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N GHS와 위험물안전관리법상의 위험물질 분류기준 비교 및 선진화 방안 연구
Advancement Plan on Hazardous Material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Criteria in UN GHS and Safety Control of Dangerous Substances Act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17 no.5, 2013년, pp.42 - 50  

이봉우 (명지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기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박정필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신동일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속한 산업발전과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약 10만 여종의 산업용 물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2,000여종의 신규물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인류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물질들은 유해, 위험성 등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7대 화학제품 생산국가로, 활발한 수출 입을 통해 국가부흥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REACH 및 GHS와 같은 화학물질 안전관리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증대되어 그에 따른 효율적인 화학물질 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에 대한 국내, UN GHS 물리화학적 위험성 분류기준, 표지 및 위험성 평가 시험방법, 위험물안전관리법 등에서 정한 분류정보의 차이점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국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택가능방식(building block approach)으로 GHS제도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소비자에게 화학물질의 통일화된 위험성 정보를 제공하여 산업체가 화학물질을 해외로 수출 입 하는데 무역장벽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apid change of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ore than 100,000 industrial chemicals are being used and 2,000 new materials are developed every year. Chemical products have had favorable influence on our daily life and contributed very much to the prosper of hum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HS제도는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을 크게 물리화학적 위험성, 건강 및 환경 유해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들의 위험성을 사용자 등에게 MSDS 등으로 전달하여 사전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급 상황 시에는 정확한 대응을 통하여 위험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화학물질 유해위험성에서 물리화학적 위험성 분야에 대한 국내 화학물질 분류기준 및 표지 내용의 통일화를 위한 정책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HS제도 도입의 추진과정과 GHS 지침서를 기준으로 국내 물리화학적 위험성 분류기준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위험성 분류기준의 선진화 방안을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가스류, 에어로졸 등을 제외한 위험물안전관리법과 관련된 10개 위험물 분류(class)에 대해서만 표지를 나타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제운송규칙(UN-RTDG)[3], 화학물질의 분류, 표지의 국제표준화제도(GHS)는 UN 스위스 제네바 유럽본부에서 연 2회씩 지속적인 국제간 협의를 통하여 안전관리의 향상과 진압 대응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회의의 주목적은 Fig. 1과 같이 위험물질의 분류 표지를 단일화하여 사용자 등에게 통일된 분류와 표지를 전달하고, 그를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유사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에 있다. 또한 화학물질의 국제무역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들의 안전한 사용, 수송 및 저장[4]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화학물질의 분류 • 표지의 GHS가 개발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HS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GHS제도는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을 크게 물리화학적 위험성, 건강 및 환경 유해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들의 위험성을 사용자 등에게 MSDS 등으로 전달하여 사전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급 상황 시에는 정확한 대응을 통하여 위험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GHS제도 채택 시 이점은 무엇인가? GHS제도가 채택되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유해위험성 정보전달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인류의 건강과 환경이 보호되며, 기존 시스템이 없는 국가들에게는 안정된 기본 안전관리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화학물질을 시험하고 평가할 필요성이 감소하게 되며, 유해성이 국제적으로 적정하게 평가되고 확인됨에 따라 화학물질의 국제교역이 용이하게 된다.
GHS 제도로 새로운 심벌을 도입하는 것은 어떠한 효과를 일으키는가? 이런 기존 심벌과 GHS 심벌간의 상이성으로 인해 현재의 용기 및 포장의 라벨링이 변경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항은 산업체에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키지만 표지의 통일화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수출입 비용이 감소하여 비용이익 평가 시 확실한 이익을 제공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United Nation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Fourth Revised Ed., (2012) 

  2. NFPA, Fire Protection Handbook, (2005) 

  3. Recommendation of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Manual of Tests and Criteria, Fourth Revised Ed., (2009) 

  4. Korea Maritime Dangerous Goods Inspection Center(KOMDI),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 2012. 

  5.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Set Up and Activate for Material Safety Data Sheets based on Globally Harmonized System, (2010) 

  6.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Classification of Chemicals and Preparation of Chemical Information Cards According to GHS (II), (2007) 

  7.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Classific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n Conformity to the Globally Harmonized System and Authorizing MSDS Using GHS Classification, (2011) 

  8.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38038&efYd20130323#0000 

  9. Korea institute of Fire Industry & Technology (KFI), Development of global assessment techniques and standardization for hazardous materials, (2009) 

  10. Lee, B.W., Park, C.W., and Song, H.,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azardous Properties of the Oxidizing Solids,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3(5), 9-16, (2009) 

  11. Carlit Co. ltd, Test Method of Hazardous Materials, (2008) 

  12.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ITECH), REACH Planation Book, (2009) 

  1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UN Dangerous Goods Model Regulations, (2012) 

  14. Mayer, E., Chemistry of Hazardous Materials, (2011) 

  15.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The Study fo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y of Noxious and Hazardous Substance,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