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자-차량 충돌사고 특성분석 방법론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ethodologies for Characterizing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1 no.6, 2013년, pp.53 - 66  

최새로나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정은비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운전자의 보행자-차량 충돌사고 감소를 목적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차량 사고 발생 특성 및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분석방법론을 활용한 보행자 교통사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모형과 휴리스틱모형 적용시 각 기법에 따른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보행자 사고분석시 분석목적에 적합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발생한 경기도 교통사고자료(2008-2010년)를 활용하여 보행자 교통사고의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모형인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휴리스틱모형인 서포트 벡터 머신, 의사결정나무를 적용하여 교통사고 심각도 분류를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보행자 교통안전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국내 보행자-차량 충돌사고 분석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ethodologies to predict the injury severity of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Methodologies to be evaluat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include Binary Logistic Regression(BLR), Ordered Probit Model(OPM), Support Vector Machine(SVM) and Decision Tree(D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사고 심각도 분류모형을 개발 연구는 어떠한 것을이 있었는가? 교통안전분석에서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연구사례는 교통사고 심각도 분류모형을 개발 및 타 기법과의 비교 분석으로 구분된다. 사고 심각도 분류모형 개발 연구는 분류트리를 적용하여 보행자의 교통사고 안전 분석기법의 향상 및 개발을 위해 충돌패턴의 상호의존성과 비유사성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Montella et al., 2011)와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CART)를 이용 하여 편도 1차로의 교외도로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를 분석(Kashani et al., 2009)한 연구가 있었다. 또한, CART를 이용하여 교통사고시 적절한 사고의 대응을 위해 성인과 미성년자의 구분 및 사고 심각도를 구분하는 연구도 수행되었다 (Scheetz et al.
교통안전분석에서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연구사례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교통안전분석에서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연구사례는 교통사고 심각도 분류모형을 개발 및 타 기법과의 비교 분석으로 구분된다. 사고 심각도 분류모형 개발 연구는 분류트리를 적용하여 보행자의 교통사고 안전 분석기법의 향상 및 개발을 위해 충돌패턴의 상호의존성과 비유사성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Montella et al.
기존의 보행자 사고분석은 무엇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는가? 기존 보행자 사고분석은 도로 환경, 차량특성, 보행자 특성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도로 환경 측면에서는 도로 종류, 즉 보행자 사고가 발생한 위치와 사고심각도 간의 관계를 도출하는 연구가 수행되었고(Al-Ghamdi, 2002), 차량 특성과 관련하여 보행자 사고는 차량과 충돌시 차량의 무게가 클수록 사고 심각도 증가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출되었다(Ballesteros, 2004; Zajac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l-Ghamdi A. S. (2002), Pedestrian-vehicle Crashes and Analytical for Statified Contingency Table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34, 205-214. 

  2. Ballesteros M. F., Dischinger P. C., Langenberg P. (2003), Pedestrian Injuries and Vehicle Type in Maryland, 1995-1999,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6, 73-81. 

  3. Boonmee S., Tangamchit P. (2009), Portable Reckless Driving Detection System, Electrical Engineering/Electronics, Computer,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ECTI-CON 2009,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01. 

  4. Choi S., Lee G. Y., Oh C. (2012), Prioritizing Freeway Segments for Variable Speed Limit (VSL) Operations based on Traffic Safety, J. Korean Soc. Transp., 30(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57-70. 

  5. Christoforou Z., Cohen S., Karlaftis M. G. (2010), Vehicle Occupant Injury Severity on Highway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riginal Research Article,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2(6), 1606-1620. 

  6. De Ona J., Lopeza G., Abellanb J. (2012), Extracting Decision Rules From Police Accident Reports Through Decision Tre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50, 1151-1160. 

  7. Eriksson M., Papanikolopoulos N. P. (2001), Driver fatigue: a Vision-based Approach to Automatic Diagno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9, 9(6), 399-413. 

  8. EU, Considers Introducing Airbags for Pedestrians (2006), Bonn, Germany: Deutsche Welle, http://www.dwworld.de/dw/article. 

  9. Froming R., Schindler V., Kuhn M. (2006), Requirement Engineering for Active Safety Pedestrian Protection Systems Based on Accident Research, Advanced Microsystem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2006, New York: Springer-Verlag, Apr. 25-26, 79-106. 

  10. Han I. H., Yang K. S. (2007), Recognition of Dangerous Driving Using Automobile Black Boxes, J. Korean Soc. Transp., 25(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49-160. 

  11. Hels T., Orozova-Bekkevold I. (2007), The Effect of Roundabout Design Features on Cyclist Accident Rat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300-307. 

  12. Hong J. Y., Kim K. T., Lee S. B. (2011), Developing the Accident Injury Severity on a Field of Construction Work Using Ordered Probi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6(2), 89-98. 

  13. Hua Z., Zhang B. (2006), A Hybrid Support Vector Machines and Logistic Regression Approach for Forecasting Intermittent Demand of Spare Parts, Applied Mathematics and Computation, 181, 1035-1048. 

  14. Jeong C. W. (2007), A Study on Impactive Factors about Major Causes In Freeway Accidents, Police Journal, 7(1), 220-247. 

  15. Joksch H. C. (2000), Vehicle Design Versus Aggressivity, USDOT, HS 809, 194. 

  16. Kashani A. T., Shariat-Mohaymany A., Ranjbari A. (2011), Analysis of the Traffic Injury Severity on Two-lane, Two Way Rural Roads Based on Classification Tree Models, Safety Science, 49, 1314-1320. 

  17. Kim J. H., Lee S. B., Kim D. H., Hong J. Y.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ation of Designated Lane Usage and Accident Severity on Freeways, J. Korean Soc. Transp., 30(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19-127. 

  18. Kockelman K. M., Kweon Y. J. (2001), Driver Injury Severity : An Applocation of Ordered Probit Model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8, 313-321. 

  19. Lemp J. D., Kockelman K. M., Unnikrishnan A. (2011), Analysis of Large Truck Crash Severity Using Heteroskedastic Ordered Probit Models Original Research Articl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3, 370-380. 

  20. Li X., Lord D., Zhang Y., Xie Y. (2007), Predicting Motor Vehicle Crashe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Models, TRB 87th Annual Meeting. 

  21. Li Z., Liu P., Wang W., Xu C. (2012),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Models for Crash Injury Severity Analysi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5, 478-486. 

  22. Lim H. S., Jeong E. B., Oh C., Gang G. P. (2011), Detection of Unsafe Zigzag Driving Maneuvers Using a Gyro Sensor,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0(2), 42-54. 

  23. Mallick D. (2009), Marginal and Interaction Effects in Ordered Response Models, School of Accounting, Deakin University, Economics and Finance, Burwood (Technical report). 

  24. Montella A., Aria M., D'Ambrosio A., Mauriello F. (2011), Data-Mining Techniques for Exploratory Analysis of Pedestrian Crashe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237, 107-116. 

  25. Moon S. R., Lee Y. I. (2011), Analysis of Traffic Crash Severity on Freeway Using Hierarchical Binomial Logistic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3(4), 199-209. 

  26. Oh J. T., Jo J. H., Lee S. Y., Kim Y. S. (2008), Development of a Data-logger Classifying Dangerous Drive Behavior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7(3), 15-28. 

  27. Park B. H., Yang J. M., Kim J. Y. (2009), Logistic Regression Accident Models by Location in the Case of Cheong-ju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1(2), 17-25. 

  28. Park J. H., Oh C., Kang G. P. (2011), Assessment of Freeway Crash Risk Using Probe Vehicle Accelerome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3(2), 49-56. 

  29. Park J. H., Oh C., Namkoong S. (2008), Estimation of Freeway Accident Likelihood Using Real-time Traffic Data, J. Korean Soc. Transp., 26(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57-166. 

  30. Park J. T., Choi B. B., Lee S. B.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for the Elderly Pedestrians on Rural Highways, J. Korean Soc. Transp., 28(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55-162. 

  31. Roudsari B. S., Mock C. N., Kaufman R., Grossman D., Henary B. Y., Crandall J. (2004), Pedestrian Crashes: Higher Injury Severity and Mortality Rate for Light Truck Vehicles Compared With Passenger Vehicles, Injury Prevention, 10, 154-158. 

  32. Scheetz L. J., Zhangb J., Kolassa J. (2009), Classification Tree Modeling to Identify Severe and Moderate Vehicular Injuries in Young and Middle-aged Adults, Artifical Intelligence in Medicine, 45, 1-10. 

  33. Sut N., Simsek O. (2011), Comparison of Regression Tree Data Mining Methods for Prediction of Mortality in Head Injury,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8, 15534-15539. 

  34. Sze N. N., Wong S. C. (2007), Diagnostic Analysis of the Logistic Model for Pedestrian Injury Severity in Traffic Crash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1267-1278. 

  35. Tarko A., Azam M. S. (2011), Pedestrian Injury Analysis With Consideration of the Selectivity Bias in Linked Police-hospital Dat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3(5), 1689-1695. 

  36. Wang K. C. P., Hou Z., Gong W. (2009), Road Sign Classification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SVM), TRB 2009 Annual Meeting. 

  37. Yoon P., Kang H., Jung H. G. (2006), Next Generatio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s, Auto Journal, 28(4), 28-39. 

  38. Yu R., Abdel-Aty M. (2013), Utilizing support vector machine in real-time crash risk evaluation,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51, 252-259. 

  39. Zajac S. S., Ivan J. N. (2003), Factors Influencing Injury Severity of Motor Vehicle-crossing Pedestrian Crashes in Rural Connecticut,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5, 369-3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