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부지방 부추와 재배환경의 식품매개병원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Foodborne Pathogens from Garlic Chives and Its Production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5, 2020년, pp.477 - 488  

정지은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오광교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서승미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양수인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정규석 (경기도농업기술원) ,  노은정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  류재기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부 3지역에서 시설재배 3농가 총 9농가를 선정하여 2019년과 2020년도 재배 중인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 퇴비,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부추, 토양, 퇴비, 농업용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대장균)과 B. cereus, S. aureus를 조사하였다. 2019년 채취해 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6.15-8.82 log CFU/g, 대장균군은 2.75-4.88 log CFU/g, 21.58-37.95 MPN/100 mL, B. cereus는 1.79-5.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6.41-8.44 log CFU/g, 대장균군은 1.57-2.82 log CFU/g, B. cereus는 2.48-6.00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6.42-7.74 log CFU/g, 대장균군은 2.39-5.73 log CFU/g, 14.45-2419.6 MPN/100 mL, B. cereus는 1.48-5.5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III농가 토양에서 대장균이 1.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2020년 채취해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2.83-8.20 log CFU/g, 대장균군은 0.28-4.03 log CFU/g, B. cereus는 0.41-5.30 log CFU/g, S. aureus는 0.40-4.85 log CFU/g이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0.84-7.25 log CFU/g, 대장균군은 3.13-3.56 log CFU/g, B. cereus는 1.69-2.82 log CFU/g, S. aureus는 2.44-3.78 log CFU/g이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2.04-8.83 log CFU/g, 대장균군은 0.43-4.04 log CFU/g, B. cereus는 0.70-4.93 log CFU/g, S. aureus는 1.81-6.2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부추는 토양과 퇴비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 오염된 토양과 퇴비로의 오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B. cereus가 오염될 수 있다. β-hemolysis 활성을 지니는 B. cereus가 부추와 재배환경시료로부터 분리되었기에 B. cereus의 오염 예방이 중요하다. 반면에 병원성 E. coli,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은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와 S. aureus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작물 재배 시 작물과 토양과 퇴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멀칭 재배와 농업용수의 관리, 사용 후 퇴비 관리 등 재배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물과 재배환경의 모니터링 연구와 작업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oodborne illness outbreaks linked to fresh produce are being increasingly reported in the United States, the EU, and Korea as well. Some of this increase may be due to improved surveillance, increase in consumption, change in consumers' habits, and complex distribution systems. Garlic c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부추의 식중독 세균의 오염도6,11)와 부추와 재배 토양의 병원성 균의 오염도9), 부추 재배 토양과 농업용수의 오염도11)와 같이 부추의 오염실태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었지만, 부추와 토양, 퇴비, 농업용수 등 재배 환경의 오염실태와 부추의 병원성 균주의 오염원 등 부추와 재배 환경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부추의 집단 재배지 중 겨울 재배 주산지인 남부지방의 3지역 총 9개 농가에서 부추와 부추재배 토양, 퇴비, 농업용수를 수집하여 식중독 병원성 미생물 오염 실태를 조사 및 파악하고 주요 오염원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추의 오염 경로는? 이와 같이 농산물에 의한 식중독 사고는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부추와 같이 생으로 먹는 신선 채소류는 식중독 세균에 의한 식중독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 부추는 토양과 접촉하여 자라는 작물로 토양서식균인 B. cereus가 재배환경 관리상태에 따라 부추로 오염될 수 있으며, 특히 미부숙 가축분 퇴비를 사용하게 되면 퇴비에 생존하고 있는 병원성 E. coli 등 식품매개 병원성세균이 부추에 오염될 수 있다9).
부추와 같은 신선 채소류의 오염원 중 미생물 오염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을 가장 우려하는 이유는? 신선 농산물은 생으로 섭취하거나 최소한의 가공 처리 후 바로 섭취하기에 미생물을 가장 우려하며 식중독 발생을 야기시킬 수 있다10). 신선 농산물인 부추는 세척 후 바로 섭취하기에 재배, 유통, 보관 단계에서 오염된 식중독 세균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미생물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부추의 정의는? 부추(Allium tuberosum Rottl)는 파속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로 백합과에 속하는 Allium속 식물로 엽경채류로 분류된다1,2). 기온이 18-20℃이고 토양 수분 80-90%, 토양 습도 80%, 일조량이 많을수록 부추의 품질이 향상되며, 부추는 연중 재배가 가능하며 생육 20일 후면 수확이 가능하고 보통 4-5회 수확을 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8. Chives, second ed. Jeonju-si, Jeollabuk-do, Korea, pp.16-17, 68-107. 

  2. An, J.M., Kim, I.R., Kim, M.G., Chang, S.Y., Lim, H.J., Park, J.O., Hwang, H.R., Park, D.H., Lee, G.H., Residual characteristic of fungicide tebuconazole in Chinese chives (Alliu, tuberosum R.)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Pestic. Sci., 23, 220-230 (2019). 

  3. Kim, S.H., Lee, K.I., Heo, S.Y., Lee, W.J., 2019. Research on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Naju-si, Jeollanam-do, Korea, pp. 3-12.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May 25). Enforcement of summer food poisoning prevention plan. Retrieved from 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43619 

  5. Jo, M.J., Jeong, A.R., Kim, H.J., Lee, N., Oh, S.W., Kim, Y.J., Chun, H.S., Koo, M,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91-97 (2011). 

  6. Bae, Y.M., Hong, Y.J., Kang, D.H., Heu, S., Lee, S.Y.,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61-168 (2011). 

  7. Food and Drug Administraion, (2020, August 13). Outbreaks of foodborne illness. Retrieved from https://www.fda.gov/food/recalls-outbreaks-emergencies/outbreaks-foodborneillness#investigations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August 31). Foodborne outbreaks. Retrivedf from https://www.cdc.gov/foodsafety/outbreaks/multistate-outbreaks/outbreaks-list.html 

  9. Yang, S., Seo, S.M., Roh, E., Ryu, J.G., Ryu, K.Y., Jung, K.S., Evalu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eek and leek cultivated soil in Korea. J. Food Hyg. Saf., 34, 534-541 (2019). 

  10. Mritunjay, S.K., Kumar, V., Fresh farm produce as a source of pathogens: a review. Res. J. Environ. Toxicol., 9, 59-70 (2015) 

  11. Park, S.G., Choi, Y.D., Lee, C.W., Jeong, M.J., Kim, J.S., Chung, D.H., Shim, W.B.,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from Korean leeks and cultivation area to establish the GAP model. J. Food Hyg. Saf., 30, 28-34 (2015).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August 13).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2.jsp?idx263 

  13. Hung, N.B., Yuu, B., Kim, W.I., Jung, G., Lee, T., Roh, E., Kim, H.J., Lee, S., Kim, S.R., Analysis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dried red pepper during production. Korean J. Food Reserv., 25, 279-287 (2018). 

  14. Hwang, J.Y., Park, J.H., Characteristics of enterotoxin distribution, hemolysis, lecithinase, and starch hydrolysis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infant formulas and ready-toeat foods. J. Dairy Sci., 98, 1652-1660 (2015). 

  15. Forsythe, S.J., 2000. The microbiology of safe food, first ed. Malden, MA, USA, pp. 78, 194.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WHO guidelines for assessing quality of herbal medicines with reference to contaminants and residues, Geneva, Switzerland, pp. 27. 

  17. Centre for Food Safety Food and Envrionmental Hgiene Department, 2014. Microbiologiclal guidelines for food for ready-to-eat food in general and specific food items, Queensway, Hong Kong, pp. 3-8. 

  18. Seol, H.R., park, H.S., Park, K.H., Park, A.K., Ryu, K.,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oods and kitchen environments in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52-260 (2009). 

  19. A. Mendez-Vilas, 2010. Current Research, Technology and Education Topics in Applied Microbiology and Microbial Biotechnology, Badajoz, Spain, pp.1175-1181. 

  20.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biological hazards on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p. in foodstuffs. The EFSA Journal, 175, 1-48 (2005). 

  21. Park, K.M., Jeong, M., Park, K.J., Koo, M., Prevalence, enterotoxin gene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raw vegetables in Korea. J. Food Prot., 81, 1590-1597 (2018). 

  22. Kim, W.I., Gwak, M.G., Jo, A.R., Ryu, S.D., Kim, S.R., Ryu, S.H., Kim, H.Y., Ryu, J.G.,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on-farm produce in Korea. J. Food Hyg. Saf., 32, 20-26 (2017). 

  2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August 13). Food Code, standards by food type. Retrieved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3_02.jsp?idx63 

  24. Health Protection Agency, 2009.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ready-to-eat foods placed on the market. London, United Kingdom, pp. 1-33. 

  25.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Risks for public health related to the presence of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p. including Bacillus thuringiensis in foodstuffs. The EFSA J., 14, 1-93 (2016). 

  26. Gil, M.I., Selma, M.V., Suslow, T., Jacxsens, L., Uyttendaele, M., Allende, A., Pre-and postharvest preventive measur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control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of fresh leafy vegetables. Crit. Rev. Food Sci. Nutr., 55, 453-468 (2015). 

  27. Kim, S.R., Lee, J.Y., Lee, S.H., Kim, W.I., Park, K.H., Yun, H.J., Kim, B.S., Chung, D.H., Yun, J.C., Ryu, K.Y.,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J. Food Hyg. Saf., 26, 289-295 (2011). 

  28. Burnett, S.L., Beuchat, L.R.,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 Microbiol. Biot., 27, 104-110 (2001). 

  29. Beecher, D.J., Wong, A.C.L., Identification of hemolysin BL-producing Bacillus cereus isolates by a discontinuous hemolytic pattern in blood agar. Appl. Environ. Microbiol., 60, 1646-1651 (1994). 

  30. Oh, S.Y., Nam, K.Y., Yoon, D.H.,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and heavy metals on kimchi cabbage by cultivation methods in Korea. J. Food Hyg. Saf., 32, 500-506 (2017). 

  31. Yeni, F., Yavas, S., Alpas, H., Soyer, Y., Most common foodborne pathogens and mycotoxins on fresh produce: a review of recent outbreaks. Crit. Rev. Food Sci. Nutr., 56, 1532-154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