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환자의 통증완화에 미친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Reduce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5, 2013년, pp.658 - 668  

오복자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pain in cancer patients. Methods: Eight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12 in Korean and te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2 in English met the inclusion criteria with a total of 1539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동안 축적된 심리사회적 중재연구의 효과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임상실무의 근거기반의 간호중재 자료를 제시해 주는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간호영역에서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과 수행은 시작단계에 불과하므로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중재의 축적된 연구들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개관하는 메타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그 동안 국내에서 지압중재, 발반사마사지, 영적 중재 등 증상관리에 초점을 둔 대체보완요법과 교육중재에 대한 메타분석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Jang & Park, 2011; Kim & Oh, 2011; Oh & Kim, 2012) 심리사회적 중재의 통증효과를 메타 분석한 연구는 없다.
  • 본 연구는 국외 2002년 1월-2012년 12월, 국내 1980년 1월-2012년 12월까지 발표된 18편의 심리사회적 중재 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암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파악하고, 심리사회적 중재의 신체적 효과에 대한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18편의 심리사회적 중재연구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하위그룹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재유형과 측정도구에 따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중재연구가 암환자의 통증에 미친 효과 크기를 메타분석 하는 것으로, 첫째, 검색과정을 통해 선별된 심리사회적 중재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심리사회적 중재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와 적용방법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암환자의 통증에 대한 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는 메타분석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사회적 중재에는 어떤것들이 해당되는가? 이러한 심리사회적 중재는 대상자와 전문가간의 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을 통해 이루어지며(Galway et al., 2012), 심리교육,인지행동치료,지지-표현치료등이이에해당된다(Kim& I, 2008).심리교육중재는 질병이나 증상과 관련된 정보를 교육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강점, 자원, 대처기술을 강화시켜 건강증진을 촉진하는데 목적을 둔 것으로 통증관리 교육의 경우 진통제 사용법과 통증완화를 위해 의료진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심리교육중재란 무엇인가? , 2012), 심리교육,인지행동치료,지지-표현치료등이이에해당된다(Kim& I, 2008).심리교육중재는 질병이나 증상과 관련된 정보를 교육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강점, 자원, 대처기술을 강화시켜 건강증진을 촉진하는데 목적을 둔 것으로 통증관리 교육의 경우 진통제 사용법과 통증완화를 위해 의료진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교육한다.인지행동중재는 왜곡된 인지, 정서 및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문제해결을 위한 대처기술을 학습하는데 초점을 둔 체계적인 심리적 접근으로 암환자가 통증을 해석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통증 조절을 위한 근육이완요법 등의 기술을 학습시키는(Gorin et al.
암환자의 통증을 줄이기 위해 어떠한 방법이 사용되는가? 이러한 암환자의 통증은 우울과 불안 등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데(Montgomery & Bovbjerg 2004), 통증이 있으면 정서적으로 불안하고 우울하며 불면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피로하고 통증역치가 감소되어 증상이 악화된다. 통증에 대한 민감도는 개인의 기분, 정서 상태에 따라 다양하므로 미국통증학회와 보건복지부의 암성통증관리 지침에서는 통증조절을 위해 약물치료와 더불어 비약물적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Kwon, 2004; as cited in Gorin et al., 2012). 통증에 대한 약물치료는 흔히 비마약성 진통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중등도 및 심한 통증에마약성진통제를단계적으로적용하지만암환자의통증을완전히제거시키지못하고,때로는부작용을초래한다(Golde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 Devine, E. C. (2003).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s on pain in adults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30(1), 75-89. http://dx.doi.org/10.1188/03.onf.75-89 

  3. Egger, M., Smith, G. D., Schneider, M., & Minder, C. (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15(7109), 629-634. 

  4. Fawzy, F. I., Fawzy, N. W., Arndt, L. A., & Pasnau, R. O. (1995). Critical review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in cancer car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2(2), 100-113. 

  5. Galway, K., Black, A., Cantwell, M., Cardwell, C. R., Mills, M., & Donnelly, M. (2012).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wellbeing for recently diagnosed cancer patien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CD007064.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7064.pub2 

  6. Golden, R. N. (2004). Making advances where it matters: Improving outcomes in mood and anxiety disorders. CNS Spectrums, 9(6 Suppl 4), 14-22. 

  7. Gorin, S. S., Krebs, P., Badr, H., Janke, E. A., Jim, H. S., Spring, B., et al. (2012). Meta-analysi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reduce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0(5), 539-547. http://dx.doi.org/10.1200/jco.2011.37.0437 

  8. Higgins, J. P., Thompson, S. G., Deeks, J. J., & Altman, D. G. (2003).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27(7414), 557-560. http://dx.doi.org/10.1136/bmj.327.7414.557 

  9. Hodges, L. J., Walker, J., Kleiboer, A. M., Ramirez, A. J., Richardson, A., Velikova, G., et al. (2011). What is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A metareview and practical proposal. Psycho-Oncology, 20(5), 470-478. http://dx.doi.org/10.1002/pon.1780 

  10. Jang, S. Y., & Park, J. S. (2011). The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acupressure for nausea and vomiting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2), 116-126. http://dx.doi.org/10.5388/jkon.2011.11.2.116 

  11. Jassim, G. A., Whitford, D. L., & Grey, I. M. (2010).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women with non-metastatic breast cancer (Protoco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0, CD008729.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8729 

  12. Kim, J. N., & I, R. (2008). A review of research on the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the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3(2), 329-357. 

  13. Kim, M. Y., & Oh, P. J. (2011).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n foot-reflexo-massage for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2), 127-135. http://dx.doi.org/10.5388/jkon.2011.11.2.127 

  14. Kim, S. Y., Park, J. E., Seo, H. J., Seo, H. S., Song, H. J., Shin, C. M.,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15. Kim, Y. H., Kwon, I. K., Kim, J. H., Seol, M. E., Jun, M. H., Ham, Y. H., et al. (2011). Cancer symptom management. Seoul: Hyunmoonsa. 

  16. Korean Society Pharmacoepidemiology and Risk Management. (2011). Pharmacoepidemiolog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7. Kwon, I. G. (2004, June 1). Psychosocial care for pain in cancer patients.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continuing education: Spring 2004, Seoul. 

  18. Min, Y. C., & Oh, P. J. (2011).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cancer pai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1), 83-92. http://dx.doi.org/10.5388/jkon.2011.11.1.83 

  19. Montgomery, G. H., & Bovbjerg, D. H. (2004). Presurgery distress and specific response expectancies predict postsurgery outcomes in surgery patients confronting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3(4), 381-387. http://dx.doi.org/10.1037/0278-6133.23.4.381 

  20.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3). Survival rate: Five-year cancer relative survival rates. Retrieved January 30, 2013,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302000000 

  21. Oh, P. J., & Choi, H. J. (2012). The effect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on distress,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of oncology patients: A meta-analysis. Asian Oncology Nursing, 12(4), 257-266. http://dx.doi.org/10.5388/aon.2012.12.4.257 

  22. Oh, P. J., & Kim, Y. H. (2012). Meta-analysis of spiritual intervention studies 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outc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6), 833-842.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833 

  23. Oh, S. S. (2009).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Konkuk University Press. 

  24. Osborn, R. L., Demoncada, A. C., & Feuerstein, M. (2006).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Meta-analys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36(1), 13-34. 

  25. Raingruber, B. (2011). The effectivenes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with cancer patient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2011). ISRN Nursing, 2011, 638218. http://dx.doi.org/10.5402/2011/638218 

  26. Ranchor, A. V., Fleer, J., Sanderman, R., van der Ploeg, K. M., Coyne, J. C., & Schroevers, M. (2012).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ancer survivors and cancer patients in the palliative phase (Protoco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9511.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9511 

  27. Rehse, B., & Pukrop, R. (2003).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quality of life in adult cancer patients: Meta analysis of 37 published controlled outcome studi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0(2), 179-186. 

  28. Schwarzer, G. (2013). Meta: Meta-analysis with R. Version 3.0-1. Retrieved March 20, 2013, from http://cran.r-project.org/web/packages/meta/index.html 

  29. Sutton, A. J., Duval, S. J., Tweedie, R. L., Abrams, K. R., & Jones, D. R. (2000). Empirical assessment of effect of publication bias on meta-analyse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20(7249), 1574-1577. 

  30. Tatrow, K., & Montgomery, G. H. (2006).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for distress and pain in breast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9(1), 17-27. http://dx.doi.org/10.1007/s10865-005-903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