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 변화와 영향요인
Changes in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in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Radioactive Iodine Remnant Abl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6, 2013년, pp.801 - 811  

유선희 (서울아산병원 핵의학팀)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changes in Quality of life (QOL)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undergoing Radioactive Iodine remnant ablation (RAI). Methods: Data were collected longitudinally 3 times for 6 months (2 weeks post-surgery, post RAI, 3 months post RAI) in a hospital loc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 문화적 환경이 다른 국내에서는 갑상선암 환자들이 느끼는 삶의 질 정도가 국외 선행 연구와 다를 수 있고, 특히, 수술 후, 그리고 방사성요오드 치료 동안 발생하는 다양한 신체증상인 생리적 요인과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적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부터 방사성요오드 치료 3개월까지의 신체증상,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신체증상, 불안,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 하였다.
  • 본 연구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부터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3개월까지 시기별 신체증상,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변화와 삶의 질 영향요인을 조사한 종적인 연구로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요구에 맞는 간호서비스 및 중재전략에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2주 후부터 방사성요오드 치료 3개월 후까지 신체증상과 삶의 질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피로와 우울은 지속적으로높아 삶의 질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 본 연구는 갑상선전절제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의 방사성요오드 치료 과정 전후의 신체증상,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변화를 파악하고, 이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갑상선전절제 수술 2주 후부터 방사성요오드 치료 3개월 후까지 총 6개월 간 갑상선암 환자의 신체증상,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변화를 조사하였을 뿐 아니라 삶의 질 영향 요인이 각 시기별로 차이가 있음을 밝혀 추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의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고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I-131 방사성 동위원소 80mCi 또는 150mCi를 경구로 복용)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를 총 6개월간(수술 2주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방사성요오드 치료 3개월 후) 신체증상,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변화와 삶의 질 영향요인을 조사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적 연구로 신체증상, 불안, 우울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앙 림프절제술 환자의 삶의 질이 근치적 림프절제술 환자보다 낮은 것은 신체증상과 심리적요인 두 가지 이유에 기인할 수 있는데, 두 가지 이유는 무엇인가? Almeida 등의 연구는 횡단적 조사 방법으로 치료시기에 따른 두 군의 차이를 알 수 없으나 본 연구 결과, 중앙 림프절제술 환자의 삶의 질이 근치적 림프절제술 환자보다 낮은 것은 신체증상과 심리적요인 두가지 이유에 기인할 수 있다. 첫째, 방사성요오드 치료 3개월 후 중앙 림프절제술 환자는 신체증상인 속쓰림(p =.040), 피로(p =.005), 소화불량 (p=.049)이 근치적 림프절제술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속쓰림(r = -.29, p =.004), 피로(r = -.62, p<.001), 소화불량(r = -.41, p<.001)은 삶의 질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중앙 림프절제술 환자의 삶이 질이 근치적 림프절제술 환자의 삶의 질보다 낮았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심리적 요인인 우울, 불안이 중앙 림프절제술 군이 더 높았으며, 우울과 불안 또한 삶의 질 영향요인이었다. 이는 Lee, J.I. 등(2010)이 우울, 불안이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임을 보고한 것과 같은 결과이며, 본 연구에서도 우울(54.7%), 불안(0.4%)이 치료 3개월 후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군 간의 삶의 질의 차이는 속쓰림, 피로, 소화불량의 신체증상과불안,우울의 심리증상이 함께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갑상선암 환자는 어떤 문제를 겪는가? , 2006). 갑상선암 환자는 외부와 격리되어 치료받는 특수환경으로 인해 우울, 불안, 고립감을 경험하며(Stajduharet al., 2000), 갑상선암 환자의 피로, 불안,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usson et al., 2013).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 2006), 치료 과정 중 수술 후 부작용으로 수술 부위통증, 목소리변화,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상을 겪고(Dieudonne, Gomola, Bonnichon, & Ozier, 2001; Lombardi et al., 2009; Pfleiderer, Ahmad, Draper, Vrotsou, & Smith, 2009),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부작용으로 피로, 부종, 타액선염, 구강건조증, 미각변화, 위염, 성대마비 등을 경험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Van Nostrand, 2009). 선행 연구 결과 방사성요오드 치료과정 중 발생하는 신체증상들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Mendoz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meida, J. P., Vartanian, J. G., & Kowalski, L. P. (2009). Clinical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initia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s. Archives of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 135(4), 342-346. http://dx.doi.org/10.1001/archoto.2009.16 

  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 Erlbaum Associates. 

  3. Cooper, D. S., Doherty, G. M., Haugen, B. R., Kloos, R. T., Lee, S. L., Mandel, S. J., et al. (2006).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16(2), 109-142. http://dx.doi.org/10.1089/thy.2006.16.ft-1 

  4. Dieudonne, N., Gomola, A., Bonnichon, P., & Ozier, Y. M. (2001). Prevention of postoperative pain after thyroid surgery: A double-blind randomized study of bilateral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s. Anesthesia and Analgesia, 92(6), 1538-1542. 

  5. Dingle, I. F., Mishoe, A. E., Nguyen, S. A., Overton, L. J., & Gillespie, M. B. (2013). Salivary morbidity and quality of life following radioactive iodine for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148(5), 746-752. http://dx.doi.org/10.1177/0194599813479777 

  6. Filipovic B. F., Randjelovic, T., Ille, T., Markovic, O., Milovanovi B., Kovacevic, N., et al. (2013). Anxiety, personality traits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suffering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4(1), 83-86. http://dx.doi.org/10.1016/j.ejim.2012.06.017 

  7. Hoftijzer, H. C., Heemstra, K. A., Corssmit, E. P., van der Klaauw, A. A., Romijn, J. A., & Smit, J. W. (2008). Quality of life in cured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3(1), 200-203. http://dx.doi.org/10.1210/jc.2007-1203 

  8. Husson, O., Nieuwlaat, W. A., Oranje, W. A., Haak, H. R., van de Poll-Franse, L. V., & Mols, F. (2013). Fatigue among short- and long-term thyroid cancer survivors: Results from the population-based PROFILES registry. Thyroid, 23(10), 1247-1255. http://dx.doi.org/10.1089/thy.2013.0015 

  9. Jang, G. J., Park, J. H., Lyu, E. K., & Kim, H. M. (1996). A study on quality of life in lung cancer patients with chemotherapy. The Kyungpook University Medical Journal, 37(3), 387-398. 

  10. Kilfoy, B. A., Zheng, T., Holford, T. R., Han, X., Ward, M. H., Sjodin, A., et al. (2009). International patterns and trends in thyroid cancer incidence, 1973-2002. Cancer Causes & Control, 20(5), 525-531. http://dx.doi.org/10.1007/s10552-008-9260-4 

  11. Kim, C. H. (2006). Factors affecting symptom experienc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Lee, J., Yun, M. J., Nam, K. H., Chung, W. Y., Soh, E. Y., & Park, C. S. (2010). Quality of life and effectiveness comparisons of thyroxine withdrawal, triiodothyronine withdrawal, and recombinant thyroid-stimulating hormone administration for low-dose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Thyroid, 20(2), 173-179. http://dx.doi.org/10.1089/thy.2009.0187 

  13. Lee, J. I., Kim, S. H., Tan, A. H., Kim, H. K., Jang, H. W., Hur, K. Y., et al. (2010). Decreas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sease-free survivor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n Korea.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8, 101. http://dx.doi.org/10.1186/1477-7525-8-101 

  14. Lombardi, C. P., Raffaelli, M., De Crea, C., D'Alatri, L., Maccora, D., Marchese, M. R., et al. (2009). Long-term outcome of functional postthyroidectomy voice and swallowing symptoms. Surgery, 146(6), 1174-1181. http://dx.doi.org/10.1016/j.surg.2009.09.010 

  15. Mazzaferri, E. L., & Jhiang, S. M. (1994). Long-term impact of initial surgical and medical therapy on papillary and follicular thyroid cancer.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97(5), 418-428. 

  16. Mendoza, A., Shaffer, B., Karakla, D., Mason, M. E., Elkins, D., & Goffman, T. E. (2004). Quality of life with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reatment toxicities and their reduction. Thyroid, 14(2), 133-140. http://dx.doi.org/10.1089/105072504322880373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 National Cancer Center. (2012).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8. Noh, S. Y., Ko, B. K., & Kim, Y. S. (2011). Complication after total thyroidectomy and node dissection for thyroid cancer. The Kore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11(3), 169-174. 

  19. Oh, S. M., Min, K. J., & Park, D. B. (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2), 289-296. 

  20. Pfleiderer, A. G., Ahmad, N., Draper, M. R., Vrotsou, K., & Smith, W. K. (2009). The timing of calcium measurements in helping to predict temporary and permanent hypocalcaemia in patients having completion and total thyroidectomies. Annals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91(2), 140-146. http://dx.doi.org/10.1308/003588409x359349 

  21. Schultz, P. N., Beck, M. L., Stava, C., & Vassilopoulou-Sellin, R. (2003). Health profiles in 5836 long-term cancer survivors.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04(4), 488-495. http://dx.doi.org/10.1002/ijc.10981 

  22. Sinagra, D. L., Montesinos, M. R., Tacchi, V. A., Moreno, J. C., Falco, J. E., Mezzadri, N. A., et al. (2004). Voice changes after thyroidectomy without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199(4), 556-560. http://dx.doi.org/10.1016/j.jamcollsurg.2004.06.020 

  23. Stajduhar, K. I., Neithercut, J., Chu, E., Pham, P., Rohde, J., Sicotte, A., et al. (2000). Thyroid cancer: Patients' experiences of receiving iodine-131 therapy. Oncology Nursing Forum, 27(8), 1213-1218. 

  24. Tagay, S., Herpertz, S., Langkafel, M., Erim, Y., Bockisch, A., Senf, W., et al.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anxiety in thyroid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Research, 15(4), 695-703. http://dx.doi.org/10.1007/s11136-005-3689-7 

  25. Taieb, D., Sebag, F., Cherenko, M., Baumstarck-Barrau, K., Fortanier, C., Farman-Ara, B., et al. (2009). Quality of life changes and clinical outcomes in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RRA) with recombinant human TSH (rhTSH):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Clinical Endocrinology, 71(1), 115-123. http://dx.doi.org/10.1111/j.1365-2265.2008.03424.x 

  26. Trinidad Ruiz, G., Gonzalez Palomino, A., Pantoja Hernandez, C., Mora Santos, E., Cruz de la Piedad, E., & Blasco Huelva, A. (2007). Influence of non-neuronal factors on post-thyroidectomy dysphonia. Acta Otorrinolaringologica Espanola, 58(8), 352-357. 

  27. Van Nostrand, D. (2009). The benefits and risks of I-131 therapy in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19(12), 1381-1391. http://dx.doi.org/10.1089/thy.2009.1611 

  28. Verburg, F. A., de Keizer, B., Lips, C. J., Zelissen, P. M., & de Klerk, J. M. (2005). Prognostic significance of successful ablation with radioiodine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52(1), 33-37. 

  29. Zhang, J., Huang, C., Li, Y., Chen, J., Shen, F., Yao, Q., et al. (2013).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alysis patients with constipation: A cross-sectional study. 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7, 589-594. http://dx.doi.org/10.2147/ppa.s45471 

  30.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6), 361-3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