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환자에게 적용한 심리사회적 중재가 코티졸과 면역기능에 미친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Cortisol and Immune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ancer: A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4, 2014년, pp.446 - 457  

오복자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장은수 (삼육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cortisol and immune response in adult patients with cancer. Methods: MEDLINE via PubMed, Cochrane Library CENTRAL, EMBASE, CINAHL and domestic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Twenty controlled trials (11 rand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 연구는 비록 중재종류에 따른 이질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으나 연구들간의 임상적 특징(예를 들면 진단명 등)에서 비롯되는 이질성을 조절하지 않고 분석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축적된 암 환자 대상의 심리사회적 중재 연구를 이질성을 평가한 후 하위그룹별 분석을 통해 조정하고 면역기능과 신경내 분비계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사회적 중재의 생물학적 효과를 제시하여 신경면역모델의 이론을 강화시키고 추후 심리사회적 중재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 본 연구는 2013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20편의 연구(총 862명)를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 환자의 코티졸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생물학적인 효과를 제시하여 심리사회적 간호중재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심리사회적 중재는 암 환자의 코티졸 분비를 감소시키고 면역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중재연구가 암 환자의 신경내분비계와 면역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메타분석 하는 것으로, 첫째, 검색과정을 통해 선별된 심리 사회적 중재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심리 사회적 중재가 코티졸에 미친 효과 크기를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암환자의 코티졸분비와 면역에 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크기를 분석하는 메타 분석 연구이다.
  •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삶의 질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결론은 일관성 있게 제시되고 있으나, 암 환자의 면역기능 등 생물학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일관된 결론이 없다[19].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에 반응하여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면역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암 환자에게 심리사회적 중재를 제공하여 면역과 코티졸의 효과를 제시한 연구는 국내의 경우 2013년까지 7편, 국외는 13편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 적 디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오늘날 의료기술의 발달로 암 생존율이 상승했으나 암은 여전히 잠재적으로 생명에 위협적인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고 치료의 부작 용 등으로 암 환자는 심리적 디스트레스(distress)를 경험한다. 심리 적 디스트레스는 암 환자가 정신적, 정서적으로 겪는 고통을 말하 는 것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 뿐 아니라 암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1]. 이러한 암 환자가 경험하는 디스트레스와 높은 스트레스는 시상-뇌하수체-부신피질 축과 교감신경부신수질 축을 활성화시켜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를 지속시키고 이로 인한 면역반응의 교란이 발생된다[2].
인지행동요법, 심리교육, 지지-표현(경험-실존) 치료란 무엇인가? 심리사회적 중재는 대상자와 전문가간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 는 비약물적 중재로 인지행동요법, 심리교육, 지지-표현(경험-실존) 치료 등으로 크게 분류된다[4]. 인지행동요법은 왜곡된 인지, 정서 및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실제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 는이완요법등을학습하는데초점을두며심리사회적중재에서가 장 흔히 적용된다[5]. 심리교육 중재는 질병이나 증상과 관련된 정 보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고 대상자의 강점, 자원, 대처기술을 강화시키는 포괄적인 중재로 정의되며[6], 지지-표현 치료는 대상자의 정서를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지지망을 형성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7]. 이러한 심리사회적 중재의 치료적 요소는 암 관련 스트레스가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시켜 면역기능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으며 심리사회적 중재 이후 수행하는 건강행위가 긍정적인 결과 를 초래하는데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8].
심리사회적 중재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심리사회적 중재는 대상자와 전문가간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 는 비약물적 중재로 인지행동요법, 심리교육, 지지-표현(경험-실존) 치료 등으로 크게 분류된다[4]. 인지행동요법은 왜곡된 인지, 정서 및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실제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 는이완요법등을학습하는데초점을두며심리사회적중재에서가 장 흔히 적용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hrock D, Palmer RF, Taylor B. Effects of a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survival among patients with stage I breast and prostate cancer: A matched case-control study.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1999;5(3):49-55. 

  2. Kiecolt-Glaser JK, Glaser R, Cacioppo JT, MacCallum RC, Snydersmith M, Kim C, et al. Marital conflict in older adults: Endocrinological and immunological correlates. Psychosomatic Medicine. 1997;59(4):339-349. 

  3. Kim CJ, Hur HK, Kang DH, Kim BH.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stress and coping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1):169-178. 

  4. Kim JN, I R. A review of research on the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the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8;13 (2):329-357. 

  5. Jassim GA, Whitford DL, Grey IM.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women with non-metastatic breast cancer.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0;10:CD008729.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8729 

  6. Fawzy FI, Fawzy NW, Arndt LA, Pasnau RO. Critical review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in cancer car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95;52(2):100-113. 

  7. Spiegel D, Butler LD, Giese-Davis J, Koopman C, Miller E, DiMiceli S, et al. Effects of supportive-expressive group therapy on survival of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A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Cancer. 2007;110(5):1130-1138. http://dx.doi.org/10.1002/cncr.22890 

  8. Spiegel D, Stroud P, Fyfe A. Complementary medicine.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998;168(4):241-247. 

  9. Oh PJ, Lee E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sychological distress, self car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4):377-388. 

  10. Sheard T, Maguire P. The effect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Results of two meta-analyses. British Journal of Cancer. 1999;80(11):1770-1780. http://dx.doi.org/10.1038/sj.bjc.6690596 

  11. Osborn RL, Demoncada AC, Feuerstein M.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Meta-analys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2006;36(1):13-34. 

  12. Miller GE, Cohen S.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nd the immune system: A meta-analytic review and critique. Health Psychology. 2001;20(1):47-63. 

  13. Liberati A, Altman DG, Tetzlaff J, Mulrow C, Gøtzsche PC, Ioannidis JP, et al.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09;339:b2700. http://dx.doi.org/10.1136/bmj.b2700 

  14.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on HJ,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15.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0.0 [Internet]. Oxford,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08 [cited 2008 February]. Available from: www.cochranehandbook.org. 

  16. Lee J.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 2008;23(6): 361-378. http://dx.doi.org/10.3803/jkes.2008.23.6.361 

  17. Oh SS.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Kon-Kuk University Press; 2002. 

  18. Chan CL, Ho RT, Lee PW, Cheng JY, Leung PP, Foo W,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using the psychophysiological framework for Chinese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06;24(1):3-26. http://dx.doi.org/10.1300/J077v24n01_02 

  19. Chow E, Tsao MN, Harth T. Does psychosocial intervention improve survival in cancer? A meta-analysis. Palliative Medicine. 2004;18(1):25-31. 

  20. Ranchor AV, Fleer J, Sanderman R, Van der Ploeg KM, Coyne JC, Schroevers M.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ancer survivors and cancer patients in the palliative phase (Protocol).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2;1:CD009511.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9511 

  21. McGregor BA, Antoni MH, Boyers A, Alferi SM, Blomberg BB, Carver CS. Cognitive-behavioral stress management increases benefit finding and immune function among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4;56(1):1-8. http://dx.doi.org/10.1016/s0022-3999(03)00036-9 

  22. Andersen BL, Kiecolt-Glaser JK, Glaser R. A biobehavioral model of cancer stress and disease course. The American Psychologist. 1994;49 (5):389-404. 

  23. Christensen AJ, Edwards DL, Wiebe JS, Benotsch EG, McKelvey L, Andrews M, et al. Effect of verbal self-disclosure on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Moderating influence of cynical hostility. Psychosomatic Medicine. 1996;58(2):150-155. 

  24. Chung CW, Lee S, Hwang SW, Park EH. Systematic review of exercise effects on health outcome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49-159.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5 

  25. Kim KS, Kim YS, Choi KO, Hyun KS, Yeun EJ, Kim SY, et al. Medicalsurgical nursing. 7th ed. Paju: Soomoonsa; 2012. 

  26. Bakke AC, Purtzer MZ, Newton P. The effect of hypnotic-guided imager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mmune function in patients with prior breast cancer.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2;53(6):1131-1137. 

  27. Taylor EJ. Spiritual care: Nurs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2. 

  28. Lee SY, Lee EE. Korean Americans' beliefs about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sian Nursing Research. 2013;7(2):45-52. http://dx.doi.org/10.1016/j.anr.2012.10.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