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황산 및 당 내성을 가진 토착형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에 의한 캠벨얼리 포도주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wine by indigenous Saccharomyces cerevisiae yeasts with resistance to potassium metabisulfite and a high sugar concentr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5, 2013년, pp.744 - 750  

김미선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여수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박희동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캠벨얼리 포도주의 발효 중 효모 천이단계에서 분리된 아황산 및 당 내성 토착형 효모 균주 S. cerevisiae S13과 D8 균주를 이용하여 캠벨얼리 포도주를 발효하여 그 특성을 산업용 포도주 효모 W-3 균주와 비교하였다. 토착형 효모 두 균주는 초기 발효 중 알코올 생성이 다소 지연되었으나 발효 4~5일 후부터 알코올의 생성량이 대조균주의 경우보다 높아졌다. 발효 종료 후 S13 포도주는 12.6%, D8 포도주는 13.2%로서 대조균주 W-3 포도주의 12.0%보다 높은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었다. 발효 후 제성한 적포도주의 잔존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 pH 등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S13 포도주와 D8 포도주는 총산 및 malic acid, lact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lactic acid 함량에 있어서 W-3 포도주에 비하여 S13 포도주는 8.9배, D8 포도주는 약 6.0배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토착형 효모 포도주는 W-3 포도주보다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다소 높았으나 매우 낮은 메탄올 함량을 나타내어 W-3 포도주의 72%, 식품공전상 기준치의 약 11% 수준을 나타내었다. n-Propanol과 iso-amyl alcohol의 함량에는 W-3 포도주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iso-butanol의 함량이 W-3 포도주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토착형 효모 포도주는 색, 향, 맛, 전반적 기호도에서 모두 W-3 포도주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특히 색에 있어서는 D8 포도주가 3.66점, 향에 있어서는 S13 포도주가 3.42점으로서 W-3 포도주의 색 3.08, 향 2.92보다 매우 높은 점수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digenous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s S13 and D8 were isolated at the microbial succession stage during spontaneous fermentation of Campbell Early wine as a resistant to potassium metabisulfite and a high sugar concentration. In this study,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erevisiae 효모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바 있다(9,15). 본 연구에서는 이들 토착형 효모를 스타터로 이용하여 캠벨얼리 포도주를 발효하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포도주의 주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 캠벨얼리 포도주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 품종에 알맞은 포도주 효모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나 현재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진은 캠벨얼리 자연발효 중 효모의 변화 등을 조사하여 보고한바 있으며 캠벨얼리 포도주 효모를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미생물의 천이현상이 일어나는 단계의 발효액으로부터 아황산 및 고농도의 당에 대해 저항성을 가진 토착형 S. cerevisiae 효모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바 있다(9,15). 본 연구에서는 이들 토착형 효모를 스타터로 이용하여 캠벨얼리 포도주를 발효하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포도주의 주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주의 품질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IWSR 2010의 보고에 따르면 2008년 310억병의 포도주가 소비되었으며 향후 소비량은 더욱 증가할 뿐 아니라 고급 포도주의 소비 증가로 인하여 판매액은 더욱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3). 일반적으로 포도주의 품질은 원료 포도의 품질, 포도주 효모 및 양조기술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1).
S. cerevisiae가 포도주의 발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포도주의 발효에 관여하는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는 당을 분해하여 알코올을 생산할 뿐 아니라 다양한 향미물질을 만들어 냄으로써 포도주의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4-6). 고대의 포도주와 S.
효모 개발이 많이 이루어진 포도 품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cerevisiae Fermivin, EC-1118, OC2 , W-3 등 약 150주 이상의 포도주 효모 균주가 산업화되어 시판되고 있다(10,11). 이러한 효모들은 유럽 특히 프랑스와 스페인을 중심으로 발달한 유럽종 포도인 Vitis vinifera에 속하는 적포도주용의 까베르네소비뇽, 메를로, 피노누아 등과 백포도주용의 샤도네이 등의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개발되어 왔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ackson R (2008) Wine scienc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1-14 

  2. FAO (2012) FAOSTAT. http://faostat3.fao.org/home/index.html# Download. Retrieved 2013-07-22 

  3. IWSR (2010) IWSR report. http://www.iwsr.co.uk/. Retrieved 2013-07-30 

  4. Fleet GH (2003) Yeast interaction and wine flavor. Int J Food Microbiol, 86, 11-22 

  5. Lambrechts M, Pretorius I (2000) Yeasts and its importance to wine aroma. S Afr J Enol Vitic, 21, 97-129 

  6. Romano P, Fiore C, Paraggio M, Caruso M, Capece A (2003) Function of yeast species and strains in wine flavor. Int J Food Microbiol, 86, 169-180 

  7. Cavalieri D, McGovern P, Hartl D, Mortimer R, Polsinelli M (2003) Evidence for S. cerevisiae fermentation in ancient wine. J Mol Evol, 57, S226-S232 

  8. Fleet G (1990) Growth of yeasts during wine fermentation. J Wine Res, 1, 211-223 

  9. Hong YA, Park HD (2013) Role of non-Saccharomyces yeasts in Korean wines produced from Campbell Early grapes: potential use of Hanseniaspora uvarum as starter culture. Food Microbiol, 34, 207-214 

  10. Henschke P (2004) Yeast strains available for winemaking 2004/2005. Aust Wine Res Inst Tech Rev, 153, 8-24 

  11. Hwang S, Park H (2009) Characteristics of red wine fermentation of freeze-concentrated Campbell Early grape juice using various wine yeasts. Korean J Food Preserv, 16, 977-984 

  12. Cho Y (2013) A market trend of Korean alcoholic beverages in 2012. Alcohol Liquor Ind, 115, 72-81 

  13. The Annual Report of Food Industry (2002) The AF News Press, Seoul, Korea, p 200-205 

  14. Kim S (2005) The present state of grape cultivation in Korea. In: Symposium on development of Yeongdong grape cluster regional innovation. Yeongdong Grape Cluster Organization, Yeongdong, Korea, p 4-10 

  15. Kim M (2006)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osmotolerant yeasts isolated from Korean grape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16. Kishimoto M, Soma E, Goto S (1994) Classification of cryophilic wine yeasts based on electrophoretic karyotype, G+C content and DNA similarity. J Gen Appl Microbiol, 40, 83-93 

  17. Toshiro O, Kiyoshi O, Yasufumi U, Kenji Y, Yasuhiro K, Masahiko S, Hisatsugu W (1996) Enhancement of glycerol production by brew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with heat shock treatment. J Ferment Bioeng, 82, 187-190 

  18. AOAC (200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 Amerine M, Ough C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New York, USA, p 176-180 

  20. Ahmed H (2004) Principles and reactions of protein extra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CRC Press, London, UK, p 350-352 

  21. Kim D, Hong Y, Park H (2008) Co-fermentation of grape must by Issatchenkia orienta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reduces the malic acid content in wine. Biotechnol Lett, 30, 1633-1638 

  22. Lawless H, Heymann H (1988) Sensory evaluation of food: principles and practices. Chapman and Hall, San Francisco, CA, USA, p 149-174 

  23. SAS (2004) SAS/STAT 9.3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p 313-383 

  24. Jackisch P (1985) Modern winemaking.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ew York, USA, p 164-165 

  25. American Wine Society (1994) The complete handbook of winemaking. Kent Inc., Ypsilanti, MI, USA, p 87-93 

  26. Amerine M, Roessler E, Ough C (1965) Acid and the acid taste: I. The effect of pH and titrable acidity. Am J Enol Vitic, 16, 29-37 

  27. Lee J, Kim J (2006) Study on the deacidification of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08-413 

  2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Food code. KFDA, Seoul Korea, p 10-3-25 

  29. Cabaroglu T (2005) Methanol contents of Turkish varietal wines and effect of processing. Food Control, 16, 177?81 

  30. Wu J, Wu M, Jiang C, Hwang Y, Shen S, Chang H (2005) Pectinesterase inhibitor from jelly-fig (Ficus awkeotsang Makino) achenes reduces methanol content in carambola wine. J Agric Food Chem, 53, 9506-11 

  31. Wu M, Jiang C, Huang P, Wu M, Wang Y (2007) Separation and utilization of pectin lyase from commercial pectic enzyme via highly methoxylated cross-linked alcohol-insoluble solid chromatography for wine methanol reduction. J Agric Food Chem, 55, 1557-62 

  32. Rankine B (1967) Formation of higher alcohols by wine yeasts and relationship to taste thresholds. J Sci Food Agric, 18, 583-589 

  33. Romano P, Fiore C, Paraggio M, Caruso M, Capece A (2003) Function of yeast species and strains in wine flavour. Inter J Food Microbiol, 86, 169-180 

  34. Gordon B (2009) Wine color analysis using the evolution array UV-Visible spectrophotometer. Thermo Scientific Application Note 51852 

  35. Lee J, Shin Y, Sim J, Kim S, Koh K (2002)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36. Zoecklein B, Fugelsang K, Gump B, Nury F (1995)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and Hall, New York, USA, p 129-168 

  37. Park E, Ryu J, Kim T (2010)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for wine. Korean J Food Preserv, 17, 418-4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