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ll-shaped mobile robot, so called ballbot has single point contact on ground and low energy consumption in motion because of the reduced friction. In this paper, a new ballbot is presented, which has omnidirectional mobile platform inside of it as a driving system. Thus the ballbat has omnid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의 내부에 전방향 이동성을 갖는 구동부를 설치한 새로운 볼봇을 개발한다. 구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로 인하여 볼봇은 기본적으로 안정하며, 또한 구 내부 이동기구의 전방향 이동성 때문에 볼봇 자체도 전방향 이동성을 갖게 된다.
  • 본 논문에서는 내부에 전방향 이동플랫폼 형태의 구동부를 갖는 새로운 볼봇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볼봇은 지면과 점접촉을 가지므로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으며, 또한 전방향 이동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 구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로 인하여 볼봇은 기본적으로 안정하며, 또한 구 내부 이동기구의 전방향 이동성 때문에 볼봇 자체도 전방향 이동성을 갖게 된다. 본 논문의 볼봇에 대한 체계적인 전방향 이동 기구학을 제시하고, 간단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가설 설정

  • 이동 기구학을 구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볼봇 의 운동이 준정적(quasi-static)이라고 가정한다. 즉 볼봇이 이동할때 구 내부의 전방향 이동 플랫폼은 항상 수평을 유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볼봇이란 무엇인가? 공(ball)과 같은 구형의 외관을 갖는 로봇을 일명 볼봇 (Ballbot)이라고 부른다[6]. 볼봇은 지면과 점접촉을 이루므로 마찰이 적고, 따라서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또한 전방향 이동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1].
볼봇의 장점은 무엇인가? 공(ball)과 같은 구형의 외관을 갖는 로봇을 일명 볼봇 (Ballbot)이라고 부른다[6]. 볼봇은 지면과 점접촉을 이루므로 마찰이 적고, 따라서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또한 전방향 이동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1]. 이러한 이유로 여러 연구기관에서 볼봇 관련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그림 1은 여러 형태의 볼봇들을 보여준다[2,6,7,10, 12,13].
본 논문에서 제안한 내부에 전방향 이동플랫폼 형태의 구동부를 갖는 새로운 볼봇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내부에 전방향 이동플랫폼 형태의 구동부를 갖는 새로운 볼봇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볼봇은 지면과 점접촉을 가지므로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으며, 또한 전방향 이동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제안한 볼봇을 위한 기구학 및 역기구학을 유도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검증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Ahn, Y. Kim, and Y. Lee, "A Deformable Spherical Robot with Two Arms,"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16, no. 11, pp. 1060-1067, 2010. 

  2. J. Kim, H. Kwon, and J. Lee, "A rolling robot: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 of the 7th Asian Control Conference, Hong Kong, China, Aug. 27-29, 2009. 

  3. A. Bicci, A. Balluchi, D. Prattichizzo, and A. Gorelli, "Introducing the SPHERICLE: an experimental testbed for research and teaching in nonholonomy," Proc.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2620-2625, Apr. 1997. 

  4. S. Yi, K. Lee, K, Ha, and J. Shin, "Sphere-shape platform capable of omnidirectional mobility (in Korean)," Pat.(pending) no. 10-2012-0022018, Korea, 2012. 

  5. T. Lauwers, G. Kantor, and R. Hollis, "A dynamically stable single-wheeled mobile robot with inverse mouse-ball drive," Proc.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Orlando, FL, pp. 2884-2889, May 2006. 

  6. T. Lauwers, G. Kantor, and R. Hollis, "One is enough!," Robotics Research, vol. 28, pp. 327-336, 2007. 

  7. M. Kumagai and T. Ochiai, "Development of a robot balancing on a ball,"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Seoul, Korea, pp. 433-438, Oct. 2008. 

  8. Y. Yamamoto, "NXT ballbot model-based design-control of a self-balancing robot on a ball, built with LEGO Mindstorms NXT," April 2009. 

  9. C. Wu and C. Hwang, "A novel spherical wheel driven by omniwheels," Proc.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and Cybernetics, Kunming, vol. 7, pp. 3800-3803, July 2008. 

  10. S. Doessegger, P. Fankhauser, C. Gwerder, J. Huessy, J. Kaeser, T. Kammermann, L. Limacher, and M. Neunert, "Rezero," Focus Project Report, Autonomous Systems Lab., ETH Zurich, Switzerland, 2010. 

  11. http://en.wikipedia.org/wiki/Ballbot 

  12. A. Halme, T. Schonberg, and Y. Wang, "Motion control of a spherical mobile robot," Proc. of 4th International Workshop on Advanced Motion Control, Mie University, Japan, vol. 1, pp. 259-264, 1996. 

  13. F. Michaud and S. Caron, "Roball, the rolling robot," Autonomous Robots, vol. 12, pp. 211-222, 2002. 

  14. P. McKerrow, Introduction to Robotics, Addison-Wesley, 1990. 

  15. J. Park, S. Kim, and S. Yi, "Development of ball-shaped robot," 2012 ICROS Jeonbuk and Jeju Regional Conference (in Korean), vol. 1, pp. 120-12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