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근로자의 복부비만에 따른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비정상 간기능 및 생활습관 비교
Comparison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bnormal Liver Function, and Living Habits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in Male and Femal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4, 2013년, pp.334 - 342  

박하니 (가천대 남동길병원) ,  이여진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liver function and heathy living habits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in male and female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78 adult workers who visited N hospital in Incheon for health examination. The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다른 선행연구는 남녀 간의 차이를 확인한 것이 아닌, 남녀구분 없이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복부비만과의 상관성을 밝힌 것이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하였으므로, 대상자의 과거 병력이나, 현재 복용하고 약의 유무, 종류, 영양 등에 의한 영향을 통제하지 못하였지만, 이 연구를 통해 남녀의 복부비만에 따른 차이점을 확인 것에 의의를 둔다.
  • 본 연구는 일개 지역 사업장 남성과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복부비만에 따른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간기능지표, 생활습관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우리사회 노동력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자의 건강수준은 우리나라의 산업적 측면에서 볼 때에도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녀근로자들이 건강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있도록 조기에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일개 지역 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복부비만 위험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모든 산업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근로자의 정기 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복부비만에 따른 대 사증후군 구성요소와, 최근에 제시되고 있는 간기능과의 관련성, 그리고 생활습관과의 연관성을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규명하여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에 이를 반영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부비만이란 무엇인가? 복부비만이란 배에 과도하게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세계보건기구 아시아-서태평양 지역의 복부비만 정상기준은 남자 허리둘레 90 cm 미만, 여자 허리둘레 80 cm 미만이나, 대한 비만학회에서 제시한 남자 90 cm 미만, 여자 85 cm 미만의 허리둘레 기준이 한국인에게 더 정확하다고 하였으므로(Lee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남자 90 cm 미만, 여자 85 cm 미만의 기준을 따랐다.
남성과 여성근로자 모두 복부비만의 관리가 중요하나, 남성근로자에게 더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는 남녀근로자들이 건강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있도록 조기에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일개 지역 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복부비만 위험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우선 남녀의 복부비만 특성에서 평균 BMI를 보면 성별 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녀모두 체질량지수가 정상범위 내에 있었지만 남성의 평균은 24.1 kg/m2, 여성의 평균은 22.6 kg/m2로 남성이 더 높았다. 또한, 연구대상자 남성의 복부비만 비정상군은 161명으로 전체의 20.9%를 차지하고, 여성의 복부비만 비정상군은 42명으로 전체의 13.7%로 남성이 더 많 았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 중 다섯 가지 대사증후군이 하나도 없는 남성대상자는 123명으로 전체의 15.9%, 여성대상자는 116명 37.9%이며, 대사증후군으로 판정을 받은 남성 대상자는 171명 22.2%였으나, 여성대상자는 16명 5.2%에 불과하였다. 1~2개의 대사증후군 구성요소가 결합된 위험군 I의 유병률은 남성대상자의 경우 478명 61.9%이며, 여성대상자는 174명 56.9%였다. 이는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대 사증후군 위험군 I의 유병률이 직장가입자 남성(52.49%)의 경우 지역가입자 남성(52.51%)과 비슷하게 높으나 직장가입자 여성(45.76%)은 지역가입자 여성(51.05%)보다 낮았던 것과 일치하였다(MOHW, 2012). 남성과 여성근로자 모두 복부비만의 관리가 중요하나, 남성근로자에게 더 강조되어야 할 필요함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대사장애로 복부비만, 혈압상승, 혈당상승, 중성지방 상승, HDL 콜레스테롤의 저하 중 3가지 이상이 기준치 이상인 것을 말한다(Cleeman, 2001).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정상범위 기준에 따라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2)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산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leeman, J. I. (2001).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nel III).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 (19), 2486-2497. http://dx.doi.org/10.1001/jama.285.19.2486. 

  2. Duncan, G. E. (2006). Exercise, fitn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type2 diabet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Current Diabetes Reports, 6 (1), 29-35. 

  3. Ford E. S., Giles W. H., & Dietz W. H. (2002).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 (3), 356-359. 

  4. Ford E. S., Giles W. H., & Mokdad W. H. (2004).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Diabetes Care, 27 (10), 2444-2449. 

  5. Jung, C. H., Park, J. S., Lee, W. Y., & Kim, S. W. (2002).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63 (6), 649-659. 

  6. Kang, D. J. (2004).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drinking pattern and waist circumfe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Kang, H. C., Kim S. M., Yoon, B. B., Kuk, S. R, Park, Y, S., Ko, Y, K., et al. (1997). Relationship of body fat, lipid, blood pressure, glucose in serum to waist-hip ratio between obese and normal body mass index group.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18 (3), 317-327. 

  8. Kim, E., & Oh, S. W. (2012). Gender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1 (2), 108-114. 

  9. Kim, J. W. (2010). Age- and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correlations between abdominal obesity and obesity-related 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0. Kim, J. I., Yu, B. C., Jeon, M, J., Kim, J. M., Choi, J. S., Park, J. Y., et al. (2009). Correlation of metabolic syndrome with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to-height ratio.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8 (3), 87-93. 

  11. Kim, S. M., Choi, H. J., Lee, D. J., Kim, K, M., & Yoon, S. J. (1997). A study on the obesity index of health examination center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6 (2), 137-142. 

  12. Kim, Y. H., & Yang, Y. O. (2005).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5), 858-867. 

  13. Lee, E. K. (2012). The factor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dicators in male office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Lee, H. S. (1997). A study on life habits of male and female adults relating to their body shap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13 (2), 147-156. 

  15. Lee, J. H., Kang, K. H., Kim, S, H., Park, J. H., Cho, C. M., Kwon, Y. O., et al. (2005). The association of elevated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with obesity in health screening subjec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69 (1), 46-54. 

  16. Lee, K. S., Kim, K. H., & Cho, Y. C. (2009). Prevalence of fatty liver and its association with indices of obesity, liver function and hyperlipidemia among adult mal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 (6), 1414-1423. 

  17. Ministry of Health, Welfare & Famil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8). Korea health statistics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ttp://knhanes.cdc.go.kr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http://knhanes.cdc.go.kr/. 

  19. Musunuru, K. (2010). Atherogenic dyslipidemia: Cardiovascular risk and dietary intervention. Lipids, 45, 907-914.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2). Health examination result analysis 2011.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1. Park, M. H., Choi, Y. S., & Choi, B. S. (2001). Influence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 behavior on health status in male industr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6 (3), 297-305. 

  22.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in Catholic University. (2003). Occupational health. Seoul: Soomoonsa. 

  23. Statistics Korea. (2012).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ccording to gender. Seoul: Author.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4. Stranges, S., Dorn, J. M., Muti, P., Freudenheim, J. L., Farinaro, E., Russell M., et al. (2004). Body fat distribution, relative weight, and liver enzyme levels: A population-based study. Hepatology, 39 (3), 754-763. 

  25. Tack, Y. R., Kang, K. A., Kim, J. H., Kim, T. K., Kim, H. O., Song, J. H., et al. (2009). Introduction to statistics for nurse. Seoul: Fornurse. 

  26. Wang, M. J., Cho, S. J., Cho, Y. H., Park, I, H., Ko, J. E., Chio, H. J., et al. (2010). Community health nursing . Seoul: Hyunmoo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