Park KJ, Park MS (2011) Biochem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46-452 

  15. Jeon CP, Kim YH, Lee JB, Jo MS, Shin KS, Choi CS, Kwon GS (2010)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brevis HLJ59 isolated from salted shrimp. Korean J Microbiol, 46, 9-14 

  16. Kim SJ, Ma SJ, Kim HL (2005)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Jeot-gal. Korean J Food Preserv, 12, 184-189 

  17. Choi YH, Lee JS, Bae SY, Yang KJ, Yeom KW, Jo DH, Kang OH, Baik HS (2013) Isolation of bacteria with protease activity from Cheonggukjang and purification of fibrinolytic enzyme. J Life Sci, 23, 259-266 

  18. Kim JH, Rhee YH, Na HJ, Lee YK, Shin SY (199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ogurt by Lactobacillus sp. from pickles. Agric Chem Biotechnol, 40, 12-17 

  19. Lim SM (2012) Synbiotic potential of yoghurt manufactured with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mustard leaf Kimchi and prebiotic fructooligosaccharid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 226-236 

  20. Oh NS, In MJ (2008) Production of a fermented soymilk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isolated from Kimchi.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88-91 

  21. Lee SG, Han KS, Jeong SG, Oh MH, Jang A, Kim DH, Bae IH, Ham JS (2010) A study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 of yogur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LHC52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328-335 

  22. Kobayashi Y, Tohyama K, Terashima (1974) Tolerance of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L. casei PSR 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ds. Jpn J Microbiol, 29, 691-697 

  23. Kang M, Kim D, Kim TW, Park SH, Kim HJ, Jang JY, Han ES (2012) Selec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Yulmoo Kimchi using a stimulated human intestinal model sy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96-401 

  24. Kwon MS, Ryoo CR, Kang CH, Min KH, Kim WJ (2002)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sp. in kimchi and its characteristics. J Microbiol Biotech, 12, 96-105 

  25. Jeun JH, Kim HD, Lee HS, Ryu BH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 produced Aminobutyric acid (GABA) from traditional salt fermented anchovy. Korean J Food Nutr, 17, 72-79 

  26. Jung YS (1963) Microbiological studies of soysauce: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bacteria from traditional soysauce. Korean J Microbiol, 1, 30-35 

  27. Ouwehand AC, Kirjavainen PV, Shortt C. Salminen S (1999) Probiotics; mechanisms and established effects. Int Dairy J, 9, 43-52 

  28. Kang HK, Liu WL, Lee HH, Yin J, Kim IC (2013)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89-95 

  29. Kaur IP, Chopra K, Saini A (2002) Probiotics; potential pharmaceutical applications. Eur J Pharm Sci, 15, 1-9 

  30. Lee SH, No MJ (1997)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nol, 25, 617-622 

  31. Lee SG, Lee YJ, Kim MK, Han K, Jeong SG, Oh MH, Aera J, Kim DH, Bae IH, Ham JS (2010) A study on the yogurt manufacture suit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LHB55 isolated from Kimchi. J Anim Sci Technol, 52, 141-148 

  32. Dedios, Pozo-Olano, J, Warran JH, Gomez GG, Cavazos MG (1978) Effect of a Lactobacilli preparation on traveler's diarrhea. Gastroenterol, 74, 829-8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