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식염 오징어 식해의 생리활성 및 유통기한 설정
The Biofunctional Activities and Shelf-life of Low-salt Squid Sikha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1, 2012년, pp.61 - 68  

조원일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김상무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발효식품인 식해에 대하여 염농도에 따른 발효기간별 품질특성, 발효 최적조건 및 유통기한 설정, 발효 최적조건에서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우리 전통식품인 식해를 저염화하고 생산 보급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오징어 식해는 발효기간에 경과함에 따라 염농도가 낮고 온도가 높을수록 pH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아미노질소 및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발효최적조건은 5% 염농도의 식해를 $-1^{\circ}C$에서 53일간 발효한 것이었고 유통기한은 염농도 5%의 식해를 $-1^{\circ}C$에서 142일간 저장한 것이었다. 식해는 DPPH 저해활성이 확인되어 항산화 효과가 있으나, hydrolxyl 및 hydrogen peroxide radical 소거능, 항당뇨, 항대장암 및 주름제거 활성은 낮아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은 보충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정미 아미노산이 고미 아미노산보다 많아 맛에서 우수하였으며, 시판중인 다른 수산발효식품과 관능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1^{\circ}C$의 저온에서 식염 5%로 식해를 저염화 시킨다면 현대인의 식기호에 적합한 식품으로 영양학적 측면이나 시장성 측면에서 큰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khae is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with a 7-10% salt concentration. Consumers have begun to look for low-salt food because excess salt is known to cause hypertension and gastric canc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squid sikhae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발효식품인 식해를 염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하고, 발효 온도 및 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발효 최적조건 및 유통기한 설정, 최적발효조건에서 제조한 오징어 식해의 생리활성 등을 분석하여 우리 전통식품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저식염 오징어 식해 생산과 보급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발효식품인 식해에 대하여 염농도에 따른 발효기간별 품질특성, 발효 최적조건 및 유통기한 설정, 발효 최적조건에서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우리 전통식품인 식해를 저염화하고 생산 보급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오징어 식해는 발효기간에 경과함에 따라 염농도가 낮고 온도가 높을수록 pH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아미노질소 및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해란 무엇인가? 오징어는 주로 동해안에서 생산되며 어민들의 주요 소득원 중 하나로써 타우린, DHA, EPA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여(1), 예로부터 회, 건조, 조미, 젓갈 및 식해 등 여러 가지 식품 소재로 이용되어 왔다. 그 중 식해는 어육 등의 주 원료에 7-10% 내외의 소금을 가하여 익힌 곡류와 고춧가루, 채소 등 각종 조미 부재료를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서 젖산균을 비롯한 미생물과 생성된 유기산에 의한 부패방지는 물론 식용에 적합한 풍미와 조직감이 생성되는 전통 수산발효식품이다(2). 하지만 식해는 일반화 및 상품화 되어있지 못하고 강원도 영동지역의 향토식품으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산발효식품의 품질개선을 위한 많은 기초연구가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주로 단일 원료를 고농도의 소금으로 절여 발효시킨 젓갈류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3).
본 연구에서 식해를 현대인의 식기호에 적합한 식품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근거는? 식해가 여타 다른 지역의 젓갈류와 특이하게 다른 점은 어류에 곡류(메조 또는 멥쌀), 무채, 엿기름 및 고춧가루 등의 부재료를 넣어 일정기간동안 숙성시켜 자체 발효에 의한 자가소화와 숙성 중 미생물의 발효작용에서 독특한 정미성분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4). 고식염 식품은 신장병, 고혈압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 소비자들은 고식염 식품을 기피하고 저식염 식품을 많이 선호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식염 식품의 기피현상에 부응하여 식해 또한 현대인의 식기호에 적합한 식품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으며, 저식염 발효식품의 개발은 영양학적 측면이나 시장성 측면에서도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다른 지역의 젓갈류와 다른 식해의 특징은 무엇인가? 하지만 식해는 일반화 및 상품화 되어있지 못하고 강원도 영동지역의 향토식품으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산발효식품의 품질개선을 위한 많은 기초연구가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주로 단일 원료를 고농도의 소금으로 절여 발효시킨 젓갈류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3). 식해가 여타 다른 지역의 젓갈류와 특이하게 다른 점은 어류에 곡류(메조 또는 멥쌀), 무채, 엿기름 및 고춧가루 등의 부재료를 넣어 일정기간동안 숙성시켜 자체 발효에 의한 자가소화와 숙성 중 미생물의 발효작용에서 독특한 정미성분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4). 고식염 식품은 신장병, 고혈압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 소비자들은 고식염 식품을 기피하고 저식염 식품을 많이 선호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wang SH, Youn KS.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quid liver oil during refining process. Food Eng. Prog. 12: 284- 288 (2008) 

  2. Cha YJ, Kim SJ, Jeong EJ, Kim H, Cho WJ, Yoo MY.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15-1521 (2004) 

  3. Choi C, Lee HD, Choi HJ.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of fermentation process for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e. Korean J. Dietary Culture 16: 118-127 (2001) 

  4. Choi C, Lee HD, Choi HJ, Son JH, Kim S, Son GM, Cha WS. Func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ae. Korean J. Food Technol. 33: 345-352 (2001) 

  5. Lee NH, Oh SW, Kim YM. Biochemical changes in muscle protein of squid sikhae during fermentation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92-297 (1996) 

  6. Jung HS, Lee SH, Woo KL. Effect of salting levels on the changes of taste constituents of domestic fermented flounder sikhae of Hamgyeong-do.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9-64 (1992) 

  7. Lee CH, Cho TS, Lim MH, Kang JW, Yang HC. Studies on the sikhae fermentation made by flatfish.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1: 53-58 (1983) 

  8. Kim SM, Jeong IH, Cho YJ. The development of squid sikhae in Kangnung district: 1. The effect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and periods on the properties of squid sikhae. Bull. Korean Fish. Soc. 27: 215-222 (1994) 

  9. Kim SM, CHO YJ, Lee KT. The development of squid sikhae in Kangnung district: 2. The effect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and periods on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and the partial purification of protease. Bull. Korean Fish. Soc. 27: 223-231 (1994) 

  10. Kim SM, Back OD, Lee KT. The development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the Kangnung district: 3. The effects of garlic concentrations on the properties of sikhae. Bull. Korean Fish. Soc. 27: 357-365 (1994) 

  11. Kim SM, Back OD, Lee KT. The development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the Kangnung district: 4. The effects of red pepper and grain contents on the properties of squid sikhae. Bull. Korean Fish. Soc. 27: 366-372 (1994) 

  1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1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7 (2002) 

  13. Nissen JA.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hydrolysis of food protein hydrolysates by trinitrobenzenesulfonic acid. J. Agr. Food Chem. 27: 1256-1262 (1979) 

  14. Chae SK. Standard food analysis. Jiju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637-640 (1998) 

  15. Kim YS. Analysis of plastics pyrolysis in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by an arrhenius-type rate equation including the effect of transfer lag. J. Korean Inst. Chem. Eng. 29: 503-511 (1991) 

  1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17. Jeon YJ, Byun HG, Kim SK. Improvement of functional properties of cod frame protein hydrolysates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Process Biochem. 35: 471-478 (2000) 

  18. Chung SK, Osawa T, Kawakishi S. Hydroxyl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2 (1997) 

  19. Kim KY, Nam KA, Kurihara H, Kim SM. Potent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purified from the red alga Grateloupia elliptica. Phytochemistry 69: 2820-2825 (2008) 

  20. Kim KY, Choi KS, Kurihara H, Kim SM. $\beta$ -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bromophenols purified from Grateloupia elliptica. Food Sci. Biotechnol. 17: 1110-1114 (2008) 

  21. Hyun SH, Jung SK, Jwa MK, Song CK, Kim JH, Lim SB.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a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00- 208 (2007) 

  22. Shinha R, Radha C, Prakash J, Kaul P. Whey protein hydrolysate: Functional properties, nutritional qualities, nutritional quality, and utilization in beverage formulation. Food Chem. 101: 1484-1491 (2007) 

  23. Kim WJ, Kim SM.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manufactured with fermentation acceleration ag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47-454 (2003) 

  24. Lee WJ, Jung JK.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noodles from brown rice flour and colored rice flour. Korean J. Culinary Res. 8: 267-278 (2002) 

  25. Park SM, Park CK, Lee KT, Kim SM. Changes in taste compound of low salt fermented pollack tripe during controlled freezing point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9-53 (1998) 

  26. Park JH, Kim SM. Property changes of the salt-seasoned and fermented the broken roes of Alaska pollock stuffed into cellulose ca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20-224 (2002) 

  27. Choi SH, Kim SM.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squid viscera product with Aspergillus oryzae koji and its season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4-101 (2011) 

  28. Oh SC, Cho JS, Nam HY. Change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f low salt fermented squid. Korean J. Soc. Food Sci. 16: 173-181 (2000) 

  29.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2006) 

  30. Choi U, Shin, DH, Chang YS, Shin JI.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1992) 

  31. Cheigh HS, Hwang JH.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Food Indus. Nutr. 5: 52-56 (2000) 

  32. Halliwell, B, Gutteridge, JM. Oxygen free radicals and iron in relation to biology and medicine: Some problems and concepts. Arch. Biophys. 246: 501-514 (1986) 

  33. Park JH, Baek MR, Lee BH, Yon GH, Ryu SY, Kim YS, Park SU, Hong KS.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compounds from roots extract of Pueratia thunbergia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357-362 (2009) 

  34. Kim YS, Yin Y, Shim TH, Sa JH, Wang MH.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in Picrasma qua $\beta$ ioides (D. Don) Benn. extracts. Korean J. Pharmacogn. 37: 37-41 (2006) 

  35.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98- 203 (2007) 

  36. Tsuji N, Moriwaki S, Suzuki Y, Takema Y, Imokawa G.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2001) 

  37. Ahn JY, Bae JH.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extractives of pinaceae. J. Soc. Cosmet. 31: 121-12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