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담양군 죽순으로 제조한 죽순식초와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특성인 산도, 무기질, 아미노산, 플라보놀을 비교 분석하고 SBSE-GC/MS방법을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죽순식초의 산도는 4.49%로 제일 낮았으며 무기질 중 Na의 경우 8.36 mg/100 g으로 다른 과실식초에 비해 그 함량이 낮았다. 아미노산은 다른 시판 식초에 비해 tyrosine과 lys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flavonol aglycone 중 quercetin이 3.29 mg/L 들어있었다. SBSE방법으로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aldehyde류의 함량이 시판식초에 비해 높았으며 특이적으로 수면 유도물질로 알려진 oleamide가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ssessed the quality of a bamboo shoot vinegar produced in Damyang-gun in terms of parameters that included acidity, mineral contents, amino acids, and flavonol aglycones. The flavor compounds of the bamboo shoot vinegar were also analyzed using the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SBSE) metho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과실뿐만 아니라 호박, 마늘, 무 등의 채소 및 인삼, 홍삼, 삼백초, 솔잎 등의 초목을 원료로 한 천연 양조식초의 개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16,17).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나무 자원의 가공식품 활용방안으로 제조된 죽순식초의 영양학적 가치와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대나무는 어느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가? 일반적으로 죽순은 부패가 빠르고 수확기간이 한정되어있어 통조림과 염장법으로 저장 후 피클, 즙 등의 형태로 섭취하며 특히 중국과 인도에서는 가정식 음식에 나물 등의 요리로 곁들여 먹는다(1,7).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대나무는 전라남도 담양지방에 60% 이상이 집중 분포되어있고 그밖에 경남, 충남, 강원도 등에 산재되어있으며 그 종이 약 50종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3). 국내의 죽순 가공제품에 대한 연구는 염장죽순의 제조 및 영양학적 가치 분석(3), 염장 죽순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 및 일반성분 분석(7), 오죽 죽순 차의 영양 성분분석(8), 죽순 통조림 백탁현상의 성분분석(9) 등이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연구들은 염장 처리된 죽순의 활용에 국한되어있다.
죽순은 무엇인가? 죽순(Phyllostachys spp.)은 벼과(화본과)의 대나무족(bambus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죽피로 둘러 쌓여있는 대나무의 어리고 연한 싹이다. 일반적으로 20-30 cm 높이로 자라면 이를 수확하여 식용으로 사용한다.
SBSE-GC/MS방법을 사용하여 담양군 죽순으로 제조한 죽순식초와 시판 과실식초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담양군 죽순으로 제조한 죽순식초와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특성인 산도, 무기질, 아미노산, 플라보놀을 비교 분석하고 SBSE-GC/MS방법을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죽순식초의 산도는 4.49%로 제일 낮았으며 무기질 중 Na의 경우 8.36 mg/100 g으로 다른 과실식초에 비해 그 함량이 낮았다. 아미노산은 다른 시판 식초에 비해 tyrosine과 lys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flavonol aglycone 중 quercetin이 3.29 mg/L 들어있었다. SBSE방법으로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aldehyde류의 함량이 시판식초에 비해 높았으며 특이적으로 수면 유도물질로 알려진 oleamide가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inghal P, Bal LM, Satya S, Sudhakar P, Naik SN. Bamboo shoots: A novel source of nutrition and medicine. Crit. Rev. Food Sci. 53: 517-534 (2013) 

  2. Choudhry D, Sahy JK, Sharma GD. Bamboo shoots: Microbiology, biochemistry and technology of fermentation-a review. Indian J. Tradit. Know. 11: 242-249 (2012) 

  3. Yoo MJ, Chung HJ. Chemical properties of bamboo shoots and their changes of chemical compounents during the manufacture of pickles. Korean J. Food Nutr. 12: 575-581 (1999) 

  4. Park EJ, Jhon DY. The antioxidan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bamboo shoot extracts. LWT-Food Sci. Technol. 43: 655-659 (2010) 

  5. Choundhry D, Sahu JK, Sharma GD. Value addition to bamboo shoots: a review. J. Food Sci. Technol. 49: 407-414 (2012) 

  6. Choudhry D, Sahu JK. Sharma GD. Biochemisty of bitterness in bamboo shoots. Assam Univ. J. Sci. Technol. 6: 105-111 (2010) 

  7. Park EJ, Jhon DY.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salted bamboo shoots. Korean J. Food Culture 21: 179-186 (2006) 

  8. Kim SM, Jeon JS, Kang SW, Kim WR, Lee KD, Um BH.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juk (Phyllostachys nigra Munro) leaf tea and shoot tea. J. Appl. Biol. Chem. 55: 95- 101 (2012) 

  9. Lee BY, Jeon MJ, Hwang JB, Kim HK. Components analysis of white crystals in canned bamboo shoo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86-289 (1995) 

  10.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Jeong YJ, Yoon KY, Kwon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7: 616-624 (2010) 

  11. Yoon HN.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40-1446 (1999) 

  12. Johnston CS, Gaas CA. Vinegar: medicinal uses and antiglycemic effect. Med. Gen. Med. 8: 61 (2006) 

  13. Jeong YJ, Lee MH.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 Nutr. 5: 7-12 (2000) 

  14. Lee SW, Kwon JH, Yoon SR, Woo SM, Jang SY, Yeo SH, Choi JH, Jeong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by different yeasts and fermenta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66-1372 (2010) 

  15. Hong SM, Kang MJ, Lee JH, Jeong JH.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Food Preserv. 19: 594-603 (2012) 

  16. Ann YG, Kim SK, Shin CS. Studies on ginseng vinegar. Korean J. Food Nutr. 12: 447-454 (1999) 

  17. Keum JH. Studies on garlic and pumpkin vinegar. Korean J. Food Nutr. 12: 518-522 (1999) 

  18. Sultana B, Anwar F. Flavonols (kaempeferol, quercetin, myricetin) contents of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medicinal plants. Food Chem. 108: 879-884 (2008) 

  1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148-149 (2012) 

  20. NAQS. Korean tradition food standardization.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Anyang, Korea. p. 408 (2012) 

  21. Seo JH, Kim YJ, Lee KS.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Food Ind. Nutr. 8: 40-44 (2003) 

  22. Wang LF, Lee JY, Chung JO, Baik JH, So S, Park SK. Discrimination of teas with different degrees of fermentation by SPME- GC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volatile flavour compounds. Food Chem. 109: 196-206 (2008) 

  23. Basile AS, Hanus L, Mendelson WB. Characterization of the hypnotic properties of oleamide. Neuroreport 10: 947-951 (1999) 

  24. Cravatt BF, Prospero-Garcia O, Siuzdak G, Gilula NB, Henriksen SJ, Boger DL, Lerner RA.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family of brain lipids that induce sleep. Science 268: 1506-1509 (1995) 

  25. Wu TT, Charles AL, Huang TC. Determination of the contents of the main biochemical compounds of Adlay (Coxi lachrymal-jobi). Food Chem. 104: 1509-1515 (2007) 

  26. Ololade ZS, Olawore NO. Chemistry and medicinal potentials of the seed essential oil of Eucalyptus toreliana F. muell grown in Nigeria. Glo. J. Sci. Front. Res. 13: 1-10 (2013) 

  27. Chattergee B, Variyar PS, Sharma A. Bioactive lipid constituents of fenugreek. Food Chem. 119: 349-35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