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딸기에 등록된 살충제의 꿀벌에 대한 급성 및 엽상잔류독성
Evaluation of Acute and Residual Toxicity of Insecticides Registered on Strawberry against Honeybee (Apis mellifer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3, 2013년, pp.185 - 192  

안기수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윤창만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기현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남상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오만균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길하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에 등록된 52종 살충제의 꿀벌 성충에 대한 분무독성검정, 엽상잔류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무 급성독성검정은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 (IOBC)의 기준에 따라 30% 이하의 독성을 해 없음으로 분류한 결과, 딸기에 등록된 32종(flonicamid, lufenuron, novaluron, acetamiprid 3종, thiacloprid, milbemectin, acequinocyl, TBI-1, chlorfenapyr 2종, chlorfluazuron, cyenopyrafen, cyfumetofen, etoxazole, fenpyroximate, flubendiamide, flufenoxuron, hexythiazox, metaflumizone, methoxyfenozide 2종, DBB-2032, pyridalyl, spiromesifen, tebufenpyrad, teflubenzuron, acetamiprid + methoxyfenozide, acrinathrin + spiromesifen, bifenazate + spiromesifen, Cyenopyrafen + flufenoxuron)이 독성이 낮아 꿀벌에 안전하고, 20종이 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무독성검정에서 90% 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인 약제를 대상으로 엽상잔류독성을 검정하였다. 약제처리 1일후에 emamectin benzoate EC, indoxacarb SC를 제외한 모든 약제에서 100%의 사충율을 보였다. Emamectin benzoate는 약제처리 3일, idoxacarb SC는 약제처리 7일, abamectin는 약제처리 14일에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Indoxacarb WP, thiamethoxam WG, abamectin + chlorantraniliprole SC, acetamiprid + etofenprox WP, acetamiprid + indoxacarb WP, bifenthrin + clothianidin SC, bifenthrin + imidacloprid WP, bifenazate + pyridaben SC, chlorfenapyr + clothianidin SC는 31일까지 90%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여 잔류독성이 매우 긴 것으로 나타났다. 관주처리에서 thiamethoxam WG은 약제처리 28일이 지난 후에 76.9% 독성을 보인 후 31일에 50.0% 독성을 보였고, 그 이후는 독성이 없었다. Bifenthrin + clothianidin SC과 tefluthrin + thiamethoxam GR은 약제처리 24일에 각각 57.1%와 80.0%의 독성을 보였지만 그 이후에는 독성이 없었다. 분무처리에서 thiamethoxam WG와 bifenthrin + clothianidin SC는 약제처리 35일까지 100%의 살충효과를 보여 매우 높은 잔류독성을 보였다. Thiamethoxam WG, bifenthrin + clothianidin SC, bifenthrin + imidacloprid WP를 약제처리 후 7일간격으로 물을 분무 살포하고 잔류독성을 평가한 결과, thiamethoxam WG는 처리 21일까지는 100%의 잔류독성을 보였으나 28일 이후는 독성이 없었다. Bifenthrin + clothianidin SC와 bifenthrin + imidacloprid WP는 약제처리 49일까지 100%의 사충율을 보여 매우 높은 잔류독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pray toxicity and leaf residual toxicity of 52 kinds of insecticides registered for strawberry against adult honeybee Apis mellifera. According to the IOBC standard, the acute toxicity by spraying showed below 30% was classified as non-toxic. Among test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딸기의 작은뿌리파리에 등록된 thiamethoxam WG, bifenthrin + clothianidin SC, tefluthrin + thiamethoxam GR은 관주 및 입제로 처리하도록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thiamethoxam WG, bifenthrin + clothianidin SC는 다른 작물 및 해충에는 분무살포로 등록되어 있어, 농민들이 분무 살포로 딸기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딸기에 관주와 분무 처리가 꿀벌 성충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꿀벌의 잔류독성을 평가하였다. 관주처리에서 thiamethoxam WG은 약제처리 28일이 지난 후에 76.
  • 본 연구에서는 딸기 해충의 살충제로 등록되어 사용하고 있는 52종의 농약을 계통별로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 엽상 잔류독성, 사용방법에 따른 평가를 수행하여 꿀벌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꿀벌이란? 꿀벌(Apis mellifera)은 산업적으로 꿀을 비롯하여 화분, 밀랍 등 귀중한 부산물을 생산하는 매우 중요한 경제곤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양봉산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대표종이다(Kim et al., 2008).
딸기 생산의 특징은? 딸기는 화분매개곤충이 활동하지 않는 시기인 11월부터 5월까지 저온기에 개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분매개곤충인 꿀벌이나 서양뒤영벌을 투입해야 하는데(shim, 1998), 시설내에서 화분매개활동을 하는 봉군의 밀도가 낮거나 꿀벌의 활동이 떨어지면 기형과가 발생되거나 상품성이 우수한 딸기를 생산하기 어렵다(Kim et al., 2008).
꿀벌에 대한 엽상잔류독성 검정이 필수적인 이유는? 꿀벌에 대한 엽상잔류독성은 농약살포시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살충제를 식물체에 살포하였더라도 꿀벌이 약제처리된 식물체에 접촉하게 되면 약제에 영향을 받게 된다(Cho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brol, D. P. and R. S. Andotra (2001) Field toxicity of pesticides to honeybee, Apis mellifera L., foragers. Korean J. Apiculture 16:19-26. 

  2. Ahn, K. S., M. G. Oh, H. G. Ahn, C. Yoon and G. H. Kim (2008) Evaluation of toxicity of pesticides against honeybee (Apis mellifera) and bumblebee (Bombus terrestris). Korean J. Pestic. Sci. 12:382-390. 

  3. Cho, K. W., H. J. Park, C. H. Bae, Y. S. Kim, D. C. Shin, S. Y. Lee, S. H. Lee, C. K. Jung, Y. K. Park, B. S. Kim and K. S. Lee (2010) Residual toxicity of bifenthrin and imidacloprid to honeybee by foliage treatment. Korean J. Pestic. Sci. 14: 226-234. 

  4. Choi, S. Y., Y. S. Kim, M. R. Lee, H. W. Oh and B. K. Jeong (1989) Studies on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ies of pesticides to the honeybees, Apis mellifera. Korean J. Apiculture 4:85-89. 

  5. Gulati, R., B. Kumari and S. K. Sharma (2004) Field residual toxicity of some insecticides to honeybee (Apis mellifera L.) and residues of common insecticides from apiary honey. Korean J. Apiculture 19:51-56. 

  6. Iwasa, T., N. Motoyama, J. T. Ambrose and R. M. Roe (2004) Mechanism for the differential toxicity of neonicotinoid insecticides in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Crop Protection 23:371-378. 

  7. KCPA (2012) User's manual of pesticides.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8. Kim, B. S., Y. K. Park, Y. H. Lee, M. H. Jeong, A. S. You, Y. J. Yang, J. B. Kim, O. K. Kwon and Y. J. Ahn (2008) Honeybee acute and residual toxicity of pesticides registered for strawberry. Korean J. Pestic. Sci. 12:229-235. 

  9. Kim, B. S., Y. J. Yang, Y. K. Park, M. H. Jeong, A. S. You, K. H. Park and Y. J. Ahn (2009) Risk assessment of fipronil on honeybee (Apis mellifera). Korean J. Pestic. Sci. 13:39-44. 

  10. SAS Institute (1990)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 SAS Institute: Cary, NC 

  11. Shim, J. H. and Y. H. Kim (2001) Effect of insecticides on the activity of esterases in the honey bees (Apis cerana F. and A. mellifera L.). Korean J. Apiculture 16:9-18. 

  12. Shim, Y. G. (1998) Influence of honeybees (Apis mellifera) on ripening and induction of pollination activity. Doctoral Thesis f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