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예비효과연구
Development and Preliminary Outcome Study of Smartphone Over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of Middle School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2 no.4, 2013년, pp.307 - 318  

김명식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상담심리학과) ,  최은미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상담심리대학원) ,  이신후 (전북 인터넷중독 대응센터) ,  배재홍 (한양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th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f smartphone overuse for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and testified its outcome. Finally the 4-sess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smartphone overuse was developed. 1st session was composed of psychoeducation about smartphone overuse and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청소년 대상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상담이나 개입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많지만, 스마트폰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거의 없고, 스마트폰 과몰입을 예방하기 위한 소수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만이 있기 때문이다[8].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중학교 청소년이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시키고자 했다. 셋째, 향후 효과적인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에 대한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했다.
  • 이런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게 최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요소들을 규명해서 포함시키려 노력했다. 또한 본 연구가 인지행동(CBT)와 동기강화(MI)프로그램을 결합해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실정에 맞는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했고, 나아가 그 통계적,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했다점도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예방교육 프로그램도 이 이론적 맥락에서 보다 체계화, 정교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서 기존의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게임 중독, 휴대폰중독 상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했다<표 1>. 본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에 대한 면역력을 키우고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주 목표로 했다. 본 프로그램은 1개 학급 단위로 실시해서 반 전체 학생들이 모두 참여하도록 하였다.
  •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대해 과도하게 비판적이고 강압적인 태도를 취하기 보다는 첨단 IT 기술,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의 과학기술을 적절히 활용하면서도 중독이나 과다사용에 빠지지 않도록 아동․청소년들을 훈련시키고 면역력을 갖추게 하는 것이 우리시대의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6]. 본 연구도 이러한 첨단 IT 시대,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흐름과 영향에 어떻게 심리학적으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연구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 청소년을 이외에 일반 청소년을 포함해서 학급 단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고자 했다. 최근의 정신건강 연구에서 치료나 상담도 중요하지만, 질병이나 문제행동이 생기기 이전에 미리 예방(prevention)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다.
  • 현재 국내에서는 학부모를 위한 스마트폰 예방 교육 프로그램이 있을 뿐 아동․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전무한 실정이다[8].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이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면역력을 키우고 건전한 사용방법을 학습하도록 했으며, 향후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스마트폰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을 감소시키고 조절하는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관련 연구들을 참고해서 3명의 전문가가 함께 총 4회기의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우리나라 중학교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스마트폰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했다. 청소년 대상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상담이나 개입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많지만, 스마트폰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거의 없고, 스마트폰 과몰입을 예방하기 위한 소수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만이 있기 때문이다[8].
  •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중학교 청소년이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시키고자 했다. 셋째, 향후 효과적인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에 대한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했다.
  • 이런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게 최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요소들을 규명해서 포함시키려 노력했다. 또한 본 연구가 인지행동(CBT)와 동기강화(MI)프로그램을 결합해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실정에 맞는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했고, 나아가 그 통계적,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했다점도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가설 설정

  •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에 대한 정의는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에 대한 선행연구[37]와 최근의 연구 경향을 참고해서 단순한 스마트폰 사용이 아닌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갈망(craving)과 욕구(desire)가 만성적으로 존재하고, 금단(abstinence symptom)과 내성(tolerance) 증상이 뚜렷한 일탈적 상태를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이라고 규정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 진흥원이 2012년 만 12∼59세 스마트폰 이용자 4,000명을 대상으로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6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사용의 장단점은? 또한 정상적인 생활이 제공해주지 못하는 과도한 쾌락을 추구하며, 그 과정에서 중독적인 물질이나 행동 없이는 불가능한 어떤 특별한 경험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31]. 스마트폰은 인터넷 이용의 증가, 정보 공유 활동 증가, 학업 또는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지만, 일상생활, 업무, 학업 등에서 심각한 부작용과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15]. 청소년뿐 아니라 일반 직장인의 경우에도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이 심할수록 일상적 스트레스와 충동성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중독(addiction)이나 과다사용(overuse)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중독(addiction)이나 과다사용(overuse)은 어떤 특정한 활동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쾌락적 만족감을 얻기 위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행동을 의미한다. 또한 정상적인 생활이 제공해주지 못하는 과도한 쾌락을 추구하며, 그 과정에서 중독적인 물질이나 행동 없이는 불가능한 어떤 특별한 경험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31].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스마트폰 중독이나 과다사용은 성장기의 청소년에게 치명적인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과다한 인터넷 사용은 대인간 직접적인 사회활동을 인터넷을 통한 활동으로 대치해서 사회적 참여를 감소 시키며, 심리적 안녕을 위협하여 우울증. 동기저하, 낮은 자존감, 인정욕구,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킨다[36]. 또한 스마트폰의 부정적인 측면인 정상적 언어파괴, 음란물 접근, 폭력적 게임의 과다 사용, 도찰로 인한 인권침해 등의 부작용 등을 꼽을 수 있다[2].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청소년이 스마트폰에 몰입되어 있는 시간이 많을수록 사람과 직접 만나 대화하는 시간이 적어져서 대인 관계 형성과 발달에 큰 장애를 받게 된다는 것이다[24].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청소년의 주요한 과업인 교과학습과 집중도 매우 큰 장애를 받게 된다[3,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주연,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 강희양, 박창호,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제31권, 제2호(2011), pp.563-580. 

  3. 곽민주, "청소년의 휴대폰 이용실태와 중독적 이용",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김남조.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 동기 강화 집단상담의 효과", 한동대학교 상담심리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 김보연,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 김세윤, 최서윤, 김범수, "자아의식, 스트레스 및 인터넷 사용통제가 성인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 IT서비스학회지, 제6권, 제3호(2007), pp.47-67. 

  7. 김용래,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교육연구논총, 제17권(2006), pp.3-37. 

  8. 나경애, 청소년 스마트폰 과몰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서울 : 한국미디어학교, 2013. 

  9. 박상규,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 학지사, 2009. 

  10. 박순천, 백경임,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청소년의 MMPI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9호(2004), pp.250-281. 

  11.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2013. 

  12. 손은하, "스마트폰 중독과 예방에 대한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3. 양심영, 박영선,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4호(2005), pp.1-16. 

  14. 오은정, 장성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 및 휴대전화 중독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3호(2009), pp.25-44. 

  15. 이민석,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 이영선, 이수진, 두진영, 김동일, "중학생 인터넷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9권, 제2호(2011), pp.105-124. 

  17. 이영순, "약물남용 비행청소년을 위한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8. 이형초, 안창일,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제7권, 제3호, pp.463-486, 2002. 

  19. 장혜진,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0. 정기영,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실태 및 학교 생활 적응과의 관계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1.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2011. 

  22.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고도화(3차) 연구, 2011. 

  23. 한주리, 허경호,.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6호(2004), 138-165. 

  24. 황광민, "중학생의 휴대폰 사용, 불안 및 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5. Academy of Medical Sciences, Drug's futures : public engagement on the future of brain science, addiction and drugs. London :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007. 

  26. Beale, R., "upporting social interaction with smart phone", IEEE Pervasive Computing, Vol.4, No.2(2005), pp35-41. 

  27. Freeman, A. and M. Reinecke, Cognitive therapy of suicidal behavior,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4. 

  28. Griffths, M. D., "Technological Addictions", Clinical Psychology Forum, Vol.76(1995), pp.14-19. 

  29. Kazdin, A. E., Research Design in clinical psychology(3rd ed.). MA : Allyn and Bacon, 1998. 

  30. Lies, B. and R. Franz, Frontiers of Cognitive Therapy : Chapter 20. Treating Substance Use Disorders with Cognitive Therapy :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dited by Salkovskis, New York : Guilford Press, 1996. 

  31. Marie, W., The Plug-in Drug, The Viking Press, New York, 1977. 

  32. McFarlane, W., Multifamily groups in the treatment of severe psychiatric disorders, New York : Guilford Press, 2002. 

  33. Miller, W. and R. Rollink, Motivational interviewing : Preparing people for change,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2002. 신성만, 권정옥, 손명자(역), 동기강화상담 : 변화 준비시키기(제2판),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6. 

  34.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NIDA), "Medical consequences of drug abuse", Vol.3 (2006), from http://www.drugabuse.gov/con wequences. 

  35. You, M. and M. Kwan, "The comparative study o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among mother and student between mobile phone addiction group and non-addiction group : Moddile school student", Korean Parent Child Health, Vol.14 (2011), pp.76-83. 

  36. Young, K. and R. Rogers, R.,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Vol.1, No.1(1988), pp.25-288. 

  37. Young, K. S., "Internet Addiction :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and Behavior, Vol.1, No.3(1998), pp. 237-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