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산단계 토마토를 국내 5개 지역 소재의 18개 농가에서 총 90점의 시료를 수집하여 위생지표세균 및 유해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주산지 1개 지역의 4개 농가를 대상으로 시기별(3, 4, 5, 6월) 위생지표세균 및 유해미생물의 오염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산단계 토마토의 위생지표세균 중 일반호기성세균은 최소 0.48 - 최대 6.15 Log CFU/g 범위로 나타났고, Coliforms는 최소 ND - 최대 3.37 Log CFU/g 범위로 나타났다. B. cereus의 경우에는 90개 시료 중 6개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모두 1 LogCFU/g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3월에 일반호기성세균, Coliforms, B. cereus가 평균적으로 각각 2.70, 0.56, 1.58 Log CFU/g으로 나타났고, 이들 모두 4, 5, 6월로 시기가 지남에 따라 오염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S. aureus,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 오염도 조사에서는 이들 모두 불검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생산단계 토마토의 위생지표세균 및 유해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고 시기별 오염도 변화 양상을 관찰하여, 농식품 안전성 확보 및 국내 토마토의 미생물위해성평가(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and evaluated contamination levels of bacteria on tomatoes at farms stage to evaluate potential hazards associated with fresh tomatoes. A total of 170 samples, 90 samples from 5 sampling sites from 18 farms and 80 samples from 1 sampling site from 4 farms every month for fo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토마토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로는 판매단계 토마토의 생물적 위해요소 분석15), GAP 실천 모델 확립을 위한 토마토 재배환경 및 수확 후처리시설의 생물적 위해요소 분석16,17)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생산단계 토마토의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생산단계 토마토의 위생지표세균 및 유해미생물 오염 실태와 시기별 오염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마토의 전반적인 위생지표세균 오염도를 파악 \하기 위해 총 5지역(18개 농가)에서 수집한 생산단계 토마토의 일반호기성세균, Coliforms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Table 1). 대상 지역 및 농가의 토마토의 일반호기성세균 오염도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almonella enterica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이들의 오염경로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은 어렵지만6), 농산물은 생산과정에서 토양, 관개용수, 야생동물, 곤충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고, 수확, 수확 후 처리, 가공, 포장 등의 처리과정 중에서도 교차오염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Salmonella enterica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토양에서뿐만 아니라 꽃, 잎, 줄기 등 토마토 식물체에서 오랫동안 생존이 가능하고, 식물체 내부로 침투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11,12). 또한 Salmonella, E.
토마토에 다량 함유된 라이코펜은 어떤 기능이 있는가? 국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섭취하는 신선 농산물의 소비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1,2). 그 중에서 토마토는 대표적인 신선 섭취 농산물로써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몸에 좋은 10가지 식품’ 중 하나로 카로티노이드류 중 라이코펜(lycope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세포의 산화를 막아 노화를 억제하고, 항암효과, 심혈관질환 예방, 혈당저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건강식품이다3). 2000년대 국내 토마토 생산량은 연간 약 35만 톤으로 80년대에 비해서는 약 6.
농산물에 병원성 미생물이 오염되는 경로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와 같이 과거에 비해 최근에 문제가 발생되는 원인으로써는 농산물 재배법 및 재배환경의 변화, 소비자의 식습관, 증가하는 신선 농산물의 수입량 증가 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들의 오염경로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은 어렵지만6), 농산물은 생산과정에서 토양, 관개용수, 야생동물, 곤충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고, 수확, 수확 후 처리, 가공, 포장 등의 처리과정 중에서도 교차오염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Salmonella enterica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토양에서뿐만 아니라 꽃, 잎, 줄기 등 토마토 식물체에서 오랫동안 생존이 가능하고, 식물체 내부로 침투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urnett, S.L. and Beuchat, L.R.: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 Microbiol. Biot., 27, 104-110 (2001). 

  2. Tian, J.Q., Bae, Y.M., Choi, N.Y., Kang, D.H., Heu, S. and Lee, S.Y.: Survival and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in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t 4 and $15^{\circ}C$ . J. Food Sci., 77(1), M48-M50 (2012). 

  3. Yu, Y.M., Youn, Y.N., Hua, Q.J., Cha, G.H. and Lee, Y.H.: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paprikas, strawberries and tomatoes in the markets. J. Fd Hyg. Safety, 24, 174-181. 

  4.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access:2013.9.16.), 농작물생산조사 (2012).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MMWR). 56(35), 909-911 (2007). 

  6. Valadez, A.M, Schneider, K.R. and Danyluk, M.D.: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associated with tomatoes. IFAS Extension. 

  7. Altekruse, S.F., Cohen, M.L. and Swerdlow, D.L.: Emerging food-borne disease. Emerg. Infect. Dis., 3, 285-293 (1997). 

  8. Koseki, S. and Isobe, S.: Prediction of pathogen growth on iceberg lettuce under real temperature history during distribution from farm to table. Int. J. Fd. Microbiol., 104, 239- 248 (2005). 

  9. Zheng, J., Allard, S., Reynolds, S., Millner, P., Arce, G., Blodgett, R.J. and Brown, E.W.: Colonization and internalization of Salmonella enterica in tomato plants. Appl. Environ. Microbiol. (AEM accepted, 2013). 

  10. Guo, X., Chen, J., Brackett, R.E., Beuchat, L.R.: Survival of salmonellae on and in tomato plants from the time of inoculation at flowering and early stages of fruit development through fruit ripening. Appl. Environ. Microbiol., 67, 4760-4764 (2001). 

  11. Gu, J., Hu, J., Cevallos-Cevallos, J.M., Richardson, S.M., Bartz, J.A. and van Bruggen, A.H.: Internal colonizat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 tomato plants. PLoS One, 6, e27340 (2011). 

  12. Hintz, L.D., Boyer, R.R., Ponder, M.A., Williams, R.C. and Rideout, S.L.: Recovery of Salmonella enteric Newport introduced through irrigation water from tomato (Lycopersicum esculentum) fruit, roots, stems, and leaves. HortScience, 45, 675-678 (2010). 

  13. Beuchat, L.R. and Scouten, A.J.: Combined effects of water activity, temperature and chemical treatments on the survival of Salmonella and Escherichia coli O157:H7 on alfalfa seeds. J. Appl. Microbiol. 92, 382-395 (2002). 

  14. Hong, C.K., Seo, Y.H., Choi, C.M., Hwang, I.S. and Kim, M.S.: Microbi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in Seoul, Korea. J. Fd Hyg. Safety. 27(1), 24-29 (2012). 

  15. Yu, Y.M., Youn, Y.N., Hua, Q.J., Cha, G.H. and Lee, Y.H.: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paprikas, strawberries and tomatoes in the markets. J. Fd Hyg. Safety., 24, 174-181 (2009). 

  16. Park, S.H., Kwon, W.H., Heo, R.W., Kim, K.Y., Shim, W.B., Shim, S.I. and Chung, D.H.: Hazard analysis of tomato farms at the growing stag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J. Fd Hyg. Safety., 27, 152-160 (2012). 

  17. Lee, H.W., Yoon, Y., Seo, E., Kim, K., Shim, W.B., Kil, J. and Chung, D.H.: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of tomato and recommendations to introduc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10-214 (2009). 

  18. Seow, J., Agoston, R., Phua, L. and Yuk, H.G.: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sold in Singapore. Food Control, 25, 39-44 (2012). 

  19. 강성태, 윤재영: 식품미생물학. 형설출판사, 서울, pp. 414-430 (2004). 

  20. Tyrrel, S.F., Knox, J.W. and Weatherhead, E.K.: Microbiological water quality requirements for salad irrigation in the United Kingdom. J Food Prot., 69(8), 2029-2035 (2006). 

  21. Mitra, R., Cuesta-Alonso, E., Wayadande, A., Talley, J., Gilliland, S. and Fletcher, J.: Effect of route of introduction and host cultivar on the colonization, internalization, and movement of the human pathogen Escherichia coli O157:H7 in spinach. J Food Prot., 72, 1521-1530 (2009). 

  22. Steele, M. and Odumeru, J.: Irrigation water as source of foodborne paghogens on fruit and vegetables. J Food Prot., 67(12), 2839-2849 (2004). 

  23. Wachtel, M.R. and Charkowski, A.O.: Cross-contamination of lettuce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J Food Prot., 65, 465-470 (2002). 

  24. Kroupitski, Y., Pinto, R., Brandl, M.T., Belausov, E. and Sela, S.: Interactions of Salmonella enterica with lettuce leaves. J. Appl Microbiol, 106, 1876-1885 (2009). 

  25. Ukuku, D.O. and Sapers, G.M.: Effect of time before storage and storage temperature on survival of Salmonella inoculated on fresh-cut melons. Food Microbiol, 24, 288-295 (2007). 

  26. Gagliardi, J.V., Millner, P.D., Lester, G. and Ingram, D.: Onfarm and postharvest processing sources of bacterial contamination to melon rinds. J Food Prot., 66, 82-87 (2003). 

  27.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odborne outbreak online database (FOOD). Data retrieved from http://wwwn.cdc.gov/foodborneoutbreaks/Default.aspx. 

  28. Reller, M.E., Nelson, J.M., Molbak, K., Ackman, D.M., Schoonmaker-Bopp, D.J., Root, T.P. and Mintz, E.D.: A large, multiple-restaurant outbreak of infection with Shigella flexneri serotype 2a traced to tomatoes. Clin Infect Dis., 15;42(2), 163-169 (2006). 

  29. Cardenas, C., Molina, K., Heredia, N. and Garcia, S.: Evalu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tomatoes and peppers at retail markets in Monterrey, Mexico. J Food Prot., No. 8., 1308-1479 (2013). 

  30. Orozco, L., Rico-Romero, L. and Escartin, E.F.: Microbiological profile of greenhouses in a farm producing hydroponic tomatoes. J Food Prot., 71(1), 60-65 (2008). 

  31. 식품의약품안전청: 바실러스 세레우스(RISK PROFILE). pp. 3-4 (2010). 

  32. Santamaria, J. and Toranzos, G.A.: Enteric pathogens and soil: a short review. Int Microbiol., 6, 5-9 (2003). 

  33. Barak, J.D. and Liang, A.S.: Role of soil, crop debris, and a plant pathogen in Salmonella enteric contamination of tomato plants. PLoS One, 3(2), e166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