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통합홍수위험관리 측면에서 지역의 홍수위험도에 따라 지구를 구분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Flood Risk Index, FRI)의 산정 및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유역에대하여 시 군 구 단위의 공간해상도로 홍수위험지수(FRI)를 산정하기 위해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조로 분류하여 3개의 홍수지수인 압력지수(PI), 현상지수(SI), 대책지수(RI)를 대표하는 총 17개 세부지표들을 엄선하였다. 세부지표들은 각기 다른 범위와 단위로 측정된 값이므로, T-Score 방법을 사용하여 동일한 범위로 변환되었다. 또한 엔트로피(Entropy) 가중치 산정방법에 의한 가중치를 사용하여 가중치 적용에 따른 주관적인 판정을 최소화하였다. 압력지수(PI), 현상지수(SI), 대책지수(RI)의 3개 지수를 통합하여 지역의 전반적인 홍수위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FRI)를 산정하고, 가중치 적용 유 무에 따른 홍수위험지수 산정결과와 2010년에 고시된 자연재해위험지구 중 침수위험지구와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홍수위험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충분히 검증된 홍수위험지수를 활용하면 과거 홍수의 원인 및 현상별 홍수재해에 대하여 지역적 방재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study is to present how to estimate and use the FRI (Flood Risk Index) for classifying area zones based on regional flooding risk in terms of the integrated flood risk management. To estimate the FRI at a spatial resolution of city/county/town units for the Nakdong River Watershed, the 1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홍수의 위험성 및 취약성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홍수방어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시·군·구 단위 공간 해상도에 대한 우선순위 지역을 예측하고자 70개 지구별 홍수위험지수 산정에 필요한 세부지표를 조사하여 수집하였다.
  • 본 논문에서 산정된 홍수위험지수(FRI)를 2010년에 특별 재고시된 자연재해위험지구와 비교하여 가중치 적용 및 미적용에 따른 홍수위험지수(FRI)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자연재해위험지구란 태풍·홍수·호우·폭풍·해일·폭설 등 불가항력적인 자연의 힘에 의한 현상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역과 자연재해저감시설을 포함한 주변지역으로서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지구를 말한다.
  •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홍수위험지구를 선정하기 위하여 시·군·구별 홍수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Flood Risk Index, FRI)의 산정체계를 수립하고, 세부지표별 가중치가 홍수위험지수(FRI) 산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통합홍수위험관리 측면에서 지역별 홍수방어대책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홍수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FRI)의 산정방안과 그 적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홍수위험지수(FRI)를 산정하기에 앞서 홍수위험도 지표의 분류방법 및 세부지표 설정의 중요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세부지표별 가중치가 홍수위험지수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통합홍수위험관리 측면에서 지역별 홍수방어대책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홍수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FRI)의 산정방안과 그 적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홍수위험지수(FRI)를 산정하기에 앞서 홍수위험도 지표의 분류방법 및 세부지표 설정의 중요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세부지표별 가중치가 홍수위험지수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평가 세부지표를 설정하고, 지표의 표준화 및 가중치 산정을 통하여 홍수위험지수(FRI)를 산정한 후, 자연재해위험지구 현황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홍수위험지수(FRI) 산정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여기서, δ1, δ2, δ3는 각각 압력지수(PI), 현상지수(SI), 대책지수(RI)에 대한 가중치로 본 논문에서는 3개 지수의 중요성을 동등하게 간주하여 각각 1/3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위험지수란 무엇인가? 홍수위험지수(FRI)란 홍수재해로 인한 유역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수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홍수위험지수(FRI)의 기본 구성요소는 OECD (1991)에서 개발하여 국제기구나 각국의 지표설정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P-S-R 체계하의 각 특성을 나타내는 개개의 세부지표이다.
P-S-R 체계의 장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홍수피해잠재능(PFD)에서는 지표를 노출성, 민감도, 적응능력으로 나누어 구분하였으나, 지표 선정 시 그 구분이 모호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P-S-R 체계는 각 지수의 특성이 명확하며 홍수의 원인, 결과, 예방의 유기적인 흐름의 지표수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홍수 피해의 원인에 해당하는 세부지표들은 압력지표(Pressure Factors, PF)로, 홍수피해로 인한 직·간접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세부지표들은 현상지표(State Factors, SF)로, 그리고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일련의 활동을 나타낼 수 있는 세부지표들은 대책지표(Response Factors, RF)로 각각 분류된다.
미래 홍수위험발생을 정량적 수치로 나타내기 위해 국내에서는 어떤 노력이 있어왔는가? 이에 따라, 다양한 연구를 통해 과거의 홍수발생 원인과 현상을 종합하여 미래의 홍수위험발생 양상을 정량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지수가 개발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자원장기종합계획(MLTM, 2001)에서는 치수안전도 설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여, 국내에 처음으로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라는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후에 Kim and Kim (2003)는 기존 PFD의 구성요소 중 위험성 요소를 구성하는 부분요소인 가능성 요소와 방어능력 요소를 서로 독립적인 요소로 판단하여 사용하는 수정 PFD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토연구원(KRIHS, 2005)은 지표 개발을 위하여 자연적 요인, 사회적 요인, 정책적 요인, 시설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232개 지역을 대상으로 잠재적 위험성을 나타내는 홍수피해지표를 개발하였다. 한편, 소방방재청(NEMA, 2006)에서는 지역의 자연재난 위험도를 사전에 파악하여 재난 저감대책 및 시설투자 사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재난위험성, 재난피해규모, 재난피해저감 능력의 각 평가항목을 통하여 지역안전도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2008)에서는 이상홍수취약성지수(Excess Flood Vulnerability Index, EFVI)를 개발하여 홍수위험관리 측면에서의 취약성 평가를 안성천과 한강유역에 수행한 바 있다. Lim et al. (2010)은 P-S-R 체계(OECD, 1991)에 의해 새롭게 개발된 주제별 치수특성평가 지수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국외의 경우, UN의 ISDR (2004) 보고서에서는 위험은 위험성과 취약성을 그 지역의 역량으로 나누어 평가해야 한다고 기술하였고, Kron (2003)은 자연재해 중 홍수와 관련된 홍수사상 또는 홍수사상의 발생확률을 나타내는 재해위험성(hazard), 홍수위험지역에 있는 경제적 자산이나 인명의 노출성(exposure), 그리고 홍수방어능력의 부족을 의미하는 취약성(vulnerability) 등 세 가지 요소들의 곱으로 홍수 위험도(flood risk)를 표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onnor, R.F., and Hiroki, K. (2005). "Development of a method for assessing flood vulnerability." Water Service & Technology, Vol. 51, No. 5, pp. 61-67. 

  2.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Flood insurance manual. Washington, DC., USA. 

  3. GTK (Geological Survey of Finland). (2006). Project 1.3.1 : The spatial effects and management of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 in general and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Final Report, European Spatial Planning Observation Network. 

  4. Jain, A., Nandakumar, K., and Ross, A. (2005). "Score normalization in multimodal biometric systems." Pattern Recognition, Vol. 38, pp. 2270-2285. 

  5. Jenks, G.F., and Caspell, F.G. (1971). "Error in choroplethic maps: definitions, measurement and reduct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61, No. 2, pp. 271-244. 

  6. Kang, M.G., and Kim, W.G. (2006). "Use of index and indicator for assessment on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 in a watershed." Water and Future, Vol. 39, No. 3, pp. 37-48. 

  7. KICT(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8).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 on the abnormal flood. 3rd interim report. 

  8. Kim, J.H., and Kim, Y.H. (2003).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Proceedings 2003 Annual Conference, KSCE, pp. 2373-2378. 

  9. KRIH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5). Analysis of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index. HRIHS 2005-6. 

  10. Kron, W. (2003). Flood riskhazard ${\times}$ exposure ${\times}$ vulnerability. Flood Defence, Edited by Wu et al., Science Press, New York. N.Y., pp. 82-97. 

  11. Lim, K.S., Choi, S.J., Lee, D.R., and Moon, J.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su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0, No. 1B, pp. 61-70. 

  12. McCall, W.A. (1923). "Science of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7, No. 5, pp. 384-396. 

  13. Merabtene, T., Yoshitani, J., and Kuribayashi, D. (2004). Managing Flood and Water-related Risks: A challenge for the future. AOGS 2004 Joint 1st Annual Meeting & 2nd APHWConference, Singapore, pp. 1-8. 

  14.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1). "Water vision 2020." 

  15. NEMA(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6). Construction of regional safety assesment system. 

  16.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91). Environmental indicators. Apreliminary set. Paris, France. 

  17. Ologunorisa, E.T. (2004). "An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zones in the Niger Delt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Vol. 61, No. 1, pp. 31-38. 

  18. Prakasa, B.S., Rao, K.S., Murty, R., and Amminedu, E. (2005). "Estimation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for Delta Area through RS and GI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IGARSS '05. Proceedings, IEEE International, pp. 3611-3614. 

  19. SDI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6). Development of the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in Seoul. SDI2006-R-37. 

  20.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4). "Reducing disaster risk : A challenge for development." New York, NY., USA. 

  21.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8). "Fighting climate change; Human solidarity in a divided world." Human Development Report 2007/2008. 

  22. UNISDR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2004). Living with risk : A global review of disaster reduction initiatives. Geneva. Swi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